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비수도권 대학 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첨단분야 교육과정을 공동 개발·운영함으로써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학과 간의 벽을 넘어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첨단분야의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려대를 포함해 한양대, 강원대 등 7개 대학도 에너지신산업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마치 하나의 대학처럼 기능하고 있다. 에너지신산업 분야 재학생이라면 어디서든 기계·건물에너지의 고려대, 수소에너지의 강원대, 에너지 수송 분야의 한양대 주요 교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 고등교육의 백화점식 동종화와 획일화가 빚은 다양성과 융합의 한계가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이처럼 각자도생할 수밖에 없는 지금의 대학 구조로는 초연결과 초지능, 초융합을 핵심 키워드로 하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는커녕 대학의 생존 자체가 위협 받을 수밖에 없다.수도권-비수도권 대학 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첨단분야 교육과정을 공동 개발·운영함으로써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학과 간의 벽을 넘어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첨단분야의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현재 인공지능, 차세대 반도체, 미래자동차 등 13개 분야에서 컨소시엄이 운영되고 있다. 고려대를 포함해 한양대, 강원대 등 7개 대학도 에너지신산업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마치 하나의 대학처럼 기능하고 있다.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도 혁신융합대학의 특징 중 하나다. 에너지신산업 컨소시엄에서는 예술과 에너지의 융합강좌, 에너지와 기술의 경제학 과정 등 학제간 융합 교과목 운영으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고,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있다. 또한 산업 현장의 살아 있는 실무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산학연계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팽창하는 수도권과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의 양극화도 제2의 분단이라고까지 불리고 있을 정도다. 혁신융합대학은 지역의 거점 사업에 부합하는 특성화 교육 과정을 구축하고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산업계, 학계 전문가, 학생이 함께 해결해나가는 아이디어캠프도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역사회와의 연결이 강화되면 수도권과 지역의 양극화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혁신융합대학사업이 빠르게 안착해 우리 대학의 미래를 바꾸고 이를 통해 육성된 첨단분야 혁신 인재들이 대한민국 연구개발 분야, 산업현장, 글로벌 경쟁 구도 속에서 맹활약하는 모습을 앞당겨 볼 수 있기를 바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비즈 칼럼] 우리에겐 올림픽 성공 개최의 DNA가 있다제4회 동계청소년올림픽(이하 강원 2024)이 2024년 1월 19일부터 2월 1일까지 강원특별자치도(이하 강원도)에서 개최된다. 그래서 강원 2024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대회 캐치프레이즈를 ‘SHINE TOGETHER’로 정하고, 다음의 세 가지 목표를 바탕으로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조직위는 오는 10월까지 모든 경기장의 개보수를 마칠 계획이며, 대회에 참가하는 1900명의 미래 스포츠 스타들이 최고의 경기를 펼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연금개혁 초안서 빠진 ‘더 받는’ 방안…“국고 투입해야”보건복지부 산하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가 ‘더 내고 더 늦게 같은 금액을 받는’ 개혁안을 내놓으면서 노후에 연금을 얼마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새해 아침 큰 만두를 먹는다, 잠시나마 위대해진다전보다 더 많은 편의를 누리게 되었지만, 사람들은 전보다 더 작아졌다. 전보다 더 많은 상품을 소비하게 되었지만, 사람들은 전보다 더 왜소해졌다. 전보다 더 오래 살게 되었지만, 사람들이 전보다 더 위대해졌다는 징후는 없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든 방송의 종편화, 그 끔찍한 미래가 오고 있다[민언련 칼럼] 공영방송의 축소와 파괴, '방송의 종편화'... 이동관 방통위의 속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압도적 취업률·전국 최고 장학금 …'클래스가 다르다'전문대 인기 갈수록 급상승 … 취업난에 실무 능력 선호경북권 전문대 취업률 80.2%대구 1인당 장학금 433만원전국 평균 훨씬 웃돌아특성화 분야 집중교육 효과산학협력 맞춤형 인재 양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공식제안 있었다'...북한-러시아 지난 7월 오간 이야기북·중·러 군사 협력 움직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분석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