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컷칼럼]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세컷칼럼]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7%
  • Publisher: 53%

예나 지금이나 윤 대통령은 여전히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고' 오직 '자나 깨나 국민을 위하며'(2022년 3월 7일) '국민의 안전과 먹고 사는 문제를 고민하는'(2021년 7월 21일) 모습을 보일 때만 떠나버린 유권자의 마음을 돌릴 수 있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라거나 '검찰총장은 장관의 부하가 아니다'는 말에 담긴 윤 대통령의 철학은 견제와 균형에 입각한 3권 분립의 정신을 보여준다.

정확히 10년 전 이맘때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의 뇌리에 각인된 사건 말이다. 2013년 10월 21일 윤석열 당시 여주지청장은 서울고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 자리에서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 당시의 외압을 폭로했다. 새누리당 정갑윤 의원이 “사람에게 충성하는 것이냐”고 거칠게 몰아붙이자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고 항변했다. 이 발언으로 그는 전 국민적 스타가 됐다.

뼈를 깎는 혁신이 없다면 내년 총선 결과도 불 보듯 뻔하다. 더불어민주당에 포진한 586 정치인들의 위선적 정의와 강성 팬덤을 앞세운 극단정치에 질린 유권자들도 ‘윤심’ 바라기의 여권 정치인들에겐 매력을 못 느낀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고” 오직 “자나 깨나 국민을 위하며” “국민의 안전과 먹고 사는 문제를 고민하는” 모습을 보일 때만 떠나버린 유권자의 마음을 돌릴 수 있다. 민주정은 다수의 선진국이 채택한 정치체제로 국민이 주인이다. 직접선거로 대표를 뽑고, 중요한 의사결정은 다수결로 한다. 하지만 민주정엔 다수의 횡포라는 위험이 늘 도사리고 있으며, 선거 결과를 인민의 총의로 왜곡하는 포퓰리즘 세력도 존재한다. 때로는 소크라테스의 독배처럼 다수의 잘못된 판단이 사회 전체를 위기로 몬다. 그렇기에 다양한 의견과 소수의 생각을 존중하는 자유주의와의 결합이 필수다.

‘법의 지배’는 권력자가 임의로 법을 해석·집행하거나 시민을 통제하지 않고, 오직 국민이 합의한 법에 의해서만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권력은 호시탐탐 법치를 무너뜨리고 제멋대로 하려고 하지만, 이를 막기 위해 입법·행정·사법권을 나누고 견제와 균형의 원리에 따라 서로를 감시한다. 독립된 검찰과 감사원의 존재도 정부 권력의 폭주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의 ‘묻지마’ 이스라엘 군사지원, 가자 비극 키운다미국의 ‘묻지마’ 이스라엘 군사지원, 가자 비극 키운다각종 첨단 무기 보내주면서 “어떤 조건도 달지 않는다”미국의 중동 내 전략적 이해에 민간인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끼리 바위 섬엔 거북손 씨가 마르지 않는다코끼리 바위 섬엔 거북손 씨가 마르지 않는다[서해의 보석 신안천사섬 10] 3관왕 명품마을 영산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준석, 유승민과 신당 창당 가능성 “배제하지 않는다”이준석, 유승민과 신당 창당 가능성 “배제하지 않는다”신인규 전 부대변인의 탈당선언 “국민의힘, 윤 대통령 사유물로 변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대가 어느 때인데…' '여성 사제 허락' 논쟁에 교황 입장은'시대가 어느 때인데…' '여성 사제 허락' 논쟁에 교황 입장은프란치스코 교황이 가톨릭 교계의 대표적인 논쟁거리인 여성 사제 서품과 관련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최근 가톨릭 교계에선 '시대의 변화에 맞게 교회 내 여성의 역할도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여성 사제 서품과 관련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교황은 '여성 사제 서품과 독신 의무 폐지가 현재 가톨릭이 겪고 있는 사제 부족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는 지적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재훈의 음식과 약] 탕후루가 뭐기에?[정재훈의 음식과 약] 탕후루가 뭐기에?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 당류 섭취량을 50g 이하로 줄이도록 권고하지만 과일과 채소 속에 원래 들어있는 당류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올해 6월 식약처에서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기준 이내로 평균 34.6g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당류 섭취가 권고기준을 넘어서는 경우가 40% 정도로 많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국의 위안부’ 무죄 반전…대법 '허위 사실 아닌 학문적 의견'‘제국의 위안부’ 무죄 반전…대법 '허위 사실 아닌 학문적 의견'26일 대법원 3부(주심 대법관 노정희)는 박유하 세종대 교수의 책「제국의 위안부」에 담긴 내용은 ‘허위 사실’이 아니라 ‘학문적 주장 내지 의견의 표명’이라 명예훼손죄로 처벌할 순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박 교수의 학문적 주장 내지 의견의 표명으로 평가함이 타당하고, 명예훼손죄로 처벌할 만한 ‘사실의 적시’로 보기 어렵다'면서 '전체 내용과 맥락에 비추어, 검사의 주장처럼 일본군에 의한 강제연행을 부인하거나 자발적으로 매춘행위를 하였다거나 일본군에 적극 협력하였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문제의 표현을 쓴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19: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