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이 가능하다면 사람들은 보다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정년퇴직 후 매달 연금을 받는 것도 예측가능성을 확보하는 좋은 예이다. 선박이나 항공기를 이용한 운송수단이 안전하게 도착한다는 예측이 가능하므로 무역이 이루어진다. 예측가능성이 높아질수록 우리의 삶과 경제는 풍요해진다. 예측가능성의 확보는 인류가 추구해온 공통의 가치이기도 ..
예측이 가능하다면 사람들은 보다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정년퇴직 후 매달 연금을 받는 것도 예측가능성을 확보하는 좋은 예이다. 선박이나 항공기를 이용한 운송수단이 안전하게 도착한다는 예측이 가능하므로 무역이 이루어진다. 예측가능성이 높아질수록 우리의 삶과 경제는 풍요해진다. 예측가능성의 확보는 인류가 추구해온 공통의 가치이기도 하다.
가장 오랜 시간에 걸쳐 큰 인명의 희생을 치르면서 기술혁신을 통해 예측가능성을 달성한 분야가 바로 선박의 항해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마젤란은 1519년 5척의 배에 237명의 선원으로 세계일주를 위해 항해를 떠났다. 1522년 귀항한 배 한 척에는 21명만이 타고 있었다. 대항해시대에는 안전한 귀항이 예측되지 못했다. 18세기만 해도 10척의 선박이 출항하면 7척만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다. 대항해시대 초기에는 바위에 부딪혀 선박이 파손되는 좌초 사고가 많았다. 위험물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항해술이 발달하고 위험지역이 해도에 표시되면서 좌초 사고가 급격히 줄게 되었다. 선체의 구조에서도 변화가 왔다. 나무로 만든 선박은 철판으로 변경되었다. 선박이 암초에 부딪혀도 바로 침몰하지 않게 되었다. 한 곳이 침수되어도 다른 곳은 침수되지 않도록 선박에 구획을 만들어 선박의 부력이 유지되도록 했다. 북극을 항해하는 선박은 얼음을 깨는 쇄빙 기능을 갖게 설계된다. 대항해시대 초기에 선박은 돛을 이용해 항해했다. 바람이 없는 적도의 무풍지대에서는 선박이 움직이지 못했다. 증기선이 나타나 항상 일정한 속도로 항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비로소 선박의 일정을 맞출 수 있는 정시성이라는 예측가능성이 확보되었다. 이어서 프로펠러를 돌려서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우리는 이제 출항한 선박은 모두 목적지에 안전하게 도착한다는 안전항해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해운과 조선 산업이 선박 안전 분야에서 달성한 예측가능성의 확보는 수천 년간 인류가 달성한 대역사이다. 그 기나긴 여정에서 수많은 선원과 여객이 희생되었다. 현재의 안전한 선박의 항해와 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세계 무역은 바다를 찾아나섰던 수많은 선각자의 희생과 항해 기술의 혁신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예측가능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안전하게 설계되고 운항되는 선박은 결국 선장 이하 선원들이 승선해서 조종해야 하고 육지에서 관련 전문가들이 도와주어야 한다. 젊은이들이 바다로 많이 와야 한다. 선박을 설계하고 건조할 인력이 없고, 선박에 승선하여 운항할 인력이 없다면, 애써 확보한 바다에서의 안전항해에 대한 예측가능성은 훼손된다. 인구가 점차 감소하므로 조선소의 근로자나 선원들을 확보하기가 힘들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춘추] 경제안보오늘날 세계 경제질서는 과거 자유주의에 기초한 무역 자유화로부터 이탈해 경제 안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1950년대 이후 경제와 안보의 관계는 자유주의적 논의가 주도하면서 세계화의 확산과 함께 자유주의적 시장 가치를 중시하고 상품·자본·사람의 이동과 교류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국제 경제질서가 형성됐다. 그러나 70여 년이 지난 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지하철역의 즐거운 변신요즘 러너들 사이에서 여의나루역이 인기다. 지난 5월 '러너스테이션'으로 간판을 바꿔 달면서부터다. 러너스테이션은 지하철역의 유휴 공간을 시민이 머물며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바꾸는 '펀스테이션(Fun Station)' 사업의 첫 작품이다. 여의나루역 2개 층에 걸쳐 조성된 이 공간은 물품보관함, 파우더룸, 탈의실 등의 편의시설과 무동력 트레드밀 같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도심 속 공원'지금 이곳에 공원을 만들지 않는다면 100년 후에는 이만한 크기의 정신병원이 필요할 것이다.' 19세기 뉴욕의 센트럴파크를 설계한 조경가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가 공원 조성을 반대하는 여론을 향해 던진 말이다. 당시 총 3.41㎢에 달하는 도심 속 노른자위 땅에 빌딩 숲을 건설했을 때의 경제적 효율성 등을 이유로 공원 조성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었다. 또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적재적소 기술우리나라 과학자들의 연구 역량은 나날이 증가하는 것 같다. 선배 교수님들에게 외국에 교환교수로 나갔을 때 좋은 곳에 가기도 힘들었고 무시도 좀 당했다는 일화를 듣고는 했다. 그래서 내가 줄기세포를 연구하러 2008년에 교환교수로 갈 때는 임상의사가 생물학에는 약하다는 얘기를 들을까봐 치과대학 기초연구실에서 다시 학생처럼 실험을 했던 기억이 난다. 요사이 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수에즈·파나마 운하1492년 콜럼버스가 미주 대륙을 발견하면서 대항해시대가 열렸고 미지의 세계가 하나씩 유럽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아프리카 대륙, 미주 대륙, 인도, 아시아, 호주 순서로 전 지구가 수백 년에 걸쳐서 인류에게 알려졌다. 대항해시대 선장이 항해한 방법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유럽에서 서쪽으로 항해해서 미주 대륙으로 가는 길이었다. 미주 대륙으로 내려가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중립공직에 있는 동안 가장 많이 들었고 하였던 단어 중 하나가 '중립'이다. 처음에는 주로 듣는 쪽이었을 터인데 생소했다. 1990년대만 해도 중립이라고 하면 '중립국' 스위스가 먼저 생각날 정도로 익숙하지 않은 단어였기 때문이다. 초임으로 발령받고 일반 형사사건, 특히 고소사건을 담당하는 형사부 업무를 수행하면서 직책상 왜 '중립'적이어야 하는지 곧 알게 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