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내년도 재정 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P)의 2%대로 묶겠다고 밝혔다. 증세에는 부정적이면서 건전재정을 추구하겠다는 현 정부 정책기조가 반영된 ...
참여연대 “건전재정도, 민생도 잃은 최악의 예산안”정부는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내년도 재정 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의 2%대로 묶겠다고 밝혔다. 증세에는 부정적이면서 건전재정을 추구하겠다는 현 정부 정책기조가 반영된 조치다. 하지만 이러한 긴축 재정 정책으로는 정부가 국정 목표로 삼은 경제활력 제고는 물론이고 ‘약자복지’도 늘리기 불충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는 재정 적자 규모를 GDP 대비 3% 이내로 묶는 재정준칙 법제화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법제화 전이라도 당장 내년부터 이러한 내용의 자체 재정준칙을 정부 스스로 지키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를 2026년 2.7%, 2027년 2.5%, 2028년 2.4%까지 차차 줄여나갈 계획을 세웠다. 통합재정수지 적자 규모도 올해 1.8%에서 점차 줄여 2028년에는 0.8%를 달성하겠다고 했다. 국가채무비율은 2028년까지 GDP 대비 50%대 초반 수준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기조는 현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와 궤를 같이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17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복합위기 상황에서도 방만하게 돈을 풀지 않고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한 것은 매우 현명한 선택”이라며 “앞으로 허리띠를 더 졸라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 지출을 억제하면서 전임 문재인 정부의 확장 재정 정책과 차별화를 도모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정부는 겉으로는 건전재정을 내세우고도 집권 3년째 스스로 내세운 재정준칙조차 지키지 못하고 있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윤석열 정부 집권 첫해인 2022년 -5.4%, 이듬해인 2023년 -3.9%로 재정준칙 기준을 넘어섰다. 올해 세수 상황도 좋지 않다. 올 상반기에만 관리재정수지에 103조4000억원 적자가 났다. 올 한 해 적자 목표치인 91조6000억원보다 10조원 넘게 펑크가 났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민생지원금 25만원’이 정말 인플레이션 불러올까“‘재정확대=인플레이션’ 근거 없는 고정관념...GDP의 0.5%에도 영향 못 미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초부자 증세 의제’ G20 재무장관회의…최상목 “증세보다 정부 지출 구조조정”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초부자 증세’ 방안이 주요 의제였던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증세 반대 견해를 밝혔다. G20 재무장관들은 “초고액 자산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초부자 증세’ 논의 G20 회의에서 “증세보단 정부 지출 구조조정”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초부자 증세’ 방안이 주요 의제였던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증세 반대 견해를 밝혔다. G20 재무장관들은 “초고액 자산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이크로소프트 기대 이하 실적에 시간외 거래서 6% 급락클라우드 부문 19% 성장 불구 시장 기대에는 못 미쳐 ‘AI가 돈 못 벌어준다’ 회의감 커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2025예산안 ‘긴축 편성’…총지출 증가율 3.2%, 재정 역할 또 뒷전임기 4년차에 접어드는 윤석열 정부가 내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3.2% 늘어난 677조4000억원으로 확정했다. 내년에는 세수 여건이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내년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상공인 새출발기금 40조+α로 확대 … 취약층 재기 돕는다건전재정 바탕 핀셋복지중위소득 6.42% 대폭 인상복지제도 수급 대상 확대'전세사기 주택' 7500호 매입전통시장 상품권 5조5000억첨단산업 R&D 예산 확 키워이공계 석박사 장학금 2배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