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생각] 시위와 저항은 문화의 얼굴을 한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책&생각] 시위와 저항은 문화의 얼굴을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농민항쟁에서 촛불집회까지, 파리코뮌에서 68혁명까지송찬섭 외 지음 l 서해문집 2만4000원 시...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농민항쟁에서 촛불집회까지, 파리코뮌에서 68혁명까지송찬섭 외 지음 l 서해문집 2만4000원 시위는 비상한 방식으로 집단적 의사를 표출하는 행동이다. 기존 시스템이 제구실을 하지 못해 언로가 막히고 불의가 창궐할 때, 시위는 막힌 언로를 뚫고 불의를 물리치는 방편이 된다. 시위에 나설 일이 날로 늘어가는 이즈음, 지난 시위들에서 가르침을 얻어보면 어떨까.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는 나라 안팎의 주요 시위들을, 특히 ‘시위 문화’에 초점을 맞춰 돌아본 책이다. 시위는 근대적 정치의식의 성립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근대의 전야라 할 1862년 삼남 70여 개 고을에서 일어난 농민항쟁은 전근대 시기에 이미 시위 문화의 큰 틀이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환정문란과 수령 및 아전의 탐학에 반발해 일어난 농민항쟁의 자료로는 특히 진주 지역의 양상이 자세하다.

통문을 이용한 인원 동원과 행진, 목봉과 낫 등의 원초적 무장, 깃발과 노래, 파괴와 응징 등은 근대 이후 시위들의 주요 면모를 두루 담고 있다. 동학농민전쟁 때에는 특히 깃발이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는 마을마다 존재했던 농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농민군이 있는 곳은 어디이든 깃발이 있었을 정도”로, ‘보국안민창의’나 ‘인’ ‘의’ 같은 글자가 쓰이기도 했지만 글자가 없는 흰 깃발이 수적으로는 가장 많았다. 박정희 시절 대학생들은 가상 재판과 장례식, 초혼 굿 같은 문화적 우회로로 정치적 의사를 표현했다. 스페인내전 때 공화 진영은 선전 포스터를 적극 활용해 효과적인 여론전을 펼쳤다. 유럽과 미국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펼쳐진 68혁명은 일상과 문화와 정치를 한 줄로 꿴 ‘문화혁명’이자 “축제와 함께하는 삶과 정치의 전복과 재구성이었다.”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화성에 가서도 추석 차례를 지내더라니…화성에 가서도 추석 차례를 지내더라니…[책&생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토, 당신은 행복한 사람입니다오토, 당신은 행복한 사람입니다리뷰] 영화 를 보고 든 삐딱한 생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향 안가는 게 대세?…성인 절반 이상, ‘귀성’ 대신 ‘이것’ 택했다고향 안가는 게 대세?…성인 절반 이상, ‘귀성’ 대신 ‘이것’ 택했다51.2% “고향 갈 생각 없다” “연휴 관련 계획없다”가 1위 “게임·OTT 볼 것” 2위 차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과 책 사이]시민의 목소리를 줄이려는 정부에게[책과 책 사이]시민의 목소리를 줄이려는 정부에게서초동의 한 초등학교 교사의 죽음으로 촉발된 교사들의 ‘교권 회복’을 위한 집회가 계속되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음주부터 '수술실 CCTV' 의무화…환자·보호자 요청시 촬영해야다음주부터 '수술실 CCTV' 의무화…환자·보호자 요청시 촬영해야오는 25일부터 수술실 내부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운영해야 한다. 〈사진=JTBC 방송화면 캡처〉 다음 주부터 의료기관은 수술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죄, 과거 대통령 때는 어땠나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죄, 과거 대통령 때는 어땠나[주간경향] 명예훼손죄는 개인의 명예, 즉 인격권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표현의 자유’라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11:5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