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농담은 슬프다. 나는 ‘나락감지센서’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유쾌하게 웃지 못한다. ‘나락감지센서’는 나락에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고 피하려는 본능적인 능력...
어떤 농담은 슬프다. 나는 ‘나락감지센서’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유쾌하게 웃지 못한다. ‘나락감지센서’는 나락에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고 피하려는 본능적인 능력을 뜻한다. 이 센서를 말하는 사람이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우리가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세상에 살고 있다는 뜻. 작은 실수도 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과 실수 이후 회복이 어렵다는 안정감의 부재에 맞선 방어기제로 그 감각이 더 정교해지고 있으나 한편으론 계속 떠오르는 질문을 떨칠 수 없다. 실수가 나락으로 이어지는 사회적 분위기는 얼마나 위험한가. ‘나락’이라 불렀던 실수는 과연 ‘회복할 수 없는 절망’을 감당해야 할 만큼의 실수일까? 이 센서를 꺼버릴 수는 없을까?
실패도 실수도 쉽게 허락되지 않는 시대다. 위험 감수보다 실수 없음이 우선이다. 어떤 플랫폼에서든 ‘실패 없는’을 검색하면 실패를 피할 방법을 제안한다. 실패 없는 레시피, 노후준비, 가성비템까지 실패와 실수로부터 우리를 지켜줄 가이드가 널렸다. 정보가 이렇게 풍성하니 실패는 사치다. 심지어 나를 알아가는 과정에도 가이드가 있다. 유전자 검사로 생활 습관을 컨설팅받고, 자신의 골격을 분석해 스타일링 컨설팅을 받는 게 유행이라고 한다. MBTI보다 더 고차원적 심리검사에 대한 관심도 높다. 모두 유료에 고가다. 실수가 용인되지 않는 시대에 스스로를 더 명확하게 파악해 불확실한 세계를 견디고자 하는 태도는 너무나 공감하지만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에서조차 실수를 두려워하고 ‘외부 분석’에 의존하는 건 사회적으로도 위험한 신호다. ‘실패 없는 레시피’대로, ‘분석 결과’대로 살아가는 건 안전하지만 완전하지 않다. 실수는 없을지언정 경이도 없다.
네 살 아이가 살고 있는 우리 집은 매일 실수가 벌어지는 실수의 전당이다. 하루에도 몇번이나 실수를 만드는 아이는 자신의 실수에 좌절하는 대신 깔깔 웃는다. 주전자로 컵에 물을 따르다 맘대로 되지 않아도 까르르 웃는다. 컵 밖으로 이리저리 삐져나오는 물을 보며 신이 나 웃는다. 그 실수를 몇번이나 반복하다가 문득 주전자의 높이에 따라 컵에 물을 따르는 속력이 달라진다는 걸 몸으로 배운다. 바라보는 엄마는 닦을 생각에 걱정이 앞서지만, 아이는 우연히 우주의 원리를 발견한 기쁨에 들뜬다. 책으로 읽어줬다면 결코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을 것을 아이는 실수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체험한다. 실수에서 놀이를 찾고 실수로 세계를 배운다.
우리는 실수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도록 길러지고 자라왔다는 걸 아이를 통해 새삼 다시 배운다. 실수한 내가 실수하지 않은 나에게 참 많은 것을 가르쳐주며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을 열어왔다. 언어의 업데이트 구독 구독중 그러니 이 불확실한 사회에서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실수하는 정신이다. 실수를 번역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아이 같은 마음과 눈빛이 필요하다. 나의 실수를 믿어주고, 타인의 실수를 바라봐주며, 그저 서로의 가능성을 믿어주는 연대감. 그 힘이 있는 사회에서 실수는 결코 나락으로 이어질 수 없다. 이제 나는 스스로를 불필요한 긴장 속으로 몰아넣는 나락감지센서를 끄고, 실수하는 정신을 장착하고 싶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언어의 업데이트]‘행집욕부’ ‘어할즐하’…덕담, 나를 위한 ‘행복 주문’덕담의 말에 업데이트는 있는가? 명절을 맞아 사거리마다 걸린 현수막을 유심히 들여다보니 현수막에 붙어 있는 얼굴들은 다 다른데 문구는 모두 같았다. 도지사도, 부지사도, 시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일부 갤럭시폰 ‘무한 부팅’ 오류···삼성 “데이터 유실 우려 없어”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 일부 구형 기종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앱) 업데이트 도중 단말기가 계속해서 꺼졌다 켜지는 이른바 ‘무한 부팅’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 언어의 숨은 공통점, 첫 자음 소리가 길~다말이란 상대방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어떤 의미를 전달하는 음성 신호의 연속적인 흐름이다. 말 뜻을 알아들으려면 말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단어를 구분해서 들을 수 있어야 한다. 외국어 회화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드는 느낌 가운데 하나는 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를 구분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현철의 나락 한 알]농촌, 아픈 우리 손가락지난 6월 말 북한산에서 손을 다쳤다. 평소 자주 다니던 익숙한 길이었는데 발이 꼬이면서 그대로 땅바닥에 엎어졌다. 다른 데는 괜찮은데 오른손 중지와 약지가 몸에 깔려 접질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국에 울려 퍼진 ‘윤석열 정권 퇴진’…“집권 2년 반 만에 대한민국 나락”반민주·반민생·반평화 비판…대통령실 행진 과정서 경찰 충돌, 참가자 1명 연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햄버거? 그려”에 속지 마라, 충청도 출신 부장님의 반전김씨는 '충청도 사람들에게는 기본적으로 갑자기 분위기가 딱딱해지거나 누군가 상처받는 상황은 어떻게든 피하고자 하는 본능 같은 게 있다'면서 '돌려 말하기 유머의 비결이 충청도에서 사는 것이라고 말할 정도다. 김두영씨는 '개그맨으로서 사람을 웃기려면 상대방의 감정이나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을 빠르게 파악해야 하는데 충청도 사람들은 간접적 언어의 발달로 사람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