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차세대 전투기 예산 압박에 가격 상한선 그은 미 공군

대한민국 뉴스 뉴스

[영상] 차세대 전투기 예산 압박에 가격 상한선 그은 미 공군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7%
  • Publisher: 51%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차세대 전투기 사업을 추진하던 미국 공군이 예산 압박이라는 암초에 부딪혔습니다. 미 공군은 '차세...

미 공군은 '차세대 공중 지배'라는 이름 아래 현존 최강으로 꼽히는 5세대 전투기 F-22를 대체할 6세대 전투기 개발을 추진해왔는데요,켄달 장관은 이달 16일 콘퍼런스에서"차세대 전투기 가격을 F-35보다 낮추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습니다.미 공군의 차세대 전투기는 유인 침투 전투기와 적 탐지, 전파 방해 등의 지원 업무를 수행할 무인 협력 전투기로 구성되는데 이중 무인기는 유인기보다 구조가 단순하고 기체도 작아 제작과 운용 비용이 적게 듭니다.한 마디로 더 저렴한 무인기 성능은 높이고, 비싼 유인기 스펙은 낮춰 가격을 잡겠다는 건데 이 말은 만능의 유인 전투기를 포기하겠다는 말로도 해석돼 다양한 추측을 불러왔습니다.편집: 최세진

영상: 로이터·유튜브 United States Air Force·AFResearchLab·Anduril Industries·F-22 Demo Team·Lockheed Martin·GE Aerospace·Pratt & Whitney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서방 지원 F-16 우크라서 추락…최고 조종사 잃었다”“서방 지원 F-16 우크라서 추락…최고 조종사 잃었다”실전 배치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고 조종사의 실수로 인한 사고 가능성 제기 하필 사망한 조종사는 우크라 공군 ‘탑건’ 공중전력 확충 중인 우크라, 타격 불가피 서방 전투기 지원 실효성에 의문 제기될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건 학살” 헤즈볼라 연설 뒤 전투기 띄운 이스라엘…미 “위험 상황”“이건 학살” 헤즈볼라 연설 뒤 전투기 띄운 이스라엘…미 “위험 상황”“적은 선을 넘었다. 이것은 학살이며, 레바논에 대한 침략이다. 전쟁 범죄이며 선전 포고라고 부를 수 있다. 심판이 곧 올 것이다.” 레바논 시아파 무장단체 헤즈볼라의 최고지도자인 하산 나스랄라가 19일(현지시각) 텔레비전 연설을 한 지 약 20분이 지난 순간, 이스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두산밥캣·로보틱스 포괄적 주식교환 합병 철회[단독] 두산밥캣·로보틱스 포괄적 주식교환 합병 철회금감원 압박에 부담느낀듯 두산밥캣 상장은 유지키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두산밥캣-로보틱스 합병 전격 철회...금감원 압박에 백기[단독] 두산밥캣-로보틱스 합병 전격 철회...금감원 압박에 백기금감원 “정정 요구” 압박에 긴급이사회 열고 전격 철회 두산밥캣, 상장은 유지하되 로보틱스 자회사로 이관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 차원이 다른 무인기 시대 연다…미 방산기업 안두릴의 도전[영상] 차원이 다른 무인기 시대 연다…미 방산기업 안두릴의 도전(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요즘 미국 방산업계에서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가 안두릴(Anduril Industries)입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전기차 배터리 가격 받아볼 때마다 놀라”…한국보다 얼마나 싸길래“중국 전기차 배터리 가격 받아볼 때마다 놀라”…한국보다 얼마나 싸길래강 회장은 '(중국이 주로 생산하는 저렴한 배터리인) LFP(리튬인산철)의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한국이 중국에 당하고 있는데, 2010년대에 한국에 역전당한 일본의 모습이 보인다'고 했다. 중국 배터리 기업은 자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 자체 공급망 확보 등의 영향으로 배터리 가격을 낮추고 있다. 김 대표는 기자와 만나 '지금은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지 않도록 빨리 LFP 생산을 할 수밖에 없다'면서 '2030년부터는 가격 경쟁력이 아닌 차세대 배터리라는 새로운 판이 열릴 것인데, 현재 기준으로 차세대 배터리는 한국이 앞서고 있다'고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8 04: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