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마약 밀반입과 불법 이민자 유입을 이유로 취임 첫날 멕시코·캐나다에 각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26일 밝혔다. 트럼프가 ‘관세 무기화’에 한발짝 다가선 것이어서 국제무역질서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중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마약 밀반입과 불법 이민자 유입을 이유로 취임 첫날 멕시코·캐나다에 각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26일 밝혔다. 트럼프가 ‘관세 무기화’에 한발짝 다가선 것이어서 국제무역질서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중국·멕시코·캐나다와 공급망이 조밀하게 얽혀 있는 만큼 부작용 최소화에 힘써야 한다.
트럼프가 이날 발표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중남미계 불법 이민자들이 국경 통제가 강화되기 전에 미국에 입국하려는 현상이 벌써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수천명의 사람들이 멕시코와 캐나다를 통해 쏟아져 들어오면서 범죄와 마약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유입되고 있다”며 “마약과 불법 이민자들의 침입이 중단될 때까지 관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를 마약과 불법 이민자 문제 해결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에 대해서도 “중국과 마약, 특히 펜타닐의 대량 유입에 대해 많은 대화를 했으나 소용이 없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대선 때 모든 나라에 10~20% 보편관세 부과와 함께, 중국과 멕시코에 각각 60%, 200%의 관세 부과를 공약한 바 있다.
우리나라도 이번 발표의 간접적 영향권에 들어 있다. 중국의 대미 수출이 감소하면 한국산 중간재 수요도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자동차·가전 등 우리 기업들의 대미 수출품도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탓이다. 또 주목되는 것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맺고 있는 멕시코·캐나다에까지 관세 위협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미 무역흑자 8위인 우리도 트럼프의 공세에서 예외가 아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행보는 대외 개방도가 높은 우리나라엔 큰 리스크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막연한 두려움에 사로잡히기보다는 냉정하게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트럼프가 중국·멕시코에는 실제로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지만, 나머지 국가들에는 협상카드로 활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재무장관과 상무장관에 ‘관세 강경파’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를 배제하고, ‘관세 협상파’인 스콧 베센트와 하워드 러트닉을 지명한 것이 그런 신호다. 제프리 쇼트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 26일 토론회에서 제안했듯이 우리가 강점을 가진 자동차·반도체·방산·조선 등 분야의 협력을 지렛대 삼아 다가올 통상 파고를 넘을 수 있도록 정부가 만반의 준비를 하기 바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막 오른 트럼프 관세전쟁…차례 오기 전에 선제적 빅딜을 [사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관세전쟁의 포문을 열었다. 트럼프는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내년 1월 20일 취임 당일에 멕시코와 캐나다에 각각 25%, 중국에는 추가 관세에 더해 10%의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대선 공약에서 일찌감치 관세전쟁을 예고했지만 구체적인 언급을 한 것은 처음이다. 이 같은 엄포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尹 지지율 20%로 반등...기자회견 뒤 TK 재결집 효과한국갤럽 11월 2주차 여론조사 73% “트럼프 당선 우리에게 부정적” 66% “우리도 핵무기 보유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학균의 쓰고 달콤한 경제]미국 신고립주의의 경제적 기원자국의 가치를 외부 세계에 투사하고자 하는 미국의 욕망은 현저히 약해지고 있는 것 같다. 경제적으로는 1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 바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노믹스에 중국은 초비상…관세전쟁 예고에 경제성장률 곤두박질 칠 수도 [다시 트럼프 시대]더 강해진 ‘트럼프노믹스 2.0’ 고율 관세·감세·反이민 드라이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랜스젠더는 다 쫓아내라”…軍 1만5000명 쫓겨날 위기 처한 이 나라트럼프 당선인, 행정명령 준비 중 첫 임기 때 트랜스젠더 입대 막았지만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행정명령 폐기 이번엔 수십 년 근무한 고위직도 퇴출대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중국 저가 공세·미국 관세 우려, 통상환경 급변 대비해야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 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의 경기 부진과 밀어내기성 수출 여파로 공급 과잉 현상이 지속되면서 한국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게다가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당선될 경우엔 모든 국가에 일괄 관세 부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