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관의 전환의 상상력]‘이따금씩’이 만드는 민주주의

민주주의 뉴스

[황규관의 전환의 상상력]‘이따금씩’이 만드는 민주주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68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0%
  • Publisher: 51%

‘지옥’이란 말이 이제는 아무렇지 않게 쓰이는 세상이다. 예전에는 악행을 저지른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이라 알려졌는데 그것은 비단 기독교의 영향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어떻게 ...

‘지옥’이란 말이 이제는 아무렇지 않게 쓰이는 세상이다. 예전에는 악행을 저지른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이라 알려졌는데 그것은 비단 기독교의 영향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어떻게 살았느냐에 따라 천국도 가고 지옥도 간다는 말은 현세의 제도나 법으로는 다룰 수 없는 나쁜 행동과 마음가짐을 향한 민중의 바람 내지 자기 단속이었을지 모른다. 다르게는, 고달픈 현생의 삶에 대한 보상 욕구이기도 했을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착한 사람은 하늘이 먼저 데려간다는 말을 나는 제법 듣고 자랐는데, 그것은 그 사람에 대한 안타까움과 죽어서라도 이승의 고달픔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이었으리라 생각해 본다.

그런데 이 지옥의 의미가 점점 달라졌다. 예전에도 현실의 삶이 너무 힘들면 왕왕 ‘사는 게 지옥’이라고 했지만, 언젠가부터 우리가 지금 사는 이곳 전체를 지옥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얼마 전 유행했던 ‘헬조선’도 지금 여기가 지옥이란 뜻 아닌가. 심지어 ‘타인은 지옥이다’라는 말도 있었는데, 이는 어느 웹툰의 제목으로 무너져버린 내면을 가진 인간들이 서로 힘이 되는 게 아니라 서로 상처와 함정이 되는 현실에 대한 음울한 진단이라 들었다. 이렇게 우리는 이제 정치, 사회적 현실에서 창궐한 지옥 귀신이 이웃이나 친구 사이마저 헝클어놓은 세상에 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얼마 전 출간된 더글러스 러미스의 저작 의 ‘제5장 민주주의의 덕목들’은 흥미롭게도 신앙 문제를 다룬다. 저자는 먼저 ‘신뢰와 약속’ 이야기를 꺼내는데 이것은 상식이라는 너무도 흔한 주제를 다루기 위함이다. 하지만 저자는 “우리가 꿈꾸는 신뢰의 세계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의 잔인한 괴리”를 잘 알고 있다.

추상적인 존재자에 대해서가 아니라 “실제 사람들을 신앙의 본래 대상”으로 삼는 것이 “민주주의적인 사유를 위한 출발점”이라고 명확히 밝힌 저자는, 아브라함이 자신이 이삭의 아버지임을 참되게 믿었다면 하느님의 명령을 거절했어도 하느님에게 벌 받지 않았을 거라 믿었으리라고 말한다. 하지만 아브라함에게는 어머니라면 분명히 가졌을 이 믿음이 없었다. 아브라함이 만일 신과 서약을 맺었다면 동시에 아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서약도 맺었을 텐데, 그것을 몰라서 아브라함은 신의 진정한 시험에서 탈락했고 이후 역사는―기독교의 역사뿐만 아니라―피로 점철된 ‘아브라함의 신앙의 저주’에 걸린 것일지도 모른다고 더글러스 러미스는 말한다. 다시 말하면 신과의 약속에는 사람들과의 약속도 포함되는 것인데, 아브라함은, 아니 서구 문명은 그것을 몰랐다는 이야기도 될 것이다.

황규관의 전환의 상상력 구독 구독중 하지만 더글러스 러미스가 ‘민주주의 신앙’에 대해 감상적인 마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분명하게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약함과 어리석음과 두려움에 대한 분명한 이해의 토대”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리어 이런 약점들 때문에 “신앙처럼 무거운 무언가가 요청”된다. 민주주의는 약점투성인 인간이 “이따금씩” 보여주는 “민주적 신뢰의 세계”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에게 “민주주의 신앙은 사람들에게서 이따금씩 볼 수 있는 모습을 근거로 사람들의 가능한 모습을 믿으려는 결심이다.” 인간이 “민주적 신뢰의 관계”를 이따금씩 보여준다고 해서 그 관계를 향한 내재적 욕망마저 이따금씩 갖는 것은 아닐 것이다. 어쩌면, 이따금씩 보이기 위해서라도 그 욕망은 상당히 뿌리 깊고 지속적일 것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황규관의 전환의 상상력]시인의 죽음[황규관의 전환의 상상력]시인의 죽음소크라테스는 죽음 직전에 시를 썼다. 스스로를 아테네의 쇠파리라고 부를 정도로 논리적인 변증술로 사람들의 무지를 일깨워 주는 것을 사명으로 삼은 사람이 시를 쓴 것이다. 사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명진, 여당 의원들 향해 “대통령 탄핵 원죄 있어···다신 죄짓지 말라”인명진, 여당 의원들 향해 “대통령 탄핵 원죄 있어···다신 죄짓지 말라”인명진 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해 “절대로 이 땅에 다시는 탄핵이 있어선 안 된다”며 “민주주의, 헌정 질서를 지켜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22대 원구성 '법대로' 주문... '민주주의는 다수결'이재명, 22대 원구성 '법대로' 주문... '민주주의는 다수결'법정시한까지 합의 불발시 야당 단독 처리 주문, "소수의 몽니 끌려 다닌다면 민주주의 아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 남자 당선땐 여성인권 박탈”…대선 앞두고 경고나선 힐러리“이 남자 당선땐 여성인권 박탈”…대선 앞두고 경고나선 힐러리힐러리, 트럼프 후보 당선 경종 울려 “여성·동성애자 등 소수계층은 물론 민주주의 핵심 교리마저 겨냥할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누가 몸통이고, 누가 꼬리인가[매경데스크] 누가 몸통이고, 누가 꼬리인가李 당원 민주주의 강화 시도는의원을 당원 종속변수로 만들고팬덤층 독점적 영향력 위험 커우리 헌법 대의제 원칙과 달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가 대통령 되면, 윤석열 정부는 이렇게 된다트럼프가 대통령 되면, 윤석열 정부는 이렇게 된다[강명구의 뉴욕 직설] 미국 민주주의 쇠퇴의 교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