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적자 감수하며 글로벌 이용자 1천만 명부터 확보한 이유” SBS뉴스
MIT 테크놀로지 리뷰 선정 35세 미만 최고 혁신가1. 과외 학생들의 쏟아지는 질문을 해결하려고 택한 창업5. 이세돌-알파고 대결, 그리고 탄생한 자동 문제인식 기술저희 스프 구독자들한테 자기소개 좀 부탁드릴까요.제가 듣기로 창업할 때 대학생이었다고 들었어요. 대학생일 때 이런 방식의 서비스가 사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겠다고 생각하기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 무슨 계기가 있었나요?제가 과학고 동창인 이종흔 전 공동대표, 공동 창업자랑 같이 시작을 했는데요. 그 친구가 과외를 굉장히 많이 하고 있었어요. 그때 자기 생활비라든가 대학 등록금을 벌기 위해 과외를 한 달에 8개쯤 하고 있었는데, 저랑 커피 마실 때마다 카톡으로 학생들 질문이 엄청 올라오는 거예요. 학생들이 맨날 “선생님 이거 좀 빨리 좀 설명해 주세요. 빨리 좀 풀어주세요”라고 하니까 중간중간 그걸 해결을 해줘야 돼서 되게 힘들어하더라고요.
왜냐하면 그분들은 지금 수업 중일 수도 있고 다른 일정이 있으실 수도 있거든요. 근데 학생 입장에서는 오늘 내가 한두 시간 공부하는데 답변이 안 오고 있으면은 굉장히 이게 불편하고 꼬이는 상황이 있거든요. 그래서 저희는 굉장히 빠르게 10분 안에 답변을 주거든요. 이거 자체가 강점이라고 생각했습니다.네, 좀 다른데요. 일단 질문이 많이 올라오는 건 수학이랑 영어 같이 평소에 학생들이 공부를 많이 하는 과목들을 주로 물어보고요. 시험 기간이 되면 과학이라든가 아니면 다른 과목들의 질문량이 상대적으로 늘어납니다. 그래서 저희는 학생들이 평소에는 수학이랑 영어 위주로 공부하다가 시험 기간 때는 다른 과목들을 열심히 공부를 하는구나, 이런 걸 좀 알 수가 있고요.
또 만약에 문제를 다 풀었는데 오답이어서 틀렸다. 그래서 학생이 거절을 했다. 이러면 포인트 차감이 더 많이 되고요. 사실은 문제 푸는 능력이 좀 떨어지고 자주 틀리는 선생님들은 포인트가 버는 것보다 빠지는 게 더 커서 어느 순간 활동을 못하게 되는 그런 상태로 빠지게 됩니다. 그리고 학생들은 자기가 아무리 어려운 문제를 올려도 그게 포인트가 계속 비싸져서 언젠가는 풀릴 수 있는 그런 구조를 가지고 있어 거기서 하나의 허들이 있고요. 중복되는 질문도 너무 많고, 학생들은 더 빨리 답변을 해달라고 하고 그러면서 미리 쌓여 있는 DB를 갖고 검색을 할 수 있게 해 주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희가 문제 사진에 있는 이미지라든가 아니면 글자, 수식들을 인식하고 저희 데이터베이스랑 매칭을 해서 이미 풀어져 있는 질문 답변 내역들을 검색할 수 있는 형태로 서비스 전환을 하게 됩니다.
이게 전체 비중에서 그렇게 높은 비중이 아니고요. 대부분의 학생들은 어차피 혼자 공부하다가 과외나 학원 선생님한테 물어보면 한참 걸리고 그리고 답이 올지 안 올지도 모르고 이런 상황에서 늘 노출돼 있는 상황에서 공부를 해야 되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모르는 걸 해결하기 위해서 정상적으로 질문하는 케이스가 훨씬 많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콴다를 가장 많이 쓰는 학교들을 살펴보면 굉장히 명문 학교들이 훨씬 많습니다.비슷한 교육 플랫폼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콴다 서비스가 차별화할 수 있는 강점은 스피드인가요?일단 국내 회사 중에서는 압도적인 기술력과 데이터베이스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문제라든가 문제에 있는 어떤 수식이나 글자, 도형 같은 것들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기술력이 저희가 전 세계에서 거의 가장 뛰어난 회사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국내의 다른 서비스들 대비해서는 기술력이 독보적이라고 볼 수 있고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그 단톡방은 싫은데…' 카톡, 이제 초대 수락여부 묻는다 | 중앙일보카카오톡은 '이 기능'도 개편했습니다.\r카톡 단톡 채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톡 단톡방, 친구 아니면 허락없이 초대 못한다(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카카오[035720]는 최근 진행한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통해 이용자 편의성과 계정 보안을 강화하는 여러 기능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개인정보위원장 '챗GPT서 한국 이용자 정보 유출 여부 확인중'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고학수 개인정보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미국의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과 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