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석 칼럼] 삶의 승화

대한민국 뉴스 뉴스

[최진석 칼럼] 삶의 승화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64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9%
  • Publisher: 53%

사람은 탄성의 속성을 가진 이 힘을 가지고 비로소 자기 자신이 되는데, 사람은 바로 이 힘으로 시시포스가 천형처럼 바위를 밀어 올리듯이 자신을 메고 한계를 넘으려고 발버둥 치는 상승을 한다. 예술적 승화란 자신에게 침범해온 구체적인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과감하게 받아들인 다음, 그것을 어루만지고 또 어루만져서, 마치 기울기를 숙명처럼 받아들이며 계속 걷기만 하는 ‘걷는 사람’처럼 자신의 이상을 메고 지고 가다가, 정상에서 누구에게나 충격을 줄 수 있는 상태로 모양을 갖추는 것이다. 어떤 한 사람을 다른 사람이 아니라 바로 그 사람이게 하는, '탄성의 속성을 가진 이 힘'을 ‘덕’(德)이라고 한다.

“모든 인간은 자기 자신 이상이다.” 나는 헤르만 헤세의 이 문구를 자코메티의 조각 ‘걷는 사람’에서 읽는다. ‘걷는 사람’은 멈추지 않는다. ‘다음’을 향한 기울기를 숙명으로 받아들이며 그저 걸을 뿐이다. 이들은 다음을 향해 튀어 나가려는 탄성이 있어야 진짜 사람임을 제대로 안듯하다. 사람은 탄성의 속성을 가진 이 힘을 가지고 비로소 자기 자신이 되는데, 사람은 바로 이 힘으로 시시포스가 천형처럼 바위를 밀어 올리듯이 자신을 메고 한계를 넘으려고 발버둥 치는 상승을 한다. 승화하는 것이다.2012년에 중국 작가 모옌이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이때 어떤 이들은 사회주의 중국에 타격을 주기 위해 모옌에게 노벨상을 준 것이라 수군대기도 했다. 수군거림에는 언제나 무라카미 하루키의 이름이 따라붙었고, 그 내용은 당연히 무라카미 하루키가 노벨상을 받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나는 예술품에는 승화의 과정이 들어있어야 한다고 본다.

훈련된 지성이 예술품을 만나면, 안정적인 맥박과 고르게 뛰던 심장이 규칙성을 잃고 불균형 상태로 무너지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균형을 잃고 불안정 상태로 무너지면서 특별한 감정에 휩싸이는데, 우리는 그것을 감동이라 한다. 예술적 감동은 결국 감상자가 예술품의 압도적인 힘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무너지며 피어난다. 예술품의 압도적인 힘을 이루는 가장 밑바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의외성이다. 의외적이지 않은 것은 평범하기 쉽고, 예술적이지 않다. 그렇다면, 의외성은 어디에서 태어나는가? 고유함이다. 우리는 예술품 앞에서 한 인간이 자신에게만 있는 고유함을 보편적인 높이로 승화시키기 위해서 얼마나 꾸준히 걸었는지를 눈치채고 공감하면서 자신의 전체가 반응하는 특별한 느낌을 받는다. 어찌 심하게 떨리지 않겠는가.

어떤 한 사람을 다른 사람이 아니라 바로 그 사람이게 하는, “탄성의 속성을 가진 이 힘”을 ‘덕’이라고 한다. ‘덕’은 궁금증과 호기심을 근본으로 하는데, 탄성의 속성은 바로 궁금증과 호기심으로 만들어진다. 삶의 승화는 고유한 ‘나’가 보편적인 높이를 갖게 상승하는 일이므로, 오직 고유한 ‘나’가 삶의 승화가 일어나는 시발역이면서 종착역이다. 대답하는 자가 아니라 질문하는 자가 세계의 주인 자리를 차지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문명 전부가 한 톨도 예외 없이 모두 질문의 결과 아니겠는가. 대답은 타인이 발휘한 궁금증의 결과를 먹었다 뱉었다 하는 일이므로, 여기에는 굳이 나의 ‘덕’이 작용할 필요가 없다. 반대로 질문은 자신만의 궁금증을 세상에 내놓는 지적인 용기이므로 ‘덕’이 작용한다. 삶의 승화를 이룬 자가 세상의 주인인 것이 당연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세상의 주인은 바로 자신이 자신의 주인이었던 자다.

자신의 삶에서 자신이 주인이 아니면, 삶은 승화에서 빗겨 나고 지지부진해진다. 이것은 정치적인 문제가 아니라, 존재적 문제이다. 지지부진한 삶에서 벗어나 승화의 길에 들고 싶은 생각이 들 때, 우선은 자신을 자신이게 한 그것, 즉 ‘덕’을 살필 일이다. ‘덕’을 살피는 자는 우선 자신을 궁금해한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나는 어떻게 살다 가고 싶은가? 자신을 궁금해하지도 않으면서, 삶이 예술적인 높이까지 승화하기를 꿈꿀 수는 없다. 지지부진한 삶에서 벗어나고 싶거나 정해진 마음이 주는 답답함에서 벗어나고 싶으면, 우선 자신을 궁금해하라. 자신을 부지런히 궁금해하면, 자신의 삶이 예술적으로 승화하는 것을 경험하며 열락에 빠질 것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유명 종합병원의 '주4일제' 실험... 놀라운 결과유명 종합병원의 '주4일제' 실험... 놀라운 결과[소셜 코리아] 일과 삶의 균형 찾는 '시간의 정치'가 필요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삶의 향기] 시와 기쁨의 원천, 야생의 소리[삶의 향기] 시와 기쁨의 원천, 야생의 소리대개 큰소리들은 생명을 죽이는 소리이니! 그리고 큰소리만 잘 듣던 내 귀에 복면을 씌우고, 들릴 듯 말 듯 저 세미한 소리에 징검다리를 놓으리.’ 쌀 붇는 세미한 소리를 들은 이후 나는 소리에 더 민감해졌다. 인류는 음향적 창조성의 정점인 동시에 세상의 풍성한 음향을 부수는 파괴자다'.(데이비드 G 해스컬, 『야생의 치유하는 소리』) 그러니까 동식물의 서식처 파괴와 인공적 소음이 지구상의 소리의 다양성을 파괴하고 있다는 것. 야생의 소리가 점차 사라지고 인간이 일으키는 인공적 소음이 다른 생명의 소리들을 짓누른다면 지구는 생기를 잃고 훨씬 단조로워지고 말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두 눈 실명했는데 '삶의 질 향상' 홍보…허위리뷰 천태만상 [머니 클라스]두 눈 실명했는데 '삶의 질 향상' 홍보…허위리뷰 천태만상 [머니 클라스][앵커]경제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당장 내 돈이 되는 정보, 머니클라스! 윤정식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24일) 주제는 뭔가요?[기자]오늘 준비한 주제는 바로 이겁니다. | 어디까지 믿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선균이 김승희 가릴 순 없다 [김민아 칼럼]이선균이 김승희 가릴 순 없다 [김민아 칼럼]주말을 앞둔 20일, 두 가지 뉴스가 터져나왔다.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의 ‘자녀 학교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누리 칼럼] 의대 정원 두배 확대를 “대환영”한 독일의사협회[김누리 칼럼] 의대 정원 두배 확대를 “대환영”한 독일의사협회그때 독일 의사들을 떠올리며 한국 의사들을 생각한다. 특히 충격적인 것은 코로나 팬데믹에 대응하는 대조적인 태도다. 인구수당 의사 수가 한국보다 두배 넘게 많은 독일에서 정부는 의대 정원 두배 확대라는 파격적인 대책을 내놓았고, 독일의사협회는 ‘대환영’의 뜻을 밝혔다. 반면 한국 의사들은 공공병원 확충을 위해 의대 정원을 겨우 400명 증원하려던 정부에 ‘진료 거부’와 ‘시위’로 맞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의동 칼럼] ‘투 코리아’ 방안, 공론화할 만하다[서의동 칼럼] ‘투 코리아’ 방안, 공론화할 만하다윤석열 정부가 내년에 30주년을 맞는 정부 공식 통일방안(민족공동체 통일방안) 개정을 검토하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9 22: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