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두절미하고 1953년 7월27일 체결된 정전협정문을 보여드리겠습니다.
3년 1개월 2일간의 혈전을 끝내고 1953년 7월27일 체결된 정전협정에 따라 교환된 정전협정문에 첨부된 ‘지도1’. 군사분계선이 임진강변인 파주 장단 정동리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시하고 있다. 군사분계선 1호 말뚝이 세워진 장단 정동리의 임진강변 남단은 파주 탄현면 만우리 부근이다.|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원문·박종우 사진작가 제공그 쯤에서 한 5㎞ 정도 더 달리면 임진강변을 따라 설치되어 있던 철책이 갑자기 강 건너 북쪽으로 올라갑니다.“그럼 통일전망대에서 여기까지 오는 자유로의 맞은 편 지역은 뭐냐. 북한땅이냐”고요. 묻는 사람들이 고개를 갸웃거리는 이유가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 포털사이트의 지식백과를 검색해보세요.그런데 군사분계선이 임진강 하구에서 제법 떨어진 내륙에서부터 설치되었다니…. 상식을 거르스냐고 따질 만하죠.
정전협정 1조5항. 군사분계선은 육상에만 있고, 임진강과 한강이 합류해서 서해로 흐르는 한강하구~서해5도, 즉 해상에는 존재하지 않음을 분명히 규정해놓았다. 따라서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상 중립수역으로 규정되어 있다. 민간 선박의 항행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자기측 항구에 정박할 수도 있다. |위키피디아그럼 임진강과 한강이 합류해서 넓은 강이 되고, 그것이 강화도의 북변을 흘러 황해도 예성강과 만나 서해로 빠져나가는 수역은 어떻게 규정되어 있을까요. 정전협정에서는 이 수역을 ‘한강구’라 칭하고 ‘첨부지도2’에서 수역의 구획과 성격을 분명히 밝힙니다. ‘첨부지도2’를 보면서 정전협정을 읽어봅시다.
이때 당시 유엔사 정전위 수석대표의 특별고문이었던 이문항씨가 나섰습니다. 이씨는 북한측 군정위 고위간부들과 비공식모임을 통해 준설선 및 예인선이 인천~교동도~한강하구를 거슬러 올라가는 계획을 설명했습니다. 한강하구 중립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유도. 정전협정상 중립섬이다. 1996년 홍수 때 북한에서 소 한마리가 떠내려와 섬에 살다가 반년만에 한국 해병대가 구조한바 있다. 중립섬이라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박종우 사진작가 제공 공산군측은 미군에게서 노획한 피묻은 지프에 백기를 달고 유엔군 대표단을 태운채 개성 시내를 퍼레이드 했습니다. 지프 뒤에 깔끔하게 차려입은 공산군 병사들이 만세 몸짓을 하고, 이 모습을 공산군측 카메라맨이 연신 셔터를 누르고….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전 70주년, 평화통일을 이룰 지도자를 기다리다정전 70주년, 평화통일을 이룰 지도자를 기다리다 정전70돌 박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정은, 러시아 국방장관에 ‘새 무기’ 소개···대형 ‘무인 정찰기’ 등장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전승절(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일) 70주년 기념식 참석차 방북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을 접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예비역 장성 '한반도에 계속되는 미국의 전쟁 끝내야'미 예비역 장성 '한반도에 계속되는 미국의 전쟁 끝내야' 한반도평화법안 미국회의사당 기자회견 정전협정70주년 평화행동 전희경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황, ‘정전 70주년’ 맞은 한반도에 “평화의 예언자 되도록 한국인 격려”“정전 협정 기념이 적대 행위의 중단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는 물론 참으로 더 넓은 세상을 향하여 화해, 형제애, 항구한 화합의 밝은 미래까지도 제시할 것이라고 믿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스광장 2부 헤드라인][출근길 주요 뉴스] ▶윤 대통령 “유엔군 희생 위에 대한민국” ▶북, ‘전승절’ 열병식…“러, 북한 불법 무기 지지” ▶미국 이어 유럽도 기준금리 0.25%p 인상 ▶‘홍콩 묻지마살인’ 검색…‘살인 예고’ 20대 구속 ▶폭염특보 확대…곳곳 강한 소나기 外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서 6·25 정전 70주년 행사…'참전용사 희생에 한미동맹 시작'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이 2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 기념공원에서 열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