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벼랑 끝에 몰린 북극 식물들, 어디로 가야 할까

대한민국 뉴스 뉴스

[스프] 벼랑 끝에 몰린 북극 식물들, 어디로 가야 할까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BS8news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63%

[스프] 벼랑 끝에 몰린 북극 식물들, 어디로 가야 할까 SBS뉴스

지구상에서 가장 북쪽과 남쪽 끝 극단적인 곳에서 극한 체험하면서 연구하는 '극적인 사람들'. 보통 사람들은 일생에 한 번 가기도 힘든 남극과 북극을 수시로 오가며 연구 활동을 펼치는 극지연구소 사람들과 스프의 콜라보 프로젝트! 기후 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북극" 하면 단번에 하얀 눈이 덮인 얼음 위를 돌아다니는 북극곰을 떠올리실 텐데요, 북극에도 사막과 초원, 습지와 호수, 강과 바다가 존재합니다. 어떤 사람은 눈 덮인 침엽수 사이로 산타할아버지가 사슴이 끄는 썰매 타고 달리는 장면을 떠올리는데, 사실은 북극에는 이렇게 키 큰 나무가 없습니다. 북극은 그런 나무가 자라지 않는 툰드라거든요. 남극도 툰드라지만 북극과 사뭇 다릅니다. 일단 남극은 대부분이 얼음에 덮여있고 식물도 다양하지 않아요. 남극엔 꽃이 피는 식물이 단 두 종류만 살고 있답니다. 북극은 남극보다 식물에 훨씬 관대해서 3,000여 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고 그중 2,000여 종이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이 중에는 다른 곳에는 살지 않고 고산지대나 북극에서만 사는 고유한 식물도 있어요.

그런데 기후변화로 북극 식물은 엄청난 도전에 직면해 있답니다. 기온이 높아지다 보니 나무들이 점점 올라오고 있어요. 툰드라가 더 이상 툰드라가 아닌 거죠. 북극 툰드라 식물과 새롭게 파고드는 식물들과 경쟁하며 동시에 가파르게 올라가는 기온에 맞춰 적응해야 합니다. 여기서 적응하지 못하고 경쟁에 밀리면 더 이상 갈 곳이 없답니다. 북극의 끝에는 북극해만 있기 때문이죠. 실제로 우리나라 다산과학기지가 위치한 스발바르의 경우 200여 종의 식물 중에서 48종이 멸종위기종에 이름이 올라 있습니다. 다섯 종의 식물 중 하나는 이미 사라져 가고 있는 겁니다. 북극에도, 백두산에서도 살고 있는 식물들 스발바르에 사는 식물 중에 나도수영이나 씨눈바위취, 담자리꽃나무처럼 예전부터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식물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두산이나 북부 산간지대에서 살고 있어 지금은 이들 식물을 직접 볼 수는 없어 아쉽습니다. 언젠가 다시 길이 열리면 우리나라 고산 식물과 북극 식물을 비교해 보고 싶습니다.

백두산에서도 살고 있는 담자리꽃나무는 빙하기를 꿋꿋하게 견뎌낸 관목입니다. 여덟 장의 흰색 꽃잎이 노란 수술을 감싸고 있는 담자리꽃나무는 해바라기처럼 꽃이 해를 향해 방향을 바꾸죠. 해를 바라봐서 그런지 꽃 안쪽은 식물의 다른 부위보다 온도가 살짝 높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BS8news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스프] 한 번 천재는 영원한 천재일까[스프] 한 번 천재는 영원한 천재일까누구에게나 전성기가 있다, 다만 전제도 있다 1. 예능 PD에게 물어봤습니다. 예능 PD는 언제가 전성기냐고요. 눈 돌리는 곳마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보이고, 만드는 프로그램마다 터트릴 것 같은 자신감이 쏟아져 나오는 그런 시기가 몇 살 때냐고 말이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예산 협상시한 D-1 벼랑끝 대치…첫 '野 단독처리' 현실화하나 | 연합뉴스예산 협상시한 D-1 벼랑끝 대치…첫 '野 단독처리' 현실화하나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동욱 이슬기 기자=여야는 김진표 국회의장이 설정한 내년도 예산안 처리 시한을 불과 하루 남인 14일에도 '벼랑 끝 대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유전자 편집할 수 있다던 '유전자 가위', 30년 뒤 미래는?[스프] 유전자 편집할 수 있다던 '유전자 가위', 30년 뒤 미래는?은 각 분야에서 연구 중인 KAIST 교수들이 특정 시점을 전제로 미래를 예측해 쓰는 가상의 에세이입니다. 그저 공상 수준이 아니라 현재 연구 성과와 미래의 실현 가능성을 정교하게 조율하기에, 은 스프 구독자들에게 짧게는 10년, 길게는 50년 이상 과학이 내다보는 미래를 미리 살펴볼 수 있게 할 것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나라 구하다 죽었냐'는 시의원님…혐오 키우는 정치[스프] '나라 구하다 죽었냐'는 시의원님…혐오 키우는 정치퇴근길에 보는 뉴스 요약, 이브닝 브리핑입니다. 이태원 참사 유족의 가슴에 못을 박는 말들이 많은데요, 지역의 한 시의원이 '나라 구하다 죽었냐' '자식 팔아 한 몫 챙기자는 수작' 등의 표현을 썼다가 사과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공소시효, 정말 남아있을까?[스프]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공소시효, 정말 남아있을까?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 윤석열 대통령의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가 개입돼 있다는 의혹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특히 해외 도피를 끝내고 최근 귀국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관계자에 대한 재판 과정에서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증거들이 잇달아 공개되면서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임종석 '날 소환하라' 윤건영 '망신 주기'…文 측근 '부글부글'[스프] 임종석 '날 소환하라' 윤건영 '망신 주기'…文 측근 '부글부글'퇴근길에 보는 뉴스 요약, 이브닝 브리핑입니다. 지난 2020년 9월 발생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수사가 막바지를 향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소환조사를 받았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2 0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