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방송작가의 질문을 받았다. 순대의 역사가 어떻게 되느냐고. 잘 모른다고 답했다. 아직 우리나라에 순대(국) 연구자는 없는 것 같다. ...
아직 우리나라에 순대 연구자는 없는 것 같다. 옛날 신문 자료를 뒤져도 아주 적다. 심지어 순대의 변천사를 더듬어볼 기록조차 없다. 언제부터 누가 당면을 넣었는지, 부산 돼지국밥은 이북 피란민이 전파한 것인지, 들깨는 누가 넣었는지, 서울의 순댓국은 전라도식인지 이북식인지 충청도식인지 아니면 그저 서울식인지 모른다. 다만 돼지 사육이 본격화된 1970년대 이후 도시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순대는 저장 식품이다. 한국은 말린 순대를 먹지 않지만, 서양에는 살라미가 있고, 중국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순대는 돼지나 기타 짐승을 잡아서 그걸 알뜰하게 먹으려는 의도에서 나온 음식이다. 피와 내장, 그리고 부스러기 등을 ‘제 몸뚱이 중에 그릇 역할을 할 수 있는’ 창자에 넣어서 만든다. 그릇을 따로 준비할 필요도 없고, 그 그릇 역할을 한 창자까지 먹을 수 있다. 게다가 익히거나 숙성되는 과정에서 더 맛있어진다.
순대는 실크로드의 영향도 받았다. 후추와 여러 향신료를 넣어 만드는 방식은 상인들이 전달했고, 전쟁도 매우 중요한 이동 경로가 되었다. 순대로 겨울을 날 수 있었고, 전투식량이 되었다. 북방 기마민족들, 고원지대의 민족들이 중세에 유럽을 공격하는 데 아주 훌륭한 몫을 했다. 물론 그 순대는 돼지일 수도, 소나 양이나 사슴일 수도 있다. 우리 현대의 순대는 아마도 당면을 만나서 더 싸게 팔릴 수 있었다. 당면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스러기가 생기고, 그것을 싸게 사서 순대에다 넣으면 양이 늘었다. 순대는 북방식이었으니 철저하게 고기와 비계, 피로 만들었다. 하지만 한국에 와서 농경민족의 영향으로 변한다. 곡물을 넣고, 한국에서 가장 흔한 우거지가 들어가는 경우도 많았다. 배추를 워낙 많이 먹으니 그 부산물이 순대 속으로 침투한 셈이다.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구독 구독중 순대에 곁들이는 장으로 고향을 알아보는 것도 있다. 쌈장이냐 초장이냐 아니면 그냥 소금이나 간장을 찍어먹느냐를 보고 출신 지역을 알 수 있다. 대체로 남도의 우도는 쌈장이고 좌도는 초장이라고 한다. 기호지방은 소금이 대세다. 제주는 간장을 찍기도 한다. 순댓국을 먹을 때 나오는 새우젓을 찍어먹는 경우는 없는 듯하다. 아마도 가장 싼 패스트푸드인 순대를 팔면서 새우젓을 내기엔 너무 비싼 것 아니었을까. 순대는 원래 고급이었다. 재료 자체가 동물성이므로 비싸고 귀하다. 산업화시대에 와서 가장 싼 음식이 되었다. 그러더니 요새는 순대 값이 오른다. 손이 많이 들어가면 값이 오르는 거다. 그 일을 할 사람도 없어서 외국인들 중 순대 기술자가 많다고 한다. 어즈버.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장맛이 진짜가 아니라서얼마 전에 경기 이천의 한 식당에서 장독대 구경을 했다. 주인은 정작 자기가 만든 음식보다 옹기 내용물에 자부심이 더 커 보였다. 한 항아리를 열자 아주 달큼하고 미묘한 냄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 잔에 1000원대, 저가 커피보다 싸다”…‘갓성비’ 편의점 커피 매출 ‘쑥’편의점 원두커피 매출 상승세 “원두커피 매출 신장률 매년 20%↑” “저렴하지만 질 좋은 맛있는 커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걷는 것도 뛰는 것도 아닌 경보, '중간'이 던지는 미학'유별난 무용이 펼쳐진 장소는 여느 공연장과 사뭇 다르다. 번호표가 붙은 객석도, 몸짓에 집중할 수 있는 프로시니엄 무대도, 스토리의 배경이 되는 무대장치도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좌석은 뒤편에 몇 개만 깔렸을 뿐 몇몇은 사이드에 앉아서 관람한다. 티켓을 배부한 곳은 좁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한쪽 구석에 마련된 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시 좀 쥔다 하면 그곳 출신” 맛 보장된 파인다이닝 찾는 법강민구 셰프의 미쉐린 2스타 레스토랑 ‘밍글스(mingles)’와 최근 뉴욕으로 이전한 신창호 셰프의 ‘주옥’(미쉐린 2스타), 박재형 셰프의 프렌치 레스토랑 ‘오네뜨장(Honnetes Gens)’ 등 유명한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이 그의 손을 거쳤다. 그는 한국에서 ‘파인다이닝’은 어떤 개념으로 통용되는지, 흔히 ‘오마카세’라 말하는 코스 요리는 어떤 영역에 속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과거에 미식의 각 장르를 이끈 리더 셰프들과 현재 트렌드를 리드하는 후배 셰프들이 만나 한·중·양식 등 일곱 가지 장르를 팝업 형태로 운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대 한강뷰 vs 곡선의 미학…한남4구역 ‘불꽃 수주전’서울 용산구 한남4구역 재개발 사업을 따내기 위한 국내 1, 2위 건설사의 맞대결이 뜨거워지고 있다. 경쟁사인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저마다 글로벌 건축사무소와 손잡고 국내에선 볼 수 없었던 파격적인 단지 설계를 선보였다. 삼성물산은 글로벌 설계사 ‘유엔스튜디오’(UN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웅장한 공간·우아한 미학 … '월클' 아이오닉9현대차 대형 전기차 SUV , LA서 첫 공개보트의 날렵한 형상에서 착안'에어로스테틱' 디자인에 탄성3m넘는 넉넉한 실내공간 자랑4종 시트로 유연한 공간 구성1회 충전으로 최대 532㎞ 거뜬원하는 기능·서비스 추가구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