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권조례를 폐지하고 교권보호조례, 학부모권조례를 제정하겠다는 후보들이 많았다. ‘말 안 듣는 학생은 때리고 싶다’는 말로 들리는 것은 청소년기 학교에서 대걸레 자루로 맞으며 자라서 생긴 트라우마 때문일까. 📝 변진경 기자
학교에서 많이 맞고 자랐다. 꽤 ‘범생이’였는데도 그랬다. 까부는 학생은 더 맞았고 얌전한 학생은 조금 덜 맞았다. 떠들어도 맞고 지각해도 맞고 졸아도 맞고 말대꾸해도 맞았다. 머리카락이 귀밑 아래 3㎝를 넘으면 가위로 잘렸고 눈썹을 다듬은 학생은 목장갑을 낀 ‘학주’의 손에 눈썹이 뽑혔다. 치마 길이가 길거나 짧거나 규정에 맞는 흰 양말을 신지 않은 학생은 교무실로 불려가 ‘캠코더 촬영’을 당했다. 그걸 당한 친구는 “캠코더가 아래위 몸을 훑는데 이상하게 몸에 소름이 돋더라”고 말했다. 옆 학교 친구는 담임에게 뺨을 맞아 고막이 터졌다. 얼마 뒤에 맞은 자리를 또 맞아 붙은 고막이 또 터졌다. 어떤 친구는 수업 시간에 떠들었다고 목이 조인 채 들어 올려진 다음 바닥에 내동댕이쳐졌다. 학교 복도에는 늘 무릎을 꿇고 앉아 창문 아래 선반에 이마를 댄 학생들로 가득했다. 교사는 대걸레 자루로 한 번에 서너 명씩 학생들 머리를 선반 쪽으로 밀쳤다. 머리들이 용수철처럼 앞뒤로 튀었다.
하도 때려서 ‘미친 개’로 불리던 한 교사를 보다 보다 못 참아 친구 몇 명과 함께 고발하기로 했다. 교장실로 걸어 들어갔다. 한참 친구들의 피해 사실을 이야기하고 나니 교장 선생님은 손가락으로 금테 안경을 올리며 물었다. “너 몇 학년 몇 반, 이름 뭐?” 착실하게 대답하고 나니 교장은 나지막하게 말했다. “밖에서 말하고 다니면 혼날 줄 알아.” 내가 청소년기 학교를 다닌 고장은 대구였다. 지역별로 체벌의 차이가 크다는 걸 다른 도시에 간 뒤에야 알았다. 지난번 교육감 선거를 취재하며 앞으로도 학생들 삶이 지역별로 천양지차겠다 싶었다. 학생인권조례를 폐지하고 교권보호조례, 학부모권조례를 제정하겠다는 후보들이 많았다. ‘말 안 듣는 학생은 때리고 싶다’는 말로 들리는 것은 청소년기 학교에서 대걸레 자루로 맞으며 자라서 생긴 트라우마 때문일까. ‘그때 그 선생님께 맞으며 자라서 내가 사람 됐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을 종종 만난다. 글쎄.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 여사 연이은 논란에... 윤 대통령 '처음이라 공식-비공식 어떻게 나눠야 할지'김 여사 행보 연이은 논란... 윤 대통령 '어찌 정리해야 할지' 윤석열 출근길 한일정상회담 김건희 화물연대 유창재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근로시간만 길다?…직장인 진 빼는 이것도 '세계 1위''이 시간'이 길수록 일에 대한 만족도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직장인 근로시간 만족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정치보복, 사법살인'…'대장동 수사'에 격한 반발이 의원은 서울 중앙지검 대장동 수사팀이 이 의원의 성남 시절 배임 혐의 입증을 위한 수사를 진행한 사실을 전한 보도를 공유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안구단] '한 사람 책임만은 아냐'…고 이예람 중사 가해자, 2심서 감형*JTBC 온라인 기사 [외안구단]에서는 외교와 안보 분야를 취재하는 기자들이 알찬 취재력을 발휘해 '뉴스의 맥(脈)'을 짚어드립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류현진, 팔꿈치 수술 결정으로 시즌 마감…야구 인생 4번째 수술(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류현진(35·토론토 블루제이스)이 결국 수술대에 오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현진에 '배퀴벌레'…건들면 '준빠' 온다, 여당 '이준석 주의보''이준석 대표는 당신과 격이 다른 정치인'...배현진 최고위원이 13일 받은 문자 메시지의 일부입니다.\r국민의힘 이준석 준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