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동상 제막식이 열렸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의 소비 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육류 소비량은 양곡 소비량을 뛰어넘었다. 집에서 치킨 뜯는 시대에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끈 한국 농업의 중흥은 이미 과거의 유산이 됐다는 의미다. - 박한슬의 숫자읽기,박정희,계엄,계엄 선포,동상 제막식,퇴행적 계엄,통일벼,농공병진정책,양곡법,군사독재
얼마 전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동상 제막식 이 열렸다. 통상 그와 결부되는 이미지인 선글라스를 쓴 군인, 손을 힘차게 뻗는 국가 지도자의 모습이 아니었다. 동상이 담은 건 밀짚모자를 쓰고, 수확한 볏단을 들고 웃는 농민의 모습이었다. 과거 권위적 국가 지도자의 전범으로 호명되던 것과는 달리, 한국 산업화의 역사가 ‘먹고 살 걱정’을 덜어주는 과정이었음을 강조하는 비교적 담백한 접근이다. 이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는 상징물로 선택된 게 볏단. 수백만 명의 국민을 보릿고개라 불리는 기아의 위기에서 구해낸 국산 벼 품종 통일벼 다.
아쉽게도 통일벼는 문제가 많았다. 수확량이 늘어 배곯는 일이 줄긴 했지만, 주로 동남아 지역에서 많이 먹는 쌀 품종인 안남미와 교잡한 탓에 우리 입맛에 맞질 않았다. 게다가 한반도의 기후 조건과 잘 맞지 않아, 비료와 농약을 과거보다 많이 사용해야만 했다. 품종 자체로는 열악함이 많았다. 우리가 역사로서 기억해야 하는 건, 통일벼라는 품종 자체가 아닌 그의 임기 내 꾸준히 유지된 농공병진정책이다. 농업협동조합의 역할을 확대해 농가 자본조달을 쉽게 만들고, 새마을운동으로 농업 기계화와 농지 정비를 수행했다. 그의 인권유린과 별개로 초기 한국 농업의 성취는 그에게 빚진 게 많다는 의미다.개발도상국 시기의 한국이 그의 농업 정책 덕을 봤다지만, 최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한 양곡법 개정안에서 보듯 쌀은 이제 골칫거리다. 1995년까지만 해도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이 107㎏ 정도를 유지했지만, 2022년에는 그 소비량이 절반 정도인 57㎏로 뚝 떨어졌다.
고작 한 달 전까지만 해도 계엄이란 단어는 치킨이나 ‘오징어게임’보단, 통일벼나 쥐잡기운동에 가까운 사어였다. 그러니 산업화의 영광과 민주화의 성취를 두루 아우르는 새로운 보수를 말하는 게 가능했다. 하지만 낡은 군사정권의 용어가 살아나자, 박정희는 다시 군사독재의 상징으로 파묘됐다. 이젠 그의 성취는 기리자는 말조차, 퇴행적 계엄 시도를 옹호하는 반동이 됐다. 그 동상을 지키려 공무원에게 철야 감시까지 시켜야 하는 상황을 만든 이를 왜 보수가 감싸고 있나.
박정희 계엄 계엄 선포 동상 제막식 퇴행적 계엄 통일벼 농공병진정책 양곡법 군사독재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과 프랑스 정국 불안으로 인한 주식시장 흐름한국과 프랑스 정국 불안으로 주요 주가지수가 하락했지만, 오후 들어 회복하거나 강세를 보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프랑스 정부의 긴축 예산안 강행으로 정치 상황이 불안정해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회 국방위,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상황에 대해 여야 일제히 비판국회 국방위의 전체회의에서는 여야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계엄 실시에 대한 군의 행동을 비판하며, 계엄의 위법성과 군인의 정치적 중립성 부족을 강하게 비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상계엄 선포와 그 즉시의 해제; 국회의 존재 의의와 정치 일정의 조정비상계엄 선포와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한 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이 이슈가 되며, 이로 인해 국회의 존재 의의와 정치 일정의 조정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집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비상계엄 주도 논란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 선포와 계엄 해제 과정에서 국방부와 경찰의 투입을 주도하였음이 확인되었습니다. 계엄사령관의 역할은 제한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상계엄 선포와 실패한 쿠데타 계획2023년 비상계엄 선포와 그 과정에서 발생한 변수들, 군인들의 대응, 시민들의 저항, 그리고 계엄 해제 과정에 대한 분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국방부 '한미연합태세 여전히 강력…어떤 위협도 대응 준비'(美국방장관 전용기·워싱턴=연합뉴스) 박성민 송상호 특파원=미국 국방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해제 사태 및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