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자체에 대해선 여전히 찬성(88%)이 압도적이지만 증원 규모로 2000명을 고수하지 말고 중재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자 역시 적지 않았다. 꼬여 있는 대화의 실마리를 풀려면 정부가 먼저 의대 증원 규모를 포함한 모든 의제가 열려 있다는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어제 CBS라디오에 출연해 '그 의제(의대 증원 규모)에 대해 오픈돼 있다'고 언급했지만 그 정도론 충분치 않다.
2000명 증원 고수 47%, 규모·시기 조정 41%로 의대 증원 자체 찬성이나 ‘중재안 필요’ 적잖아 대형 종합병원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공백 사태가 발생한 지 한 달을 맞았다. 의료계와 정부는 여전히 강 대 강으로 맞서며 한 발도 물러서지 않는 모양새다. 의·정 갈등 속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의료 소비자인 국민이다. 특히 중증 환자와 그 가족의 불안감과 피로감은 이루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의료계와 정부가 하루빨리 대결을 멈추고 사태 해결의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이유다.
무엇보다 의대 증원을 둘러싼 여론의 동향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자.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확대 발표에 대해 ‘원안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47%, ‘규모나 시기를 조정해야 한다’는 41%였다. ‘의대 증원에 반대한다’까지 고려하면 정부 원안대로 추진하자는 의견과 그렇지 않은 의견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의대 증원 자체에 대해선 여전히 찬성이 압도적이지만 증원 규모로 2000명을 고수하지 말고 중재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자 역시 적지 않았다. 이번 여론조사에선 종합병원 의료 공백에 대한 정부 대응이 ‘잘못했다’는 평가가 ‘잘했다’를 웃돌았다. 물론 현재의 의료 공백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은 한꺼번에 사직서를 내고 환자 곁을 떠난 전공의들에게 있다고 할 수 있다. 의사가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볼모로 집단행동을 벌이는 건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그렇지만 정부의 국정관리 능력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커지는 현실도 심각하게 봐야 한다. 정부가 의대 증원을 발표하면 의료계가 강력히 반발할 것이란 점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시나리오였다. 그렇다면 정부로선 의료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전에 철저히 대비했어야 했다. 이런 대비도 없이 정부가 무조건 강경 대응으로 일관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이제라도 의료계와 정부는 열린 태도로 대화의 테이블에 마주 앉아야 한다. 꼬여 있는 대화의 실마리를 풀려면 정부가 먼저 의대 증원 규모를 포함한 모든 의제가 열려 있다는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어제 CBS라디오에 출연해 “그 의제에 대해 오픈돼 있다”고 언급했지만 그 정도론 충분치 않다. 진정 대화의 의지가 있다면 정부가 좀 더 명확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 의료계도 원점 재검토 요구를 철회하고 의대 증원 논의에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정부가 제시한 2000명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정 규모의 증원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의료계와 정부 양측 모두 국민 건강권 보장을 최우선에 두고 적절한 의대 증원 규모를 논의하길 바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의·정 대치 한 달, ‘2천명 논의’ 열어놓은 사회수석 주목한다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지 한 달이 지났다. 국민 건강과 생명에 대한 위협이 커지고 있지만 의·정 간 입장차는 한 치도 좁혀지지 않고 출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평생 환자치료 택한 사람들 … 의대 교수 사직 안 할거라 믿어''의·정 갈등 최전선' 조규홍 복지장관 인터뷰의료대란 이달말 고비라는데그전까지 설득 적극 나설 것의학교육 질 저하 우려엔해외 교수들 영입 추진 가능정부 대화 의지 부족 시선엔비공개 접촉 계속 하는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의료대란 중대 고비, 결국 출구는 의·정 대화로 열어야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 대치가 4주째를 맞지만, 해결 실마리는 보이지 않는다. 의사들의 반발은 전공의·전임의에 이어 의대 교수들로 확대되고, 비상진료체계는 한계 상황에 맞...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영 ‘청정에너지’ 고위급 대화 가동…원전·해상풍력 협력한국과 영국이 청정에너지 분야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고위급 채널을 가동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남호 2차관과 영국 에너지안보 탄소중립부 제레미 폭링턴 차관이 8일 서울에서 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키워준 분 그리워서'... 한 노숙인 할아버지와의 대화경찰관인 내가 30여 분 식사 말동무 하며 느낀 것... 설악산 가보고 싶다는 소망 꼭 이루시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가, 과일값·유가 뛰며 한 달 만에 3%대 상승[앵커]농산물값 고공행진에 국제 유가 상승세가 겹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습니다.정부는 3~4월 먹거리 할인에 600억 원을 투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