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존보다 2000명 늘어난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정원을 공식 발표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 정원 대학별 배정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2월22일부터 3월4일까지 대학들의 신청을 받은 뒤 전문가가 참여하는 ‘의과대학 학생정원 배정위원회’ 논의를 거쳐 정원 증원분 2000명을 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 정원 대학별 배정 결과’를 발표했다.우선 비수도권 27개 대학에는 1639명을 증원하기로 했다. 전체 증원분의 82%다.대학별로 살펴보면 내년에 배정된 정원은 ▲ 강원대 132명 ▲ 연세대 분교 100명 ▲ 한림대 100명 ▲ 가톨릭관동대 100명 ▲ 동국대 분교 120명▲ 경북대 200명 ▲ 계명대 120명 ▲ 영남대 120명 ▲ 대구가톨릭대 80명 ▲ 경상국립대 200명 ▲ 부산대 200명 ▲ 인제대 100명 ▲ 고신대 100명 ▲ 동아대 100명 ▲ 울산대 120명 ▲ 전북대 200명 ▲ 원광대 150명 ▲ 전남대 200명 ▲ 조선대 150명 ▲ 제주대 100명 ▲ 순천향대 150명 ▲ 단국대 천안 120명 ▲ 충북대 200명 ▲ 건국대 분교 100명 ▲ 충남대 200명 ▲ 건양대 100명 ▲ 을지대 100명이다.
거점국립대 9곳 가운데 강원대·제주대를 제외한 7곳의 정원이 200명으로 늘었다. 정원 50명 이하 ‘소규모 의대’만 있었던 경기·인천권의 경우 5개 대학에 361명의 정원이 배분됐다.정부는 수요조사에 참여했던 서울지역 8개 대학에는 증원한 정원을 배분하지 않았다.우선 수도권·비수도권 의료격차 해소,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과 경인지역 의료여건 편차 극복을 주요 기준으로 삼았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지역거점 국립 의과대학은 총정원을 200명 수준으로 확보하도록 하는 한편, 정원 50명 미만 소규모 의과대학은 적정 규모를 갖춰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정원을 최소 100명 수준으로 배정했다.의료계는 여전히 집단 사직 등으로 맞서며 정부 정책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정부가 개별 대학의 증원 규모를 공식 발표하면서 증원은 사실상 되돌리기 어렵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대·병원 교수 82% “깊은 분노, 사직서 낼 것”…집단행동 예고한 전북대의대·병원 교수들 “정부 비민주적” 성토 설문조사서 188명 중 155명 사직 의사 대학은 지난주 교육부에 의대 증원 요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한 총리 “2천명 의대 증원은 최소 숫자”…적당히 타협하면 국민 피해”의료개혁 대국민담화 비수도권·소규모 의대·지역 거점 의대에 증원 인원 집중 배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의대 증원 2000명 중 82%, 비수도권에 배정'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진=연합뉴스〉2025학년도부터는 의대 정원이 2000명 늘어납니다. 증원된 2000명 중 1639명(82%)은 비수도권 의대에 배정됩니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의대에는 361명(18%)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따로 노는 대학과 의대…대학은 의대정원 증원요청하고, 의대 교수·학생은 반발아주대, 의대정원 40-|144명 증원 요청 울산의대도 현 정원의 3배 가까운 110명 신청 서울대는 135명서 15명 늘릴 것 요구 교수·학생들 반발 격화...총장 규탄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대통령 “의대 2천명 늘려도 턱없이 부족, 허황된 음모론 안돼”“27년간 의대 정원 1명도 못 늘려 2천명 증원, 최소한의 확충 규모 국민 생명 볼모로 집단행동 안돼” 수가 개선·사법리스크 완화도 약속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대, 의대 15명 증원 요청…“의과학과 만들겠다”바이오·헬스 학과와 연계 연구전문 의사과학자 양성 의예과 150명으로 확대 기대 “학생·교수 지혜 모아주시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