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세계 시총 1위 애플이 보여주는 '자본 없는 자본주의'

대한민국 뉴스 뉴스

[스프] 세계 시총 1위 애플이 보여주는 '자본 없는 자본주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BS8news
  • ⏱ Reading Time:
  • 5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63%

애플은 전 세계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이다. 지난 6월 말 사상 최초로 시가총액 3조 달러 고지에 올라섰다. 글로벌 시가총액 2위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시가총액 2.5조 달러와 격차가 크고, 한국 증시 부동의 시가총액 1위이자 글로벌 24위인 삼성전자의 3397억 달러보다는 9배나 큰 규모이다.

애플은 글로벌 시가총액 1위 기업답게 '아이폰'이라는 지배적 제품을 만들어내면서 막대한 규모의 이익을 벌어들이고 있다. 2022 회계연도에 애플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은 998억 달러로, 원화 환산 128조 원에 달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당기순이익 55조 원 대비 2.3배나 크다.애플은 수익성이 높은 우량기업이지만, 돈을 벌어들이는 능력은 애플의 주가 상승을 설명할 수 있는 부분적 요인일 따름이다. 애플의 시가총액은 코로나 이전 1조 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다가 최근 3년 동안 주가가 약진하면서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넘어섰다. 시가총액이 3배로 늘어났던 지난 3년의 시간은 글로벌 스마트폰 산업이 이미 포화상태에 도달했던 시기였다.

스마트폰 세계의 절대 강자 '아이폰'이 애플의 주가 상승세를 설명하는 절반의 요인이라면, 나머지 절반의 힘은 극단적인 '주주친화 정책'에서 나왔다. 애플은 아이폰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천문학적인 이익을 거둬들이고 있지만, 애플의 자기 자본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애플의 자기 자본은 2017 회계연도 말 1,340억 달러를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2022년 말에는 506억 달러로 감소했다. 통상 자기 자본의 감소는 적자기업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적자는 자기 자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초우량 기업 애플이 적자를 봤을 리는 만무하다. 우량 기업은 돈을 잘 벌고, 번 돈의 일정 부분을 사내에 유보하면서 자기 자본이 꾸준히 늘어나곤 하지만, 이런 상식이 애플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애플의 자기 자본이 감소한 이유는 벌어들인 당기순이익보다 더 많은 금액을 배당과 자사주 매입에 썼기 때문이다.

애플은 자기 자본이 정점을 찍은 2017년 말 이후 3666억 달러의 순이익을 벌어들였는데, 같은 기간 동안 자사주 매입과 현금 배당으로 주주들에게 돌려준 금액은 4572억 달러에 달했다. 벌어들인 금액보다 더 많은 규모의 돈을 주주환원에 쓴 것이다. 최근 5년 동안 벌어들인 이익뿐만 아니라 과거에 유보해 놓은 이익까지 더해 주주들에게 돌려줬다. 애플의 자기 자본 감소는 우리 시대의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자본 없는 자본주의'가 그것이다. 무한팽창의 자기 증식 욕구는 자본의 속성에 대한 일반적 통념이다. 자본주의는 욕망을 숭배한다. 욕망하지 않는 자본은 자본이 아니다. 자본의 인격적 표현인 자본가들이 주로 탐욕스러운 모습으로 그려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혹자는 말한다. '그렇게 벌었으면 됐지, 무슨 욕심으로'. 자본의 속성을 모르는 말이다. 욕망이 없었더라면 애당초 그 정도 벌 수도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자본의 자기 증식 욕구는 스스로의 효율을 저해한다. 주류 경제학에서는 자본의 팽창이 한계생산을 체감시킨다고 봤고, 마르크스도 비슷한 맥락에서 자본의 집적에 따른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가 공황을 불러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우리 시대 자본주의의 첨단인 미국의 초우량 기업들은 주주환원을 명목으로 자본을 축소시킴으로써 자본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BS8news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 10채 중 1채… '강남 아파트' 왜 시장에 쏟아지나서울 10채 중 1채… '강남 아파트' 왜 시장에 쏟아지나최근 고가 아파트 중심으로 이어진 집값 상승에 기대 집을 팔려는 집주인이 는 데다 전매제한 완화로 입주를 앞둔 아파트 분양권까지 쏟아지면서 서울 강남의 매물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이테크+] 장·신장·태반 구성 세포, 상세 입체 지도 나왔다 | 연합뉴스[사이테크+] 장·신장·태반 구성 세포, 상세 입체 지도 나왔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인체의 각종 장기와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어떻게 배열되고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3차원 정밀 세포 지도 연구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그래도 기차는 간다' 큰소리치더니… 고개 숙인 홍준표[스프] '그래도 기차는 간다' 큰소리치더니… 고개 숙인 홍준표'개가 짖어도 기차는 달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주변 눈치 보지 않고 소신껏 밀어붙이겠다는 의지를 나타낼 때 쓰는 말이죠. 정치인 가운데는 홍준표 대구시장이 이 말을 즐겨 쓰는데요, '폭우 중 골프'에 대한 비판에 응수하면서 그제도 썼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코인 '리플' 가격 폭등 불러온 법원의 판결[스프] 코인 '리플' 가격 폭등 불러온 법원의 판결하루 사이 가격이 600원대에서 1,100원대로 뛴 코인이 있습니다. 2배 가까이 뛴 폭등의 주인공, '리플'이라는 코인입니다. 국내 투자자들에겐 비트코인 다음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손바닥 살갗 벗겨져도…' 지하차도의 기적을 만든 영웅들[스프] '손바닥 살갗 벗겨져도…' 지하차도의 기적을 만든 영웅들지난 15일 아침 오송 지하차도는 삶과 죽음이 엇갈린 곳이었습니다. 삽시간에 물이 들이닥치던 순간 '살려 달라'는 외침이 곳곳에서 터졌습니다. 상상하기도 힘든 공포가 지하차도를 덮친 겁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6 03: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