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김영환 외상센터장이 살핀 주요 사망원인을 봐도 압착성 질식사, 뇌부종(저산소성 뇌손상) 등이 있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공식 원인 규명 지난해 10월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밤 10시15분 폐회로텔레비전 영상 갈무리. 경찰청 특별수사본부 제공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서울 용산 해밀톤호텔 옆 골목엔 1㎡당 최대 11명 가까운 인파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하나의 덩어리처럼 움직였는데, 인파가 겹겹이 쓰러지면서 희생자 1명당 최대 560㎏ 압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됐다.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13일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지난해 10월29일 밤 10시15분 많은 인파가 해밀톤호텔 옆 좁은 골목에서 떠밀려 내려오다 발생한 ‘연쇄적 넘어짐으로 인한 압력’을 지목했다. 그 결과 158명이 압착성 질식사, 뇌부종 등의 사인으로 숨을 거뒀다.
이후 정체와 풀림이 반복되다 사고 발생 직전인 밤 10시13분 내리막길로 인파가 떠밀려 내려오는 현상이 뚜렷해졌고, 10시15분 여러 사람이 동시다발적으로 넘어졌다. 김동욱 특수본 대변인은 “처음 한명이 넘어진 뒤 인파가 밀려 내려오면서 6초가 지나 여러 사람이 넘어졌다”며 “15초 동안 4번의 전도가 있었다”고 했다. 다수가 넘어진 뒤 골목 밖 이태원역 1번 출구 쪽으로 이동하는 군중의 움직임은 더욱 지체됐고, 이에 따라 밀집도는 더욱 높아졌다. 특히 사고가 발생한 현장의 도로 폭은 3.2m에 불과해 가장 좁은 골목 지점이기도 했다. 현장 희생자와 부상자들은 개인당 224∼560㎏ 정도의 힘을 받아 질식 등으로 다치거나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특수본 수사 자문을 맡았던 박준영 금오공과대 교수는 “800명부터 막힘 현상이 발생했다. 밀집도가 높은 상황에서 전도가 발생하면 압사 사고가 일어나는데, T자형 골목 아랫부분에 1800명 정도가 있던 것으로 계산됐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군중 유체화'서 시작...책임 최고 윗선은 서울청장'특수본, 출범 74일 만에 이태원 참사 수사 결과 발표 / 특수본 '군중 유체화 발생 이후 동시다발적 넘어져' / 특수본 '인파 몰려 ’넘어짐’ 급증…골목 ㎡당 10명 넘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특수본 “이태원 참사, 인파 밀집 의한 군중 유체화 때문”···윗선 책임 ‘0’ 결론이태원 핼러윈 참사 원인과 책임 규명을 수사해온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하며 사고에 이르게 된 원인으로 ‘군중 유체화 현상’을 지목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붕 떠서 밀리다 넘어졌다'…'군중 유체화'가 원인, 책임은?퇴근길에 보는 뉴스 요약, 이브닝 브리핑입니다. '군중 유체화'라는 생소한 용어가 뉴스를 장식하고 있는데요, 군중에 휩싸여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둥둥 떠밀려 이동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참사 당시 대통령은 뭐 했나? 비공개 된 한밤의 기록참사 당시 대통령은 뭐 했나? 비공개 된 한밤의 기록 이태원참사 국정조사 10.29 정보공개센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