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는 ‘기술이 나와 가족을 20년간 먹여 살릴 것’이란 생각에 조금이라도 이른 시기에 결단을 내렸다고 했다. 은퇴를 걱정하고 준비하기엔 아직 이른 나이 같지만 ‘퇴직 후 일자리’ 고민은 어느새 눈앞의 현실로 다가왔다. 강민정 한국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가장 왕성하게 일할 50대 초반부터 노동시장의 단절을 걱정하는 건 국가적 차원에서도 큰 손실'이라며 '여전히 노동생산성을 담보할 수 있는 고학력 신중년층과 은퇴 후 노동시장을 긴밀히 연계하는 사회적 관계망과 인프라를 시급히 구축해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정강영씨는 2년 전 ‘도로 인턴’이 됐다. 취직 초기 수습 생활을 한 뒤 40년 만이다. 출근 시간은 오전 6시30분. 매일 아침 아직 아무도 안 나온 사무실 바닥을 쓸고 커피머신을 닦는다. 정씨는 “비록 인턴이지만 그래도 일을 놓지 않은 나 자신이 대견하다 싶다”고 했다.
김모씨도 요즘 ‘현장’에 나가 있다. 3년 전부터 광고대행 업무를 하는 틈틈이 목공·배선 전문가들에게 차근차근 집짓기를 배우는 중이다. 김씨는 ‘기술이 나와 가족을 20년간 먹여 살릴 것’이란 생각에 조금이라도 이른 시기에 결단을 내렸다고 했다. 김씨는 한때 ‘X세대’로 불린 1970년대생이다. 은퇴를 걱정하고 준비하기엔 아직 이른 나이 같지만 ‘퇴직 후 일자리’ 고민은 어느새 눈앞의 현실로 다가왔다. 관련기사 “은퇴 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여러 가능성을 두루 타진해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로 일하는 진용철씨는 자신의 경험담을 이렇게 털어놨다. 진씨는 한국전력 근무 중 대학원에 다니며 심리상담사 석사 학위를 받아 놨다. 대기업 프로그래머였던 차만희씨는 은퇴 후 푸드마켓 매니저로 배달 일을 하고 있다. 그는 “오히려 퇴직 후엔 많이 움직이는 일을 하고 싶었다”며 “쉬면 안 된다. 움직여야 산다”고 했다.통계청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55~64세 중 자의든 타의든 주된 직장을 관두는 나이는 49.4세. 절반 이상이 60세 정년은커녕 50세 이전에 퇴직을 경험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50대는 859만여 명으로 연령대별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세대다. 2차 베이비붐 세대는 물론 86세대와 X세대 등이 뒤섞여 있는 우리 사회의 중추 집단이다. 그만큼 일하려는 욕구도 강하다.
50대의 또 다른 특징은 앞선 세대보다 학력과 소득이 높다는 점이다. 자녀 교육과 부모 건강에 지출도 많은 ‘신중년’이다. 그래서 원하는 일자리에서 더 일하고 싶어하는 열망이 강하다. “편의점·치킨집 하다가는 말아먹기 십상”이란 김모씨 말대로 자영업보다 안정적 일자리를 선호한다. 반면 정부의 노인 일자리 확대 정책은 단순 노무나 서비스업에 쏠려 있다 보니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게다가 내년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어 ‘노는 노년’에 대한 5060세대의 불안감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강민정 한국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가장 왕성하게 일할 50대 초반부터 노동시장의 단절을 걱정하는 건 국가적 차원에서도 큰 손실”이라며 “여전히 노동생산성을 담보할 수 있는 고학력 신중년층과 은퇴 후 노동시장을 긴밀히 연계하는 사회적 관계망과 인프라를 시급히 구축해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일자리 노인 일자리 안정적 일자리 고학력 신중년층 인턴 은퇴 신중년층 SPECIAL REPORT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법조판 타다…AI 법률상담 충돌리걸테크 첫 시험대변협, 무료서비스 내놓은 대륙아주에 징계절차 착수광고규정 위반 등 명목…변호사 일자리 위협 우려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건설노조 ‘부실공사119’에 쏟아진 ‘우중타설’ 제보, 입주예정자도 민원건설노조 “건설노조 탄압으로 숙련공들 일자리 잃자 더 불안해진 건설현장, 정부·지자체 해결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취미로 25년 연마, 퇴직 후 인생 2막을 연 직업은?[퇴직 후 새 인생 개척 소시민 이야기] 서예&캘리그라피, 경석서예연구소 김판수 대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교 중퇴한 은퇴 공무원, 대학 강단 서다[퇴직 후 새 인생 개척 소시민 이야기] 경기도 부천대학교 경영학과 오영승 특임교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식인 134인 시국선언' 주도[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14] '박정희 시대'가 끝나고 '서울의 봄'이 온 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초고령화 시대 앞두고 ‘잘 늙는 법’ 담은 도서들 인기초고령화 시대를 앞두고 ‘노화’에 대한 사람들이 관심이 커지면서, 지난해 노화 관련 도서 출간 종수와 판매량이 모두 늘었다. 건강한 나이듦을 뜻하는 ‘웰에이징’(Well-ag...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