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일본 30년 만기 국채 금리가 17일(현지시간) 장중 연 2.638%까지 오르면서 한국 30년물 국채 금리(고점 연 2.606%)를 추월했다. 지난 10일 일본 30년물 국채 금리가 2008년 6월 이후 16년여 만에 장중 연 2.6% 선을 뚫으면서다. 일본 물가와 국채 금리가 들썩이는 것도 일본 경제가 ‘잃어버린 30년’으로 불리던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 성장 쪽으로 방향을 틀기 시작해서다.
한국과 일본의 30년물 국채 금리가 최근 역전됐다. 시장에선 일본 경제가 30년간 빠져있던 저성장 ‘늪’에서 탈출하고, 한국은 저성장 초입에 들어섰다는 신호로 해석한다.
반면 한국 30년물 국채 금리는 연초부터 국내 보험사가 안전자산인 장기채로 몰리면서 하락세다. 연 3.57% 선을 넘어섰던 지난해 4월 말과 비교하면 1년 새 1%포인트 가까이 채권 금리가 떨어졌다.한국 초장기 국채 금리가 장중 한 번이라도 일본에 역전당한 것은 2016년 8월 이후 처음이다. 양국의 엇갈린 통화정책 영향이 가장 크다. 홀로 ‘마이너스 금리’를 고수해온 일본은행이 지난해 3월 단기 정책금리를 17년 만에 인상하면서 국채 금리는 꾸준히 오름세다. 이와 달리 한국은 지난해 10월 기준금리 인하로 경로를 틀었다. 특히 계엄사태 이후 정치적 혼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으로 저성장 경고등이 켜지자 한국은행은 적극 돈을 풀고 있다.
한국은 저성장 고착화에 직면했다. 한은은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1%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으로 꼽는 수출은 둔화하고, 저출산 고령화에 경제 체력이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한 행사에서 “합계 출산율 0.75명이 지속하면 2050년대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경고했다.
국채 초장기 30년물 통화정책 금리인상 디플레이션 잃어버린30년 물가 임금인상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 잃어버린 30년 이미 시작 공급과잉 산업 과감한 빅딜을'韓 새 먹거리 부재반도체·OLED 中에 추월 위기정부 규제 풀어 생산성 올려야미래항공 등 첨단산업 육성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잃어버린 30년 이미 시작됐다”…이 기업인·교수들이 경고한 까닭韓 새 먹거리 부재 반도체·OLED 中에 추월 위기 정부 규제 풀어 생산성 올려야 미래항공 등 첨단산업 육성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정혁의 마켓 나우] 미 장기국채 금리 상승과 싸우는 트럼프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해도 장기국채의 순 공급이 늘어나고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커지면, TP가 상승해 장기국채 금리가 오히려 상승할 수 있다.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연준의 세 차례 금리 인하에도 10년 국채 금리가 크게 상승한 이유다. 트럼프 당선 후 금리 변동은 TP에 의해 좌우됐으며, 10년 국채 금리 하락도 TP에 달려 있다. - 최정혁의 마켓 나우,장기국채,트럼프,장기국채 금리,단기채권 금리,기준금리 경로,기준금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싸구려’ 오명 벗어던진 중국…한국 앞서던 분야도 추월 “AI 100년 뒤처질것”12대산업 글로벌 종합경쟁력 분석 韓수출 투톱도 경쟁력은 ‘중’ 로봇·바이오 등 미래 산업은 R&D·수요 등 전부문 열위 인공지능 위력 과시한 증국 양자·바이오 등 신산업 육성 “민간 주도형 韓산업육성 틀 깨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이 또 다른 뇌관”...아시아 국가들, 日금리에 시선집중BOJ 19일 금리 인상 가능성에 日 국채금리도 큰 폭으로 올라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폭 최대…부메랑 된 ‘트럼프 관세’무엇보다 ‘관세맨’ 트럼프의 행보가 미국 경제엔 인플레이션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제어되지 않는 ‘관세맨’ 트럼프가 경제적 위험 요소가 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미국 경제의 둔화 징후에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제지표가 나빠지면서 미국 경제가 올해 1분기 역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등장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