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동정담] AI 그림은 위작?

대한민국 뉴스 뉴스

[필동정담] AI 그림은 위작?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인공지능(AI)이 그린 그림이 작년 3월 미국 콜로라도주 박람회 미술전에서 1등 상을 받았다기에 일부러 그 그림을 찾아본 적이 있었다. 깜짝 놀랐다.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이라는 제목이 붙은 그 그림의 장엄함에 압도됐다. 그림만 놓고 본다면 예술적 가치를 부인하기 힘들었다. 해당 그림을 출품한 제이슨 앨런은 그 이후 줄곧 미국 저작권 사무소에 AI가 그린..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이 작년 3월 미국 콜로라도주 박람회 미술전에서 1등 상을 받았다기에 일부러 그 그림을 찾아본 적이 있었다. 깜짝 놀랐다.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이라는 제목이 붙은 그 그림의 장엄함에 압도됐다. 그림만 놓고 본다면 예술적 가치를 부인하기 힘들었다. 해당 그림을 출품한 제이슨 앨런은 그 이후 줄곧 미국 저작권 사무소에 AI가 그린 그림의 저작권을 인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1등을 할 정도로 예술성이 있으니 저작권도 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저작권 사무소는 그 요청을 계속 기각했다. AI가 그린 그림에는 인간의 수고가 들어 있지 않다는 게 이유였다. 법원 역시 22일 같은 취지의 판결을 내렸다. 미국 워싱턴DC의 연방 판사 베릴 하월은 한 발명가가 AI로 만든 예술품의 저작권을 인정해 달라고 낸 소송에서"법원은 인간의 개입 없이 만들어진 작품에 대해 일관되게 저작권을 부인한다"며 기각했다. 저작권 사무소와 법원의 논리는 위작의 예술성과 저작권을 부인하는 근거와 비슷하다. 어떤 위작은 그림만 놓고 보면 너무나 아름답고 감동적이다. 17세기 화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작품이라고 했던 '엠마오 집에서의 저녁 식사'는 세계 평론가들이 그 예술성에 감동받았다며 극찬했다. 그러나 위작 사실이 들통나면서 예술적 가치가 어느 날 갑자기 제로가 됐다. 위작자는"그림은 어제나 오늘 그대로인데 어떻게 그럴 수 있나"라고 항의했다.

그러나 미학자 데니스 더턴이 밝혔듯이 예술은"수행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연주나 공연뿐만 아니라 그림 역시 예술가가 어떤 일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성취되는 것이다. 반면 위작은 그 수행 과정이 오염됐다. 남의 성취를 도용했기 때문이다. 저작권과 예술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 AI가 그린 작품 역시 다르지 않다. '그림이 아름답다'는 말은 들을 수 있어도 예술은 아니다.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만들어낸 그림에는 예술가가 수행을 통해 얻어낸 성취가 없다. 위작에 가깝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필동정담] 캠프데이비드, 그 다음[필동정담] 캠프데이비드, 그 다음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18일 미국 캠프데이비드 방문은 짧지만 강렬했다.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가 강했던 '대통령 윤석열'의 무게에, 아버지를 여의고 슬퍼할 새도 없이 출장길에 오른 '인간 윤석열'의 이미지까지 더해져 한·미·일 3국 언론에서 칭찬과 위로가 쏟아졌다. 대통령으로서는 취임 후 가장 뿌듯한 외교 성과였을 것이다. 다자회의 계기에나 만나던 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필동정담] 펜트하우스 오픈런 - 매일경제[필동정담] 펜트하우스 오픈런 - 매일경제'가장 눈길이 가는 자산은 펜트하우스죠.' WM(자산관리)으로 유명한 금융사의 담당 임원 A씨의 설명이다. 대기업 임원인 A씨가 자신의 급여로도 부담스러운 펜트하우스를 주목하고 있는 것은 품귀현상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수년 새 초고액 자산가가 빠르게 늘었다. 상속 기업이나 창업 스타트업 매각, 주식·코인 투자 등 이유는 다양하지만 자신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팩플] '저작권 보호 AI 음악도구 선보이겠다'...새 판 짜는 유튜브[팩플] '저작권 보호 AI 음악도구 선보이겠다'...새 판 짜는 유튜브그는 '중요한 변곡점에서 지속적인 책임감을 갖고 AI 기술을 과감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며 '(음악 AI 인큐베이터는) 아티스트, 작곡가 등과의 협업을 통해 유튜브의 AI 활용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성 AI 기술로 만든 커버곡 영상이 유튜브나 틱톡 등에서 빠르게 확산하며 저작권 침해 우려가 현실화되자 유튜브가 ‘안전한 음악 AI’, ‘저작권을 보호하는 AI’를 배포하기로 나선 것. 기존 저작권 관리 기술인 ‘콘텐트 ID’를 앞으로도 적극 활용하고, 생성 AI 기술을 활용한 저작권 침해를 식별하는 데 노력하겠다고도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화 230편 1초에 처리”···SK하이닉스, AI용 초고성능 D램 HBM3E 개발“영화 230편 1초에 처리”···SK하이닉스, AI용 초고성능 D램 HBM3E 개발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용 초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D램 신제품인 ‘HBM3E’ 개발에 성공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문협회, 뉴스 도용 방지 위해 AI기업에 5대 요구사항 전달신문협회, 뉴스 도용 방지 위해 AI기업에 5대 요구사항 전달신문협회는 의견서에서 '언론사가 생산한 뉴스 콘텐트를 생성형 AI 개발 기업이 저작권자의 사전 동의나 학습 데이터의 이용 출처 등을 명기하지 않고 활용하는 등 저작권 침해 행위가 광범위하게 발생해 뉴스 콘텐트의 가치가 훼손되고 있다'며 '저작권 보호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제도 개선 등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뉴스 저작권 보호가 긴요하다'고 밝혔다. 5대 요구사항은 ▲뉴스 저작권자와 이용기준 협의 ▲‘글로벌 AI 원칙’ 준용 공표 ▲생성형 AI 학습 데이터의 출처 등 공개 ▲뉴스 콘텐트 이용 방식 구체적으로 명시 ▲뉴스 저작물에 대한 적정한 대가 산정기준 마련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뉴스 콘텐트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는 저작물이고, 뉴스 콘텐트에 대한 저작권은 언론사가 갖고 있어 AI 기업이 무단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AI 학습에 활용하는 것은 언론사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넷플릭스도 연봉 12억 내걸었다…'AI 인재 못 구해 난리' [팩플]넷플릭스도 연봉 12억 내걸었다…'AI 인재 못 구해 난리' [팩플]직원 500명 이상 규모의 한 IT기업 CTO는 '국내 AI 기술 수준은 CAIO 도입을 논하기 다소 이른감이 있다'며 '서비스화가 가능한 AI 인력과 기술력을 갖추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박수현 우아한형제들(배민 운영사) 데브렐 팀장은 'AI 기술 발달로 사내 개발 인력의 구조나 개발자 채용 수요를 예측하고 장기 로드맵을 짜고 있다'며 '기업들이 개발 인재를 육성하고, 영입도 해야하기 때문에 데브렐 업무는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현정 IBM 컨설팅 대표는 '국내 산업 구조상 AI 인재 육성 기반이 아직은 약하기 때문에 기업들의 임원과 간부 수요 부족은 계속될 것'이라면서 '실제 역량은 부족하지만 AI 인재로 포장된 사람을 영입하면 조직 전체가 헤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9 00:4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