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노 대통령은 연금 보험료율 인상(더 내기)과 소득대체율 인하(덜 받기)를 골자로 한 연금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노무현 정부에 대해선 다양한 평가가 있겠지만, 적어도 연금개혁에선 청년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해 귀중한 성과를 남겼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1998년 김대중 정부 때도, 2007년 노무현 정부 때도 연금 개혁 법안은 여야 합의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표류하는 국민연금 개혁 에 대해 세 가지 중대한 원칙을 제시했다. 청년 세대로선 가뭄에 단비처럼 반가운 소식이다. 이대로 가면 기성세대가 무책임하게 떠넘긴 막대한 연금 적자를 청년 세대가 고스란히 떠안을 판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급해도 개혁의 방향을 잘못 잡으면 오히려 안 하느니만 못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각종 이익집단의 이해관계에 휘둘리지 말고 정부가 중심을 잡아줘야 하는 이유다.
사실 최 대행이 제시한 3대 원칙은 18년 전 노무현 대통령이 주도했던 연금 개혁의 원칙과 정확히 일치한다. 당시 노 대통령은 연금 보험료율 인상과 소득대체율 인하를 골자로 한 연금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다만 국회 본회의 표결에서 연금 개혁 법안이 한 차례 부결되는 진통을 겪으며 연금 보험료율 인상은 빠졌다. 정작 ‘노무현 정신’을 계승한다고 자처하는 더불어민주당이 노무현 정부의 연금 개혁을 부정하고 나선 것은 아이러니다. 민주당의 요구는 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의 동시 인상, 즉 더 내고 더 받기다. 18년 전 노무현 정부의 연금 개혁을 완전히 거꾸로 되돌리자는 발상이다. 더 내고 더 받기는 역대 정부에서 한 번도 시도한 적이 없다. 연금 재정이 안정되기는커녕 장기적으로 더욱 악화할 게 명확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진정으로 연금 개혁을 하자는 것인지, 오히려 연금 개악을 하자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연금 최상목 개혁 법안 개혁 논의 국민연금 개혁 사회적 합의 소득대체율 연금개혁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신속 추경 촉구한 이재명, '민생지원금 포기'도 감수'연금개혁, 초당적으로 시행해야...2월 안에 모수개혁 매듭짓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반도체법 ‘주52시간 제외’ 빼고 처리...패스트트랙도 검토”진성준, 정책현안간담회 “연금개혁, 복지위서 모수개혁 먼저 합의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최상목의 경찰 ‘친윤 인사’, 선택적 대통령 놀이 멈추라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5일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을 경찰 서열 2위인 치안정감 승진자로 내정했다. 박 국장은 12·3 내란 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의 트집잡기, 윤석열에게 배웠다[이충재의 인사이트] '거부권 남발·법 무시·책임 떠넘기기' 똑같아...마은혁 임명 보류, 윤석열식 '늑장 인사' 연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헌법재판관 임명 보류’ 위헌 결정 시 최상목의 선택은?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회 추천 몫 헌법재판관 3명 중 마은혁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에 대한 위헌 여부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의 내수 침체 대응? 그것만으로는 안 된다[소셜 코리아] 환율 탓에 금리 못 내려... 예산 조기집행 아니라 추경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