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예산 배정 문제로 한 사업부 대표와 날이 선 논의를 벌일 때다. 사업부와 지원 부서 간 협업 관계와 각자의 역할, 조직 내 역학 구도 등으로 이미 갈등이 있는 상태였다. 나로서도 '우리 팀 월급을 자기네가 주기라도 하나' 싶은 마음이었다. 일방적으로 쏟아내는 말을 불편한 마음으로 듣는데 어느 대목에서 순간 '아, 이 사람은 이런 마음이었구나' 하..
오래전, 예산 배정 문제로 한 사업부 대표와 날이 선 논의를 벌일 때다. 사업부와 지원 부서 간 협업 관계와 각자의 역할, 조직 내 역학 구도 등으로 이미 갈등이 있는 상태였다. 나로서도 '우리 팀 월급을 자기네가 주기라도 하나' 싶은 마음이었다.
사전에 따르면 '공감'은 '남의 감정, 의견, 주장 따위에 대하여 자기도 그렇다고 느낌, 또는 그렇게 느끼는 기분'이라고 정의된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상원의원 시절인 2006년 노스웨스턴대 졸업식에서 '공감을 키워라'는 제목의 연설을 할 때다. 그는 힘 있는 사람들이 이기적으로 자기 욕심만을 좇는 경향이 있다며, 처지가 다른 사람들의 입장에 서서 사회적 약자에게 공감하는 사람이 되라고 당부했다. 일터에서 우린 남들과 협력하고 협상하며 나와 조직이 원하는 걸 얻어내고 목표를 이뤄가야 한다. 세상엔 나와 비슷한 사람만 있는 게 아니어서 가치관이나 입장이 판이하게 다른 사람들과 부딪혀야 하는 골치 아픈 상황이 비일비재하다. 공감은 내가 함께하기에 편하지 않고 어려운 상대가 그 대상이 됐을 때, 더욱 빛을 발한다. 공감의 결실이 더 증폭되는 것도 바로 그 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춘추] AI 시대와 평가 혁신전 세계에서 가장 재미없는 공부를 제일 오래 하는 국가는 어디일까. 주입식 교육 체계를 가진 대한민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대부분이 1주일에 30시간 내외를 공부하지만, 한국 학생들은 유일하게 50시간을 공부한다. 사교육비 지출도 세계 1등이다. 우리는 공부를 위해 돈, 시간, 노력을 엄청 투자하고 있지만 세계에서 제일 비효율적인 교육 구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래서’보다 ‘그런데’가 글에 많이 등장한다면[한겨레S] 손소영의 짧은 글의 힘 직진하는 글쓰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능동문으로 힘 있게, 주제 적어놓고 흔들림 없이[한겨레S] 손소영의 짧은 글의 힘 직진하는 글쓰기 관심 대상 누구냐에 따라 피동형 문장 변환도 가능 전하려는 메시지 명확해야 일관성 있는 글 쓸 수 있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담동 술자리 의혹 제기' 김의겸 '한동훈, 힘 좀 써달라' / 한동훈 '이재명, 식당 예약하나' [띵동 정국배달]YTN VOD, 클립영상 한 눈에 보고 즐기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태섭 신당 당명 '새로운선택'…'제3지대론' 힘 받을지 주목금태섭 전 의원이 주도하는 신당 명칭이 '새로운선택'으로 확정됐다. 모토는 '선택지 없는 한국 정치에 새로운 선택이 되겠습니다'로 정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양향자 의원이 주도하는 신당 '한국의희망'도 지난 6월 26일 창당 발기인대회를 갖고 창당을 선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동훈 힘 좀 써라'…'청담 술자리' 10억소송 당한 김의겸 되레 큰소리지난해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했다가 가짜뉴스로 판명돼 소송 당한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 예능 프로그램에 나와 '빨리 (재판의)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한동훈 장관께서 힘 좀 써주시길 부탁드린다'며 되레 큰소리를 쳤다. 지난 19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쿠팡플레이 예능프로그램 ‘SNL 코리아’의 ‘맑눈광이 간다’ 코너에 출연한 김 의원은 기자로 등장한 김아영의 ‘한동훈 장관에게 영상 편지를 띄워 달라’는 말에 '제가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한 지 10개월이 됐는데 아직도 결론을 안 내리고 있다'며 '민사소송으로 10억원을 거셨는데 왜 소송 재판이 한 번도 안 열리고 있는 건가'라고 물었다. 김 의원은 또 ‘청담동 술자리’ 등 가짜뉴스로 자신이 정치권 안팎에서 ‘허위사실 제조기’, ‘양치기 소년’ 등의 별명으로 불리는 것에 대해선 '제보자가 분명히 있고 제보자 녹취가 있는 상황에서 그 근거를 가지고 한 장관에게 질문을 던진 것'이라며 '그런 것까지 허위사실, 가짜뉴스라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