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해외 첩보 업무를 담당하는 국군정보사령부 해외 요원의 신상이 담긴 기밀 정보가 북한 등에 넘어간 정황이 포착돼 국군방첩사령부가 수사 중이라고 한다. 유출된 정보가 최대 ...
대북·해외 첩보 업무를 담당하는 국군정보사령부 해외 요원의 신상이 담긴 기밀 정보가 북한 등에 넘어간 정황이 포착돼 국군방첩사령부가 수사 중이라고 한다. 유출된 정보가 최대 수천 건에 이르고 신분을 위장해 활동하는 ‘블랙 요원’ 정보도 포함됐다니, 여간 심각한 일이 아니다. 국가정보원 요원의 동선이 미국에서 고스란히 노출돼 국제적 망신을 산 게 불과 2주일 전이다. 대한민국의 양대 정보기관인 정보사·국정원의 업무 보안에 줄줄이 구멍이 뚫린 셈이다.
방첩당국은 29일 정보사 군무원 A씨의 개인 노트북을 통해 첩보요원 신상정보 등 1급 기밀정보가 외부로 유출된 사실을 파악하고 조만간 기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A씨는 노트북이 해킹됐다고 주장한다는데, 기밀자료가 개인 노트북에 저장됐다는 것 자체가 문제다. 국가를 위해 위험 임무를 수행하는 요원들의 안위는 물론, 유출된 정보가 어떻게 활용될지도 걱정스럽다. 무너진 첩보 시스템을 다시 구축하는 데 하루 이틀로 될 일이 아니라서 그 여파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도 우려된다. 당국은 역량을 총동원해 어떤 정보가 어디로 유출됐는지, 공범자가 있었는지 사건의 전모를 철저하게 파악해야 한다.
정보·보안 사고는 이전 정부에서도 없지 않았지만, 올 들어 윤석열 정부에서 빈발하고 있다. 미국 연방 검찰이 지난 16일 한국계 대북 전문가인 수미 테리 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을 지난 10년간 국정원으로부터 금품을 받고 비공개 정보 등을 넘긴 혐의로 기소했다. 국정원 요원이 테리 연구원과 접촉한 사진까지 공개됐다. 국정원은 그 낌새조차 까맣게 몰랐다고 하니, 이런 ‘정보 참사’도 없다. 지난 1월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에 근무하던 인도네시아 노동자가 국산 전투기 KF-21 개발 정보를 빼내고 있었는데도 뒤늦게 알아채는 한심한 일도 벌어졌다.
정보기관은 소리 없이 은밀하게 움직인다. 국민들은 그 활동을 세세하게 알 수 없고, 알 필요도 없다. 정보전의 최전선에서 국익과 국가 안보를 위해 활약하고 있다는 믿음만 가지면 된다. 그런데 정보기관의 허술한 활동이 자꾸 드러나는 것은 첩보·보안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국가 정보 역량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 또 국정원 시행령을 고쳐 국내 문제에 개입하려는 시도를 중단하고, 정보기관은 본연의 업무에 더 집중토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국제 망신 자초한 국정원의 아마추어 공작비공개를 전제로 미국 정부 당국에서 확보한 정보를 그가 신고하지 않은 채 한국의 정보기관에 제공하는 등 한국 정부를 위해 활동했다는 혐의다. 미 검찰 측은 그를 '한국 정부의 요원(agent)'이라 적시하고, '한국 정부의 지시를 받아 활동했다'고 공소장에 적었다고 한다. 미국 검찰이 테리 연구원과 국가정보원 직원의 접촉 상황을 촬영한 사진을 첨부한 공소 내용이 사실이라면 정보 수집 활동이 ‘꼬리’를 잡힌 어이없는 아마추어 공작 시도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황장엽 망명, 내가 수습했다”…법정에 선 비운의 공작원 [스파이전쟁 2부-대북공작원 ①]HID 출신 흑색 공작원 」 ■ 〈남북 스파이전쟁 탐구 2부〉를 시작하며 「 북한에 대남공작원이 있다면 한국에는 대북공작원이 존재한다. 육사와 정보사 HID(북파공작 부대)를 거친 그는 흑색과 백색을 모두 경험한 엘리트 공작원이었다. ■ 「 ·육군사관학교 42기(1982년 입학) ·한국외국어대학 중국학 학사(위탁교육) ·정보사 HID(북파공작 특수임무부대) 특수팀장 ·정보사 대북공작팀 부팀장 ·정보사 흑색 공작원(중국 선양) ·정보사 정보본부 보안정책·정보기획 과장 ·주중국 한국대사관 백색 공작원(무관보좌관, 영사, 육군무관) 」 그의 시련은 2019년 3월 30일 대령 예편한 직후 시작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잇단 급발진 의심 사고…결함 입증 '소비자→제조사' 법안 발의(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전국에서 급발진으로 의심되는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결합 원인 입증 책임을 소비자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전을 중국에 뺏기다니”…로봇청소기 시장 탈환 나서는 삼성·LG 전략은中 로보락 점유율 35% 넘지만 집안 해킹 우려에 소비자 불만 삼성, 보안 업데이트 5년 지원 LG, 개발부터 보안 위험 대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베벌리힐스…' 배우 섀넌 도허티, 암투병 끝에 별세…향년 53세(종합)(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1990년대 미국 드라마 '베벌리힐스의 아이들'(원제 '비벌리힐스, 90210')로 인기를 끈 배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역대급 사고 내놓고 버젓이 출퇴근”...대북요원 신상유출 용의자 구속도 못해노트북에 기밀저장한 용의자 압수수색 후 구속조차 못해 해외 활동 요원 급하게 귀국 보호조치 없어 신상에 위협 당장 中·러 파견 인력 부족 정보사, 대체할 첩보원 찾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