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본, 출범 74일 만에 이태원 참사 수사 결과 발표 특수본 '군중 유체화 발생 이후 동시다발적 넘어져' 특수본 '인파 몰려 ’넘어짐’ 급증…골목 ㎡당 10명 넘어'
참사의 시작은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운 '군중 유체화'로부터 시작됐다고 보고, 행정안전부나 서울시 등에 대한 책임은 묻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습니다.네, 이태원 사고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오늘 오전 10시쯤부터 기자회견을 열고,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이 자리에서 전문가와 함께 참사 발생 경위와 원인을 분석한 결과를 설명했습니다.특별수사본부장의 설명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특수본은 당시 사람들이 넘어진 뒤에도 인파가 밀려오면서, 주점 앞 10m 구간에서 넘어지고 끼이는 사람이 계속 늘었다고 밝혔습니다.특수본은 결국, 그 압력에 따른 질식 등으로 158명이 숨지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사고를 예방하고, 참사 이후엔 현장 대응에 나설 법적 의무가 있는 경찰과 지자체, 소방과 서울교통공사 등이 제대로 조치하지 않은 과실이 중첩돼 피해를 키웠다고 덧붙였습니다.네, 이번 참사의 최고 '윗선'을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으로 결론 내리고, 수사를 마무리 짓기로 했습니다.이번 수사에선 여러 기관의 과실이 모여 참사를 키웠다는 '공동정범' 논리가 적용됐습니다. 또, 소환 조사를 받은 인물 중 가장 '윗선'이었던 김광호 서울경찰청장과 부적절한 현장 소방 지휘를 한 혐의를 받는 최성범 용산소방서장 등 17명은 불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겼습니다.특수본은 이들이 사고 발생에 대한 예견 가능성 등 구체적인 주의 의무 위반이 있었다고 보기 어려워, 법적 책임을 묻기 힘들다고 판단했습니다.YTN 김태원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속보]특수본 “이태원 참사, 인파 밀집 의한 군중 유체화 때문”···윗선 책임 ‘0’ 결론이태원 핼러윈 참사 원인과 책임 규명을 수사해온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하며 사고에 이르게 된 원인으로 ‘군중 유체화 현상’을 지목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 수사 결과 13일 발표…끝내 ‘윗선 책임’ 빠져법리 검토 결과 행안부와 서울시, 경찰청 등 상급기관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판단으로 이들 기관장에 대한 출석조사도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태원참사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펑펑 울고 이태원 참사 청문회에 나갑니다112에 최초로 참사 신고를 했다던 분과 통화를 하던 순간, '안녕하세요 김초롱입니다'라는 말에 인사도 못 하고 목 놓아 우는 그분의 울음을 십 분간 듣고 있었지요. 그리고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 사라지지 않는 카톡... 엄마와 열살 동생의 쌓이는 메시지'1' 사라지지 않는 카톡... 엄마와 열살 동생의 쌓이는 메시지 이태원 희생자 조한나 참사 소중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참사 당시 대통령은 뭐 했나? 비공개 된 한밤의 기록참사 당시 대통령은 뭐 했나? 비공개 된 한밤의 기록 이태원참사 국정조사 10.29 정보공개센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