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이뤄진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1심 선고를 앞두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트럼프와 이 대표를 비교했다. 이후 1심 선고가 생중계된 건 2018년 4월 박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재판, 그해 7월 박 전 대통령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재판, 그리고 그해 10월 있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횡령ㆍ뇌물 사건뿐이다. 이 대표의 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의 경우 2022년 9월 기소돼 1심 선고까지 2년 2개월 걸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는 비슷한 점이 몇 가지 있다. 배타적이고 확실한 지지 기반을 갖고 있다. 군중 심리를 잘 읽고 활용한다. 트럼프가 대선 과정에서 사법리스크를 털어내긴 했지만 이 대표처럼 여러 혐의로 기소돼 재판받는 처지였다. 두 사람 모두 수사와 기소를 정치적 탄압이라는 주장으로 대응해 왔다. 트럼프가 당선되자 이 대표는 “민주당이 계속 ‘ 먹사니즘 ’ 얘기를 하는 대한민국 상황과도 맞닿아있다”며 공통점이 있다고 했다.
한 대표 말처럼 트럼프는 지난해 11월 워싱턴DC 연방법원에 의회 폭동을 부추겨 2020년 대선 패배를 뒤집으려 한 혐의에 대한 재판을 생중계해달라고 요청했다. 오히려 법원이 이를 거부했다. 무죄 확신과는 별개로 트럼프는 재판 중계를 활용해 지지층을 결집하고 그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 대선에 활용하려 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반면 2020년 대선 때 조지아주 투표 결과를 전복하려 시도한 혐의로 기소된 사안을 맡은 조지아 풀턴 카운티 법원은 재판을 생중계해 왔다. 미국에서는 워싱턴DC를 제외한 50개 주에서 주요 재판을 중계할 수 있다. 국민의 알 권리에 무게를 둔다.정치권 찬반 주장으로 법원 압박논란이 된 이 대표에 대한 선고 생중계는 이뤄지지 않았다. 재판부는 “관련되는 법익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대법원 공개변론은 2013년부터 중계방송할 수 있다. 2017년부터는 1, 2심 재판도 생중계할 수 있도록 관련 규칙이 개정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1심 선고 재판 생중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국민의 알 권리 무죄추정의 원칙 여론재판 우려 위증교사 혐의 1심 선고 하급심 생중계 기준 필요 이재명 재판 부장판사 사표 트럼프와 이재명 비슷한 점 먹사니즘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민의 알권리 존중”…이재명 1심 선고 생중계 여부에 쏠리는 시선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 선고기일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선고가 TV에 생중계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한성진 부장판사)는 오는 15일 1심 선고를 앞둔 이 대표 선고공판의 중계 여부를 이르면 이번 주 결정한다. 정치권에선 여권과 일부 야권에서 재판을 생중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병주의 시선] 이재명 선고의 아전인수식 기대다음 달 9일이면 윤 대통령 임기의 반환점에 접어들지만 남은 임기에 대한 긍정적 예상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공교롭게도 특검법 표결을 계획한 다음 날인 15일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혐의에 대한 1심 선고가 내려진다. 검찰은 징역 2년을 구형했는데, 벌금 100만원 이상의 확정판결이 나오면 이 대표는 의원직을 잃고 2027년 대선 출마도 할 수 없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진우 '박근혜·이명박처럼 이재명 선고 생중계 해야'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22일 서울중앙지방법원 등 법원 대상 국정감사에서 다음달에 열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법원 선고를 TV로 생중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주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시청률 4%, 이명박 대통령이 8~9% 나왔다'며 과거 전직 대통령 선고 공판 T...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원 “대의민주주의 본질 훼손”…예상 깨고 이재명에 징역형1심 법원 의원직 상실형 선고 “김문기 전 처장 몰랐다” 무죄 “함께 골프친 적 없다”는 유죄 대선 영향 미친 심각성 인식 법원, 벌금형 대신 징역 선고 이재명 ‘사법리스크’ 수면 위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李선고 공방전 … 與 '죄질나쁜 유죄' 野 '무죄탄원 100만서명'나흘 앞두고 여야 신경전민주당, 장외서 사법부 압박당내 선거법 낙관 분위기속25일 위증교사선고 위기감도李, SNS에 '공소 성립 안돼'국힘은 사법리스크 총공세韓 '재판부, 법대로 판단을'1심 선고 생중계 거듭 요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선고 앞 ‘재판 생중계’ 논란…“정치적 사건 거론 바람직 않아”오는 15일과 2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과 위증교사 사건의 1심 선고가 각각 예정된 가운데 재판 생중계 문제를 놓고 여야가 공방을 벌이고 있다. 재판 생중계가 정쟁거리로 활용되면서 재판의 투명화, 국민의 알권리 강화라는 본질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