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응급의료 공백 불안, 환자 피해 없도록 총력 기울여야

대한민국 뉴스 뉴스

[사설] 응급의료 공백 불안, 환자 피해 없도록 총력 기울여야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5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53%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여태껏 복귀하지 않으면서 응급의료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20일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인상 등 몇가지 대책을 내놨지만 전공의 이탈 뒤 남은 의료진의 피로감이 누적된 상태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명절

연휴에 응급실 환자가 몰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9월에 고비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아 헤매는 ‘응급실 뺑뺑이’는 전공의 집단사직 이전부터 누적된 문제였다. 그런데 응급실 전공의 500여명이 빠져나간 뒤 복귀하지 않았고 업무 과중으로 번아웃이 온 전문의들의 퇴직·휴직이 늘면서, 응급의료 중단 위기로까지 번지고 있다. 응급실 의료진이 부족하면 병상 수를 줄이는 수밖에 없다. 전국 408곳 응급의료기관 병상 6천개 가운데 160~170개가량이 줄었다고 한다. 세종충남대병원은 8월 들어 매주 목요일마다 부분적으로 응급실 진료를 중단하고 있다. 순천향대천안병원·단국대병원 응급실도 정상 운영이 어려운 상태고 충북대병원도 얼마 전 응급실 운영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최근 폭염과 열대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늘고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많다는 점도 어려움을 가중시킨 요인이다.

응급의료 공백은 환자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차대한 문제다. 응급처치를 받거나 병동·중환자실에 입원하기까지 대기하는 응급실 병상이 줄어들면 환자가 ‘골든 타임’을 놓칠 우려가 커진다. 앞서 지난달 31일 경남 김해 공사장에서 60대 트레일러 운전자는 1.5톤 무게의 콘크리트에 깔리는 사고를 당했지만 병원 10곳에서 모두 이송을 거절당한 끝에 숨졌다. 문제는 기형적으로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이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응급실 과부하 문제를 해소할 대책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정부가 뒤늦게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체질을 바꾸고 경증·비응급 환자는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하는 대책을 추진 중이지만, 단기간에 성과가 나오긴 어렵다. 우리는 1차 의료기관에서 주치의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대형병원 응급실 방문 환자의 44%가 경증·비응급 환자다. 한국 의료의 고질적 문제를 뜯어고칠 장기 대책을 추진하는 건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그렇다고 당장 환자들의 피해가 예상되는데도 정부가 손 놓고 있어선 안 된다. 응급의학과 이외 진료과목 전문의를 응급실 전담으로 채용하는 등 다각도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취임식 생략한 금융위원장 '이커머스 규제 서두를 것'취임식 생략한 금융위원장 '이커머스 규제 서두를 것'김병환 새 위원장 업무 첫날티메프 사태 피해 지원 강조'경영진에 엄중책임 물을 것'가계대출 등 불안 해소 주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전공의 장기 공백, 무너지는 필수의료, 정부는 ‘탁상 대책’ 뿐[사설] 전공의 장기 공백, 무너지는 필수의료, 정부는 ‘탁상 대책’ 뿐7654명을 뽑으려 한 올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104명(1.4%)만 지원했다. 그나마 지원자 절반 가까이는 서울의 ‘빅5’ 상급종합병원에 몰려,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 지원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의료 공백 속 코로나 재유행, 국가적 경각심 높일 때다[사설] 의료 공백 속 코로나 재유행, 국가적 경각심 높일 때다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최근 입원 환자가 매주 2배씩 늘어나, 한 달 전에 비해 9배 이상 증가했다. 갑작스러운 증가세로 코로나19 치료제와 진단키트의 일시적 품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사회적 재난이 된 폭염, 취약층 총력 지원 서둘러야[사설] 사회적 재난이 된 폭염, 취약층 총력 지원 서둘러야지난 4일 경기 여주 점동면 기온이 2018년 이후 6년 만에 40도를 기록하는 등 살인적인 찜통더위가 계속되면서 인명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주말 사이에만 5명이 목숨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규홍 장관 ''수련 보이콧' 의대교수들, 환자 불안·불편 외면하는 것'조규홍 장관 ''수련 보이콧' 의대교수들, 환자 불안·불편 외면하는 것'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3일 최근 일부 의대 교수들이 하번기에 모집될 전공의의 교육과 지도를 거부하는 '수련 보이콧'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의료현장의 어려움을 누구보다도 더 잘 알고 계실 의대 교수님들이 환자의 불안과 불편을 외면하는 것 같아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전기차 화재’ 시민 불안, 안전대책 미적댈 시간이 없다[사설] ‘전기차 화재’ 시민 불안, 안전대책 미적댈 시간이 없다최근 인천 청라의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이후 시민들의 불안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전국 아파트 곳곳에서 전기차 주차 금지 여부를 두고 극심한 갈등이 빚어지는가 하면, 일부 건물에선 전기차 출입이 원천 통제되거나 충전기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9 01: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