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급발진 의심 사고…결함 입증 '소비자→제조사' 법안 발의

대한민국 뉴스 뉴스

잇단 급발진 의심 사고…결함 입증 '소비자→제조사' 법안 발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5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1%

(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전국에서 급발진으로 의심되는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결합 원인 입증 책임을 소비자에...

강원 강릉에서 2022년 12월 이도현 군이 숨진 차량 급발진 의심 사고와 관련해 차량의 결함에 의한 급발진 여부를 밝힐 '재연 시험'이 지난 4월 19일 오후 강릉시 회산로에서 진행됐다. 사고 차량과 같은 '2018년식 티볼리 에어' 차량에 카메라와 변속장치 진단기가 설치되고 있다.

박영서 기자=전국에서 급발진으로 의심되는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결합 원인 입증 책임을 소비자에서 제조사로 전환하도록 하는 법안이 21대 국회에 이어 22대에서도 발의됐다.허 의원에 따르면 이번에 발의한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은 21대 국회에서 발의되어 논의됐던 법안들의 주요 내용을 하나로 모은 최종 보완 법안이다.또 제조사가 영업비밀 등을 이유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에도 비협조적으로 대응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이미 공정거래법과 하도급법 등 여러 법률에서 도입된 '자료제출명령제도'를 제조물 책임법에도 적용했다.2022년 12월 이도현 군이 숨진 차량 급발진 의심 사고를 계기로 이른바 '도현이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21대 국회에서 도현이 가족이 국회 국민동의 청원에 올린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결함 원인 입증 책임 전환 청원' 글에 5만 명이 동의하면서 도현이법 제정 논의를 위한 발판이 마련됐으나 국회 임기 종료와 함께 폐기됐다. 2022년 12월 이도현 군이 숨진 차량 급발진 의심 사고와 관련한 민사소송이 진행된 지난 6월 18일 도현 군의 아버지 이상훈 씨가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앞에서 도현이법' 제정을 위한 국민동의 청원 참여를 촉구하는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허 의원은 21대에서도 개정 취지만큼은 정무위원회 심사 과정을 통해 여야를 막론하고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이번에 논의가 재개되면 신속하고도 긍정적인 심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허 의원은"내연기관 차량 부품이 보통 3만개나 된다는데, 여기에 첨단 전자기술까지 적용되면서 일반 소비자 역량으로는 결함 여부를 제조사와 따지는 게 거의 불가능한 영역으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이 법이 개정되고 소비자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어 단 한 사람의 국민이라도 억울함을 풀 수 있다면, 우리 사회의 불신을 해소하고 더 공정한 시장경제 질서를 확립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대통령실, '탄핵청문회'에 "위헌 소지 사안엔 타협 안해"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브레이크 대신 ‘액셀 7번’ 밟았다…‘급발진 주장’ 택시 페달 블랙박스 봤더니 [왜몰랐을카]브레이크 대신 ‘액셀 7번’ 밟았다…‘급발진 주장’ 택시 페달 블랙박스 봤더니 [왜몰랐을카]지난 1일 발생한 시청역 역주행 참사를 두고 급발진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다. 기존 급발진 의심 사고와 달리 현재까지는 급발진 가능성을 낮게 보는 전문가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급발진 두려움에 페달 블랙박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페달 블랙박스에 촬영된 급발진 의심 사고 결과도 뒤늦게 알려졌다. 지난해 11월 발생한 전기택시가 담벼락을 들이빋은 사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청역 사고, 운전자 과실·급발진 여부 등 여러 가능성 수사(종합3보)시청역 사고, 운전자 과실·급발진 여부 등 여러 가능성 수사(종합3보)시청역 사고, 운전자 과실·급발진 여부 등 여러 가능성 수사(종합3보) - 4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명 목숨 앗아간 ‘시청역 참사’ 역주행 미스터리9명 목숨 앗아간 ‘시청역 참사’ 역주행 미스터리경찰, 사고 정황 질문에 “수사 중” 신중…급발진 여부 미지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년만에 자본금 한도 확대 … 산은, 반도체 지원 '탄력'10년만에 자본금 한도 확대 … 산은, 반도체 지원 '탄력'당국, 30조→50조 증액 추진자본금 한도 확대 여야 공감대민주당도 10조 증액 법안 발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또하나 밝혀진 ‘시청역 역주행車’ 진실…브레이크, 전자식 아닌 유압식 [왜몰랐을카]또하나 밝혀진 ‘시청역 역주행車’ 진실…브레이크, 전자식 아닌 유압식 [왜몰랐을카]운전자 급발진 주장에 “가능성 낮다” ‘급발진 가능성 70%’ 반박에 또 반박 브레이크, 전자식 아닌 유압식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급발진, 제조사가 입증하라'…도현이법 재청원 5만명 동의'급발진, 제조사가 입증하라'…도현이법 재청원 5만명 동의(강릉=연합뉴스) 박영서 기자=2022년 12월 이도현(사망 당시 12세) 군이 숨진 차량 급발진 의심 사고와 관련해 이른바 '도현이법'(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8 01:1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