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데이 칼럼] 이상한 회담

선데이 칼럼 뉴스

[선데이 칼럼] 이상한 회담
회담영수 회담회담 주선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1 sec. here
  • 9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6%
  • Publisher: 53%

안팎으로 어려움이 많은 나라에서 여야 영수 회담이 2년 만에 처음 열렸다는 것부터가 이상한 일이었다. 그런데 웬일인가! 갑자기 교수님 두 분이 등장하여 자신들이 회담 주선의 비선이자 주역이었다고 주장하며 언론 인터뷰까지 자청하고 영수 회담의 대화 내용을 자세히 밝혔다. 모처럼 여야의 영수가 만나고서도 안보 문제에 대한 아무런 논의가 없었다니 이상한 회담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안팎으로 어려움이 많은 나라에서 여야 영수 회담 이 2년 만에 처음 열렸다는 것부터가 이상한 일이었다. 설마 그 사이에는 여야 최고 지도자 수준에서 협의할 일이 아무 것도 없었다는 말인가. 그렇게 오래 뜸을 들이다 열린 영수 회담 이 야당 지도자의 기자 브리핑으로 시작되었다는 것도 특이한 사건이었다. 회담의 내용에 관해 양측 모두 자세한 설명이 없는 것도 이상했다. 그런데 웬일인가! 갑자기 교수님 두 분이 등장하여 자신들이 회담 주선 의 비선이자 주역이었다고 주장하며 언론 인터뷰까지 자청하고 영수 회담 의 대화 내용을 자세히 밝혔다. 여야 모두 이것을 미적지근하게 부인했을 뿐 더 이상의 조치가 없었다는 점도 기이했다.내가 더 크게 놀란 일이 또 한가지 있었다. 국정 최고 책임자 두 분의 첫 대화에서 정작 중요한 문제가 아무런 언급도 없이 빠졌다는 점이다. 두 분 사이에 한반도가 처한 안보 상황 에 대한 어떤 대책은커녕 기본적인 인식에 관한 논의나 의견 교환도 없었던 것이다.

지난 세기 초의 굴욕적인 국권 상실도 마찬가지였다. 1949년 중국의 내란이 일단락 되었을 때 영국 외무부는 한반도에서 곧 전란이 일어날 위험을 예견하였다. 비공식적인 자리였지만 1950년 1월 영국 외무부 장관인 어네스트 베빈은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험에 관한 경고를 하고 이 문제에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언급까지 하였다. 미 국무부에도 몇 차례 주의를 환기하려 하였지만 무시되고 말았다. 냉전 종식 이후, 특히 지난 한 세대 동안은 유례가 드문 평화의 기간이었다. 공산권은 무너지거나 큰 변신을 하였고 세계는 초강대국 한 나라가 보장하는 기본적인 질서가 유지되는 상황이었다. 제한적이지만 남북 간의 교류와 협력을 통하여 궁극적인 통일까지 지향한 햇볕 정책이 가능하였던 것도 이런 외적인 환경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회담 영수 회담 회담 주선 안보 상황 영수회담 안보 OPINION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선데이 칼럼] ‘한국 정점론’의 불편한 진실과 대응[선데이 칼럼] ‘한국 정점론’의 불편한 진실과 대응코로나 사태 이후 국제적 화두로 떠오른 ‘중국 정점론’은 과도한 국가부채(Debt), 부동산 시장 부실화(Default), 저출산·고령화의 취약한 인구구조(Demography)라는 ‘3D’ 악재에서 기인한다. 첫째, 정부의 3대 개혁 과제 중 특히 연금 개혁에 속도를 내고 저출산·고령화 대책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 현재 논란이 된 연금 개혁의 경우, ‘더 내고 더 받자’라는 접근은 국민적 수용성 개선의 장점이 있으나 장기적 재정 안정화라는 연금 개혁의 본래 목적에 부합 여부가 관건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선데이 칼럼] 미·중에 의해 나눠지는 과학기술 세계[선데이 칼럼] 미·중에 의해 나눠지는 과학기술 세계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산하의 데이터 엔지니어링 학회는 다양한 데이터를 모으고 활용하는 컴퓨터 기술의 개발에 관련된 공학적 문제를 다루는 학회다. 위더홀드 교수는 1992년 인터넷 시대가 열릴 때 미국 국방부 연구기획기관인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정보기술 분야 책임자로 파견 근무를 했다. 이 연구는 미국 구글의 중국계 연구원 하이슌 왕 박사가 중국 베이징의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에서 빙 검색 서비스의 지식 그래프 연구를 하던 빈 샤오 박사와 함께 시작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현곤 칼럼] 대통령은 뒤로 빠진 이상한 연금개혁[고현곤 칼럼] 대통령은 뒤로 빠진 이상한 연금개혁윤 대통령은 '역대 어느 정부도 연금개혁을 방치했다'고 말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해 연금 수령 시기를 62세에서 64세로 늦췄다. 덜 받으려면 소득대체율을 낮추거나 수령 시기를 늦춰야 한다. - 고현곤 칼럼,연금,대통령,프랑스 대통령,대통령 직속,공무원 개혁,연금개혁,윤석열 정부,소득대체율,국민의힘,민주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뼈있는 농담 뒤 15분간 '작심 발언'…윤 대통령 반응은이재명, 뼈있는 농담 뒤 15분간 '작심 발언'…윤 대통령 반응은[앵커]바로 대통령실에 나가 있는 출입 기자 연결해 오늘(29일) 회담 분위기 어땠는지 더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김태영 기자, 회담 초반에 뼈 있는 농담도 오가던데 실제 분위기는 어땠나요?[김태영 기자]이 대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진석 “尹-李 두 분만 따로 만나시라 했더니…모두 고개 끄덕”정진석 “尹-李 두 분만 따로 만나시라 했더니…모두 고개 끄덕”尹-李, 독대 회담 제안에 긍정적 반응 대통령실 “소통·협치 첫 발걸음 내디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정부 도운 한국 외교부 비판한 조선일보일본 정부 도운 한국 외교부 비판한 조선일보성호철 도쿄특파원 칼럼 "국익 훼손하면서까지 한일 관계 개선 기뻐할 수 없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9 14: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