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간'이 길수록 일에 대한 만족도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직장인 근로시간 만족도
국내 근로자 10명 중 2명 이상은 출·퇴근하는 데 두 시간 이상 허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시간이 길수록 일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지고, 아예 직장을 옮기려는 근로자도 많았다. 체력과 비용을 출·퇴근으로 허비하고, 여가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이에 따르면 조사대상 근로자가 출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35분이었다. 퇴근 시간이 같다고 가정하면 출·퇴근에 1시간 10분이 소요된다.출근 시간만 기준으로 할 때 20분 미만은 29.4%, 20~40분 미만은 32.4%, 40~60분 미만은 15.7%이었다. 60~90분은 16.4%, 90분 이상은 6.1%로 출근하는데 1시간 이상 시간을 쓰는 근로자가 22.5%나 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통근에 사용하는 한국인의 비율은 1995년 9.6%이던 것이 2000년 14.5%, 2010년 15.6%, 2015년 22.5%로 크게 늘어났다. 평균 통근시간도 58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보다 두 배 이상 길다. OECD 회원국 중 2위인 일본과 터키보다도 18분이나 더 통근하느라 시간을 허비한다.이러다 보니 일에 대한 만족도도 떨어졌다. 통근시간이 20분 미만인 근로자의 직장만족도가 3.62로 측정됐다. 직장만족도는 통근시간이 길수록 감소해 90분 이상인 근로자의 직장만족도는 3.28에 그쳤다.
통근시간은 이직 의사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통근시간이 20~40분인 근로자는 20분 미만인 근로자보다 이직의향이 1.26배 높았다. 40~60분은 1.44배, 60~90분은 1.57배가량 이직 의사가 뚜렷했다. 통근시간이 90분 이상이면 20분 미만인 근로자에 비해이직 의사가 두 배나 높았다. 연구진은"장시간 근로+장시간 통근이 합쳐지면 생산성 등 여러 부문에서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며"장시간 근로를 줄이는 정책 못지않게 장시간 통근을 줄이기 위해 대중교통망 확충, 시차출근제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업무 등을 확대해 근로자의 피로감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8.1이닝 14K' LG 플럿코, 한국 데뷔 후 최고투'8.1이닝 14K' LG 플럿코, 한국 데뷔 후 최고투 KBO리그 외국인_투수 8.1이닝_14K LG_트윈스 애덤_플럿코 양형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첫 승 다시 도전하는 한국 여자배구, 성장통 이겨낼까첫 승 다시 도전하는 한국 여자배구, 성장통 이겨낼까 한국_여자배구 노란 발리볼네이션스리그 윤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IMD 국가경쟁력 평가 하락...23위→27위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 IMD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27위를 차지하며 지난해 23위에서 네 계단 하락했습니다.기획재정부는 오늘(15일) '2022년 IMD 국가경쟁력 연감'에서 한국이 63개국 가운데 27위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분야별로 보면, 경제 성과는 22위로 떨어졌는데, 성장률 등을 평가하는 국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자화자찬의 실체... 한국 떠나는 국내 기업들윤석열 정부 자화자찬의 실체... 한국 떠나는 국내 기업들 기후위기 기후리더십 탄소중립 탈탄소사회 RE100 오기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손흥민은 세계 톱5, 겸손함이 매력”…한국 축구에 빠진 유학생들프랑스 교환학생인 이스마엘과 야신은 “손흥민은 프리미어리그에서 최고의 선수”, “인터뷰 영상을 자주 봤는데 굉장히 겸손하다. 이게 매력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