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인플레 보고] ⑧아이컨그린 '금리인상 대가는 침체'(끝)
배리 아이컨그린 UC버클리 교수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인 배리 아이컨그린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21일 연합뉴스와 이메일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전망을 묻자 대뜸 경기침체 염려부터 꺼냈다.
그는 경기침체가 기업 이익과 매출 성장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이 그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이라며"더 높은 물가상승률이 중앙은행의 더 많은, 그리고 더 빠른 금리 인상을 의미하는 한 시장은 인플레이션을 걱정할 것"이라고 진단했다.미 연방준비제도의 '빅스텝'에 대해선"정확히 몇 번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연준의 연속적인 0.75%포인트 금리 인상은 틀림없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문제는 어떤 대가를 치르냐인데 경기침체가 그중 하나일 것"이라고 경고했다.아이컨그린 교수는"연준이 예상한 것보다 경기침체 가능성이 더 크다"면서 연말 미국의 물가상승률이"연준의 목표치인 2%보다는 지금 수준에 더 가까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코로나19 팬데믹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제로 코로나' 봉쇄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이 지목되지만, 아이컨그린 교수는 수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그는"인플레이션은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할 때 그 결과로 발생한다"며"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거듭 강조한 것처럼 공급 충격과 수요 충격을 함께 주시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그는"이러한 부양책은 작년 하반기는 물론 틀림없이 올해 초에도 인플레이션에 기름을 부은 초과 수요의 원천이 됐다"며"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과 같은 소수의 목소리가 이런 가능성을 경고했고 결국 그들이 옳았다"고 말했다.경기침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물가상승률만 필요한 만큼 끌어내릴 수 있는 '핀셋 처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부동산 시장 전망과 관련해선"주택시장은 한국을 비롯해 어떤 나라에서도 특히 금리에 민감한 경제 분야 중 하나"라면서"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진정돼 짧은 고금리 시대를 겪을 것인지, 아니면 영구적인 새 고금리 시대에 들어설 것인지에 따라 많은 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배리 아이컨그린=미국의 경제학자이자 경제사학자로 1987년부터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미경제연구소와 유럽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소의 리서치 펠로우로 활동 중이며, 1997∼1998년 한국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 수석정책자문을 지냈다. 국제통화와 금융시스템 전문가로 2010년 슘페터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콜롬비아 대선서 게릴라 출신 페트로 승리…첫 좌파 정권 탄생 | 연합뉴스(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콜롬비아에 처음으로 좌파 정권이 들어서게 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콜롬비아 대선서 게릴라 출신 페트로 승리…중남미 '좌파 바람'(종합) | 연합뉴스(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남미 콜롬비아에 처음으로 좌파 정권이 들어서게 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6월 사실상 기준금리 동결…1년 만기 3.7% | 연합뉴스(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중국이 6월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노예해방일 연휴도 '항공대란'…5천편 이상 결항 | 연합뉴스(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미국에서 노예해방일(준틴스 데이) 연휴를 맞아 또다시 항공대란이 재현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