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리포트] '미국 탓, 제재 완화 필요' 중 · 러 주장 어디까지 맞나 SBS뉴스
유류 공급 규제 강화 같은 실질적인 대북 압박을 위해서는 안보리 15개 이사국 가운데 9개국 이상이 찬성해야 합니다. 특히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의 반대가 없어야 하는데 미중 갈등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 대 반 서방 대립 구도가 격화하면서 대북 문제로까지 확장되는 모습입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이런 논리인데, 예상하셨겠지만 러시아는 문제의 발단을 미국으로 규정했습니다."이런 일이 발생한 건 북한을 일방적으로 무장해제 시키려는 미국의 욕망 때문"이라는 에브스티그니바 차석대사의 말이 대표적입니다. 러시아는 미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일방적인 안보 원칙을 추진하고 있다고도 비난했습니다. 북한 문제를 넘어 우크라이나 전쟁 등 미국 주도로 움직이는 세계 안보 질서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낸 걸로 보입니다. 둘째 '올바른 길로 돌아가기 위해 대화를 시작하자'입니다. 이를 위해 미국이 솔선수범해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제안을 하고 북한의 정당한 우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형식적 대화에서 실질적 대화로 넘어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반도 비핵화 전진에 전념하면서 동시에 군사 훈련 중단과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한 실질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또,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북한과 대화하겠다고 했지만 실질적인 조치는 하지 않았다는 부분도 그렇습니다. 미 백악관이나 국무부는 브리핑 때마다 북한과 조건 없는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하지만 실제 '대화 노력'보다는 '방치' 내지는 '무시'에 가깝게 느껴지는 게 현실입니다. 미국 내 전문가들도 미 정부 내에서 북한 문제의 우선순위가 너무 낮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통령 출근길 문답 중단, 'MBC가 사과하라'는 국힘대통령 출근길 문답 중단, 'MBC가 사과하라'는 국힘 국민의힘 윤석열_대통령 출근길_문답 김행 MBC 이경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보리서 또 北 엄호한 중·러...韓 'UN 분열 틈타 핵개발'[앵커]지난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열렸지만 이번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빈손으로 끝났습니다.미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태도 변화를 보일지 주목됐지만 중국은 어김없이 북한 미사일 발사를 미국 탓으로 돌리며 결의안 논의에 어깃장을 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걸려도 집행유예'... 마약전문 로펌의 민망한 '호황''걸려도 집행유예'... 마약전문 로펌의 민망한 '호황' 마약전문변호사 마약사범 한림미디어랩 유송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타르 경기장에 뜨지 못한 ‘차별 반대’ 무지개 완장카타르월드컵에 출전한 유럽 7개 국가가 차별 반대의 뜻을 담은 ‘무지개 완장’ 착용을 포기하기로 했습니다. 국제축구연맹이 완장 착용에 대해 옐로카드 등 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뜻을 고수한 탓입니다. 무지개완장 카타르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교부 '北 핵실험 등 중대 도발시 사이버 분야 제재 검토'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정부는 22일 북한이 중대 도발을 지속한다면 사이버 분야 제재 부과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