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레스룸, 사우나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무엇인지 밝혀져야 한다.” 24일 오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감사원 국정감사는 서울 삼청동 감사원에서 현장검증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 15일 국감에서 감사원은 대통령실·관저 이전 의혹 관련 감사위원회의 회의록 등을 제출할 수
24일 오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감사원 국정감사는 서울 삼청동 감사원에서 현장검증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 15일 국감에서 감사원은 대통령실·관저 이전 의혹 관련 감사위원회의 회의록 등을 제출할 수 없다고 버텼고, 야당은 열람이라도 하겠다며’는 비판이 쏟아졌다. 조은석 감사위원이 자신이 작성한 감사 검토의견서를 현장검증하겠다고 하면 응하겠다고 하자, 국민의힘은 이 역시도 불가하다고 맞섰다. 국회 법사위는 결국 야당 주도로 최 감사원과 최 사무총장을 국회증언감정법 위반으로 고발하기로 의결했다.는 주장을 폈다. 국민의힘도 지난 국감 때와 마찬가지로 최 감사원장을 거들며 열람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여당 간사인 유상범 의원은 “감사회의록이 공개되면 감사위원 발언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결국 독립성 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감사회의록 공개는 ‘여야 합의’가 있었다는 전례를 강조했다.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관례가 아닌 국회증언감정법에 따라’ 군사·외교·대북 관계 관련 국가기밀이나 국가안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면 제출을 거부할 수 없다고 했지만, 최 감사원장은 감사원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거론하며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감사원 실세’로 통하는 유병호 감사위원도 “회의록을 공개하게 되면 감사원 최고의결기구 기능이 심각하게 훼손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이에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관저에 드레스룸, 샤워룸이 있는데, 하나는 뭔지도 모른다. 밝혀져야 한다. 못 할게 뭐가 있나? 관저는 김건희·윤석열 내외가 가지고 갈 것이 아닌 국가재산”이라고 했다. 박 의원은 “과거에도 회의록 공개를 하지 않으면 열람은 가능했다. 최소한 회의록 열람은 하게 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회의록을 공개하지 않으려는 이유가 있느냐. 숨기고 싶은게 있기 때문 아니냐”고 따졌다.
정회했던 국감은 오후 5시께 재개되자마자 여야 의원들이 자리에서 모두 일어나 고성을 주고받는 상황으로 번졌다. 정청래 위원장이 “조은석 감사위원의 감사 검토의견서를 20분 동안 열람하겠다”고 말하면서다. 앞서 조 감사위원은 “자료 제출 의무는 없고 합당하지 않다. 다만 제가 한 검토의견서 원문이 사무실에 있기 때문에 문서 검증을 요구한다면 국회증언감정법에 따라 응하겠다”고 했다. 이에 유상범 의원 등 여당은 “자료 제출 권한 주체는 감사원이다. 감사위원 개인이 할 수 없다”며 들고 일어섰다. ‘유병호 라인’으로 꼽히는 최달영 사무총장은 지난 국감에 이어 이날도 야당을 향해 거칠게 항의하며 고성을 지르기도 했다.최 감사원장은 “감사회의록에 첨부된 의견서는 회의록과 같지만, 첨부되지 않은 의견서는 회의록에 준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조 감사위원 의견서는 회의록에 첨부돼 있지 않지만, 개인 의견서를 어떻게 취급할지는 검토해봐야 한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박준태 국민의힘 의원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감사회의록 등 문재인 정부를 겨냥했던 감사회의록 등도 함께 공개하자고 제안하자, 정청래 위원장이 동의했다. 이에 박 의원 등은 “ 공개하지 말자는 당위성을 표현한 것을 왜곡하고 있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결국 이날 감사원 현장검증은 오후 6시께 관저 이전 의혹 감사회의록 열람을 하지 못하고 끝났다. 국회 법사위는 야당 주도로 감사회의록 열람을 거부한 최재해·최달영 두 사람을 국회증언감정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기로 의결했다. 법사위는 조만간 조은석 감사위원의 감사원 사무실 현장검증을 통해 관저 이전 의혹 감사 검토의견서를 열람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코끼리 코웃음' 두고 언쟁 벌인 정청래·박지원, '한강'까지 언급한 이유1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감사원 대상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대통령 관저 이전 관련 감사위원회 회의록 제출 문제로 격돌했다.주진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저 이전' 공방…野 '감사원 회의록 내야' 與 '독립성 훼손'(종합)(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15일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대통령 관저 이전 비리 의혹' 감사와 관련한 감사원의 회의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회 법제위, 감사원 현장검증 확정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감사원 회의록 공개 거부 및 '21그램' 추천인 밝혀내지 못하는 등 의혹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를 심화시키자, 오는 2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감사원을 직접 찾아 현장 검증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감사원 관저이전 회의록' 제출 여부에 '안보·부패 이슈' 공방(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15일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대통령 관저 이전과 관련한 감사원의 감사위원회 회의록 제출 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김오진 지키기’ 의혹 대통령실, 감사원 징계 요구 뒤늦게 인사혁신처 통보대통령실이 관저 이전 공사를 총괄한 김오진 전 대통령실 관리비서관의 비위 사실을 인사혁신처에 통보하라는 감사원 징계 요구를 언론 보도 이후 뒤늦게 이행한 것으로 24일 확인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용현, 관저 비리마저 ‘전 정부 탓’…감사원은 ‘회의록 공개’ 거부“5월10일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들어갔다. 그 과정에서 이뤄진 모든 공사나 사업체 계약은 전 정부에서 다 이뤄졌다.”(김용현) “대통령 관저 입찰비리가 있다면 문재인 대통령이 책임져야 합니까?”(정청래) 23일 오전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전임 경호처장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