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의 산증인’ 김정남이 두 권으로 정리한 는 한국 민주화운동사를 기록한 인물 열전이다. 김수환 추기경을 시작으로 49명이 소개되고, 단체는 유일하게...
‘민주화운동의 산증인’ 김정남이 두 권으로 정리한 는 한국 민주화운동사를 기록한 인물 열전이다. 김수환 추기경을 시작으로 49명이 소개되고, 단체는 유일하게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 등장한다.
정의구현사제단은 1974년 당시 천주교 원주교구장인 지학순 주교가 민청학련 사건으로 구속된 후 결성됐다. 그해 9월26일 명동성당에서 “우리는 인간의 위대한 존엄성과 소명을 믿는다”로 시작하는 ‘제1시국선언’을 발표하며 모습을 드러냈다. ‘행동하는 신앙의 양심’이 되려고 나선 사제단의 발걸음은 권위주의 시대 고비마다 ‘암흑 속의 횃불’이었다. 폭동이라고 거짓 선전되던 5·18민주화운동 실상을 앞장서 알렸다. 1987년 5월17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진상이 조작됐다’는 폭로는 6월항쟁의 도화선이었다. 사제단은 2007년 10월 삼성 비자금 의혹을 폭로하기 위해 찾아온 김용철 변호사를 맞이했다. 이 일은 경제민주화 문제를 환기시켰다. 사제단은 생명의 가치와 존엄이 짓밟히는 곳으로도 향했다. 2003년 새만금 갯벌을 살리기 위해 65일간 삼보일배를 했고, 용산 참사·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미사를 열었다.
사제단이 23일 명동성당에서 50주년 기념 미사를 열었다. 발표된 성명에선 “우리가 ‘제1시국선언’에서 천명했던 유신헌법 철폐와 민주헌정 회복, 긴급조치의 전면 무효화, 국민의 생존권·기본권 존중, 서민 대중을 위한 경제정책 확립은 짓다 만 밥처럼 이도 저도 아니게 돼 버렸다”며 “다시 한번 민주의 이름으로 크게 일어설 때가 왔다”고 했다. 사제단은 지난해부터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는 시국기도회를 열고 있다. 사제들이 현실 정치에 목소리 내는 것을 불편해하는 시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에서 민주주의가 얼마나 흔들리고 후퇴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또 다른 징표다.
그런데 왜 ‘정의’일까. 사제단은 “정의는 하느님의 대표적 특성으로 영원불변의 가치”라고 했다. 인권· 민주화·평화·기후·생태를 비롯한 우리 사회의 중요한 가치들은 결국 정의에 기초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빛두레’를 향한 사제단 여정이 더 없어도 되는 세상이 되길 바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자식없는 캣 레이디 [플랫]〈※이 기사는 2024년 9월 13일자 경향신문 ‘[여적]캣 레이디’를 재가공하였습니다.〉 로버트 앤슨 하인라인의 소설 에는 고양이에 대한 재미있는 찬사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적] 우키시마마루호 폭침 사건1945년 8월15일 한반도 인구 8%에 해당하는 약 210만명의 조선인이 일본에서 해방을 맞았다. 이들 중 70만명이 일본에 남았고, 140만명이 고국으로 돌아왔다. 이들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적] 풍년이 서러운 농심들판마다 곡식 익는 소리가 들린다. 풍부한 일조량과 고온 덕에 벼 이삭이 유달리 더 통통해 보인다. 태풍이 막판 변수지만 이변이 없는 한 대풍이 예상된다. 사과와 배도 올해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적] 문체부의 ‘허위·왜곡’ 웹툰1978년 제작된 만화영화 은 볼거리가 많지 않던 당시 어린이들에게 호러와 스릴러적 재미를 함께 안겨준 문화콘텐츠였다. 이 영화를 본 많은 어린이들은 북한 군인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적]송두환 인권위의 ‘마지막 회의’인권 보호는 인권위 설립 목적이자 존재 이유다. 보편적 인권은 정부 정책이나 사회 주류가 생각하는 국익과 종종 충돌한다. 그럴 때 단호하게 인권 편을 들라고 2001년 만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적] 헌법 위의 ‘시위세(示威稅) 발상’집회·시위를 위해 세금을 내야 한다면 민주주의 국가일까. 14년 전 이탈리아 로마를 ‘민주주의 논쟁’으로 빠트렸던 ‘시위세’ 주장이 26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등장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