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우리나라 원화도 동반 하락하는 어려움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1달러당 160엔을 순간적으로 기록한 엔저 현상은 일본은행의 시장개입으로 일단 주춤했으나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는 시점에서 엔저 반전의 모멘텀을 잡을 수 있을 것인지가 초점이 될 것이다. 현재의 엔저는 미일 금리차,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 등에 따른 것이지만 그 정도는 이
엔저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우리나라 원화도 동반 하락하는 어려움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1달러당 160엔을 순간적으로 기록한 엔저 현상은 일본은행의 시장개입으로 일단 주춤했으나 이러한 효과가 지속되는 시점에서 엔저 반전의 모멘텀을 잡을 수 있을 것인지가 초점이 될 것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29일 오전에 엔화가 1달러당 160엔을 순간적으로 기록하자 외환시장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날 오후에 엔화는 한때 154엔으로 급등했다. 이날의 시장개입은 황금연휴 기간으로 거래량이 적은 시점에서 큰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본정부는 5월 2일에도 1달러당 157엔 수준에서 외환시장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시장개입 규모는 5월 말에 발표될 일본 정부의 통계에서 알 수 있지만 금융시장 관계자들의 추정으로는 4월 29일에 5조엔 내외, 5월 2일에 3조엔 정도로 합계 8조엔을 투입한 것으로 보인다.
비합리적 엔저 수준과 해외투자 영향미일 금리차를 고려해도 현재의 엔저는 지나치고 비정상적인 측면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일본경제신문사와 일본경제연구센터가 추정한 2023년 7~9월기의 균형환율은 1달러당 133엔이었으며, 이는 교역조건, 무역적자, 물가, 대외채무 등 폭넓은 지표를 고려해서 추정된 것이다. 이를 고려하면 현재의 엔저는 비정상적인 것이며, 이에는 일본기업의 해외투자 확대, 해외수익의 일본 송금 자제 및 해외거점에서의 자금 운영 확대 등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액투자 비과세제도를 활용해서 개인의 해외주식투자 확대가 엔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미즈호은행의 카라카마 다이스케 치프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의 투자신탁 경유 대외증권투자가 금년 1~4월에 약 4.3조엔에 달하고 과거 10년간의 연평균치에 필적할 규모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 개인에 의한 해외투자가일정한 엔저 압력이 되어 있다는 분석이며, 그는 엔저 억제를 위해서 해외증권 투자에 대해서는 NISA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한도를 특별히 제한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엔저 가속화로 인해 우에다 총재는 엔저가 물가에 미칠 영향에 관해서 지난 5월 9일에는 ‘엔저가 물가에 영향을 미치기 쉬워진 측면이 있다는 것은 인식해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만약 물가가 예상보다 상승하거나 상승할 리스크가 커질 경우 ‘금리를 일찍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발언했다. 일본은행은 엔저가 물가를 자극하는 효과를 보다 경계하는 자세를 강조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물가에 영향을 주는 리스크 요인으로서 엔화의 변동, 국제상품 시황, 그리고 이들 리스크가 수입 물가나 자국내 물가에 미칠 파급 효과 등을 들었다.
사실 지난 5월 13일에 일본은행은 국채 매입 금액을 다소 감축해 각종 국채 금리가 상승압력을 받기도 했다. 2년 만기 국채는 한때 0.325%로 2009년 6월 이후 약 15년 만의 높은 수준이 되고,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2011년 8월 이래 처음으로 2.03%까지 상승했다. 일본은행은 3월의 마이너스 금리정책 해제 과정에서 국채 매입 등 양적금융완화 규모는 기존의 월간 6조엔 수준을 유지하고 정책 변경이 있을 때에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결정하겠다고 한 바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은 본격적인 것은 아닐 것이나 일본은행으로서는 서서히 양적 긴축 자세를 모색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꼼꼼한 임대관리를 거듭 강조하는 이유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100세 시대를 지나, 120세 시대 얘기가 나오는 현실에서 수익형부동산 투자는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안정적 현금흐름을 통해 노후 준비에 도움이 되는 수익형부동산이지만 보유기간 중에 임대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면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도 있습니다. 좋은 가격에 구입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수익형 부동산 투자에 성공하려면 꼼꼼한 임대관리가 더욱 중요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대선 수혜주로 주목받는 ‘중장비업계의 애플’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미국주식 캐터필러는 중장비 기계 업종의 ‘애플’이라고 불린다. 업종내 수익성이 가장 좋아 시가총액 1등주라는 점과 사상 최고가를 달렸다가 조정받은 주가 수준, 경기를 심하게 타는 성격과 업종내 경쟁이 치열해지는 점에서 캐터필러와 애플은 비슷한 점이 많다. 육지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중장비를 만드는 캐터필러는 미국 제조업의 상징이기도 하다. 캐터필러의 주가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내심 요구하는 엔화 약세 ‘터닝포인트’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외환시장이 혼조세다. 4월 13일과 18일 이스라엘과 이란이 그간 레드 라인(red line)으로 여겼던 본토 공격을 주고 받으며 안전자산 달러화의 프리미엄을 높였고, 이 와중에 4월 16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찍기도 했다. 중동 긴장이 소강 국면으로 전환된 4월 19일 이후에도 달러화는 좀처럼 내려오지 않았다. 연준이 과연 금리 인하에 나설 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ETF 클리닉..3개 업종 기반의 ‘신코어 투자전략’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마치 지난해 연말로 시간이 역으로 회전한 것처럼 미국채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며 투자 환경이 변화했습니다. 그간 금리 레벨이 낮아지며 다채로워졌던 시장이 다시금 집중과 선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물가 부담 등이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를 늦추고 있습니다. 결국 미국채 10년물 금리 4% 중후반 수준은 시장의 관심을 밸류에이션 멀티플 확장보다 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휴대폰 내려놓고 CCTV로 부활하는 모토로라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AI 관련 주식만 주가가 오르는게 아니다. 남들이 미처 모르고 있을때 조용히 상승하는 주식이 ‘알짜배기’다. 올 들어 그런 주식 중 하나가 ‘모토로라 솔루션스’다. 지금이야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을 선도한다고 하지만 실제 원조는 모토로라의 ‘레이저’다. 남성의 날카로운 턱선을 연상케하는 엣지있는 디자인으로 전세계 접는 휴대폰 열풍을 이끌었던 바로 그 회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휴대폰 내려놓고 완벽 부활…남들 모르게 조용히 오르는 알짜 주식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AI 관련 주식만 주가가 오르는게 아니다. 남들이 미처 모르고 있을때 조용히 상승하는 주식이 ‘알짜배기’다. 올 들어 그런 주식 중 하나가 ‘모토로라 솔루션스’다. 지금이야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을 선도한다고 하지만 실제 원조는 모토로라의 ‘레이저’다. 남성의 날카로운 턱선을 연상케하는 엣지있는 디자인으로 전세계 접는 휴대폰 열풍을 이끌었던 바로 그 회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