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헌재 선고 직후 연 기자간담회에서 '우리 모두의 예상대로 헌재가 한 총리 탄핵 심판을 7(기각 5ㆍ각하2) 대 1(인용)로 기각했다'며 '거대 야당의 무리한 입법 폭거에 대한 사법부의 엄중한 경고'라고 말했다. 반면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서울 광화문 광장에 설치된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회의에서 '한 총리에 대한 헌재 결정을 존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한 총리가) 헌법상 의무를 어긴 행위에 대해서 탄핵할 정도에 이르지 않았다는 판결을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헌법재판소가 24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를 기각하자 여야 반응은 엇갈렸다. 국민의힘은 “헌정 질서를 바로 세운 역사적 결정”이라고 평가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유감”이라고 했다.
이어 “민주당은 국민을 불안하게 만든 데 대해 머리 숙여 사과해도 모자란 데, 헌법 위에 군림하려고 한다. 헌재가 자신들 뜻대로 움직이지 않자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할 때까지 광야에서 싸우겠다며 소요사태를 선동하고 있다”며 “권력을 취하기 위해 범죄자가 대통령 탄핵을 밀어붙이는 작태야말로 나라가 망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도 별도의 입장문을 내고 “헌재의 기각 결정을 환영한다”며 “국회의 탄핵 남발이 무분별하고 악의적인 정치 공세였음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한 대행 직무 복귀가 국정 정상화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헌재의 한 총리 기각 판단에 대해 여당의 잠재 대선 주자들도 일제히 입장문을 내고 “역사적 결정” “환영한다”고 했다.반면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서울 광화문 광장에 설치된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회의에서 “한 총리에 대한 헌재 결정을 존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 헌법상 의무를 어긴 행위에 대해서 탄핵할 정도에 이르지 않았다는 판결을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경범죄처벌법을 어겨도 다 벌금 내고 처벌한다”며 “한 대행은 헌법이 정한 의무를 의도적으로 악의를 갖고 어겨도 용서가 되나. 이 점에 대해선 국민께서 판단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논설위원의 단도직입]“헌정수호 세력 압도적 승리 중요…윤석열 지지자 빼고 다 뭉쳐야”12·3 내란 뒤 한국 사회는 내전 상태다. 물리적 내란은 막았지만 내란 세력의 반란이 격렬해졌고, 정치·사회적 대립이 심화하는 상황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尹선고 당길 방법 없나' 이재명, 지도부 한정식집 소집이 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 파면 촉구 피켓 시위 중 쓰러져 숨진 신상길씨를 조문한 뒤 ‘윤석열 즉시 탄핵 촉구’ 광주 비상행동 집회에 참석했다.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 '헌재 선고가 납득할만한 이유 없이 지연되며 많은 국민께서 잠들지 못하고 계신다'며 '국민께서 풍찬노숙하지 않고 이제 마음 편히 잠드실 수 있도록, 더는 곡기 끊는 분들, 목숨을 잃는 일이 나오지 않도록 신속한 파면 선고를 요청한다'고 썼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헌법재판소 담장 위 철조망尹선고 앞둔 헌재 앞 풍경은두쪽 난 대한민국의 축소판승복·통합의 약속 없다면철조망에 갇힌 사회로 전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총체적 위기... 국정 최고 책임자가 착각하고 있다[이게 이슈] 대통령·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은 고유 권한인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첫 단추 끼운 '상속세 정상화'… 세율·자녀공제 모두 개편해야 효과與野, 부부 상속세 폐지 잰걸음권영세 제안, 이재명 즉각화답28년된 공제한도 손질 청신호자녀 공제한도 상향없인 반쪽자산가치 올라 '稅폭탄' 가능성배우자 사망순서 따른 차별도李 '최고세율 동의못해' 일축제도 전면 개편까진 난항 예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은혁 보류 권한쟁의’ 27일 선고…임명돼도 尹선고 관여않을듯헌재 관계자는 25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상대로 낸 마 후보자 임명 보류 권한쟁의 사건의 선고 기일이 27일 오전 10시로 지정됐다'고 국회 측과 최 권한대행 측 대리인단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해 12월 31일 마 후보자의 임명을 보류하면서 '여야의 합의가 확인되는 대로 임명하겠다'고 밝혔다. 법조계 안팎에선 헌재가 최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 임명을 보류한 것이 국회의 권한을 침해한 것이라고 결정한다면 최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