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화보] 위안부 피해자 기리는 ‘기억의 터’ 조형물 철거

대한민국 뉴스 뉴스

[현장 화보] 위안부 피해자 기리는 ‘기억의 터’ 조형물 철거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2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1%
  • Publisher: 51%

서울시가 5일 아침 중구 남산 ‘기억의 터’에 있는 민중미술가 임옥상 작가가 제작에 참여한 ...

서울시가 중구 남산 ‘기억의 터’에 있는 민중미술가 임옥상 작가가 제작에 참여한 ‘세상의 배꼽’ 조형물을 5일 철거하고 있다. 임 작가는 강제추행 혐의로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한수빈 기자 전날 정의기억연대 등 여성단체 회원들은 “기억의 터는 조형물 제작 과정에 참여한 수많은 추진위원과 여성 작가들, 모금에 참여한 1만9754명의 시민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존경과 ‘아픈 역사를 반드시 기억하겠다’라는 다짐으로 만들어낸 집단 창작물”이라며 철거를 반대하며 조형물 주변을 지켰다.서울시는 “성추행 선고를 받은 임옥상 씨의 작품을 그대로 남겨두는 것은 생존해 계신 위안부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정서에 반하는 행동”이라며 “‘기억의 터’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며 공간의 의미를 변질시킨 임 씨의 조형물만 철거하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대지의 눈’에는 위안부 피해자 김순덕 할머니의 그림이, ‘세상의 배꼽’에는 여성주의 작가 윤석남 씨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포토타임]서울시 ‘기억의 터’ 임옥상 작품 강제 철거...정의연 “집단 창작물” 반발[포토타임]서울시 ‘기억의 터’ 임옥상 작품 강제 철거...정의연 “집단 창작물” 반발서울시 ‘기억의 터’ 임옥상 작품 강제 철거.정의연 '집단 창작물' 반발 서울시가 남산 일본군 위안부 추모 공원 ‘기억의 터’에 있는 미술가 임옥상씨의 작품을 철거했다. 정의연 측은 '임씨의 범죄는 규탄하지만, 기억의 터는 시민들이 만들어낸 집단 창작물'이라며 서울시의 철거 방침에 맞섰다. 서울시는 ‘기억의 터’ 설립추진위원회와 논의해 새 작품을 설치할 계획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시, ‘기억의 터’ 임옥상 작품 5일 새벽 기습 철거서울시, ‘기억의 터’ 임옥상 작품 5일 새벽 기습 철거서울 중구 남산공원 ‘기억의 터’에 설치된 임옥상 작가의 작품 두 점이 5일 오전 결국 철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만리재사진첩] ‘기억의 터’는 개인 창작물이 아닌 집단 창작물…“기습철거 규탄한다”[만리재사진첩] ‘기억의 터’는 개인 창작물이 아닌 집단 창작물…“기습철거 규탄한다”시민사회 단체들이 ‘위안부’ 역사를 기록하는 ‘기억의 터’ 조형물을 철거하려는 서울시에 항의하는 규탄행동에 돌입했다. 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억의 터 추진위원장 “임옥상 지워도 조형물 철거는 반대”기억의 터 추진위원장 “임옥상 지워도 조형물 철거는 반대”“나 역시 임옥상 지우기에 참여했다.” 최영희(73) 전 기억의 터 조성 추진위원장은 4일 한겨레에 이렇게 말했다. 최 전 위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시, 임옥상 ‘기억의 터’ 작품 철거 일정 연기…“5일 반드시 철거”서울시, 임옥상 ‘기억의 터’ 작품 철거 일정 연기…“5일 반드시 철거”서울 중구 남산 ‘기억의 터’에 설치된 임옥상 작가의 작품을 서울시가 4일 철거하려 했으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시 “남산 ‘기억의 터’ 임옥상 작품, 4일 계획대로 철거”서울시 “남산 ‘기억의 터’ 임옥상 작품, 4일 계획대로 철거”서울시는 중구 남산 ‘기억의 터’에 설치된 민중미술가 임옥상 작가의 작품을 계획대로 4일 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3 01:4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