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어느 최고경영자(CEO)가 '요즘 회사 직원들의 팀워크가 예전만 못한 것 같아 큰 걱정'이라며 필자의 조언을 구한 적이 있었다. 이 CEO 눈엔 'MZ세대 구성원'들과 '꼰대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종족 보듯 대하는 것 같고, 디지털을 업무에 잘 활용하는 직원들과 그러지 못하는 직원들 사이에도 소위 '넘사벽'이 존재하는 듯 보였다고 한다. 나아가 ..
얼마 전 어느 최고경영자가"요즘 회사 직원들의 팀워크가 예전만 못한 것 같아 큰 걱정"이라며 필자의 조언을 구한 적이 있었다. 이 CEO 눈엔 'MZ세대 구성원'들과 '꼰대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종족 보듯 대하는 것 같고, 디지털을 업무에 잘 활용하는 직원들과 그러지 못하는 직원들 사이에도 소위 '넘사벽'이 존재하는 듯 보였다고 한다. 나아가 최고경영진은 후진국 시대, 부서장들은 개도국 시대, 신입 직원들은 선진국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이라 애초에 사고 체계와 행동 양식이 근본적으로 다른데, 이들이 화합하며 공존하는 것이 가능한 일인가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고 한다. 염상섭의 소설 '삼대'에 등장하는 장면들이 오늘날 우리 기업에서 재현되고 있다고 하면 지나친 과장일까.
다행스러운 사실은 이것이 단지 우리 기업들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점이다. 뉴 노멀, 디지털·인공지능 혁명, 일·삶의 균형 등은 전 세계적 트렌드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 세계 주요 기업의 CEO 대다수가 '대전환의 시대에 부합하는 팀워크를 어떻게 재정의해야 하나?'라는 질문에 답을 찾고자 애쓰고 있다. 시행착오를 거치며 점점 정답에 근접해가고 있는 선도기업들에 대한 필자의 관찰에 따르면, 이들은 '4D'를 팀워크 재정의의 핵심 요소로 고려하고 있다. 첫째, 기업의 지향점과 목표를 다시금 명확히 재정의하는 것이다. 가뜩이나 가치관과 행동 양식이 다른 구성원들이 모여서 함께 일을 하는데, 지향점과 목표마저 불분명하다면 말 그대로 '대혼란'은 필연적 수순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둘째, 환경 변화에 맞춰 업무 규정 및 체계를 재정비하는 것이다. 선도기업들이 특히 주목하는 주제는 '불확실성하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는 체계'와 '디지털 등 신기술을 활용해 구성원 간, 조직 간 상시 협업을 촉진하는 업무 플랫폼'이다. 셋째, 각 부서 및 조직 단위의 강력한 추진력을 구조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속도의 경쟁이 일상화된 작금의 경영 환경에서 리더 개인의 스타일에 따라 조직 전체의 실행력 수준이 좌우되는 것은 대단히 큰 리스크이기 때문이다. 주요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실행의 역할과 책임까지 리더 1인이 아닌 팀 전체가 공유하는 방식이 최근 각광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팀워크 붕괴 위기' '각자도생의 시대'와 같은 얘기들을 여기저기서 듣게 되는 요즘이다. 그러나 새롭고 복잡다단한 이슈들이 매일같이 쏟아지는 오늘날 경영 환경에서 한 사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거의 없다. 새로운 시대에 맞는 팀워크 재정의가 시급히 필요한 이유다. 마지막으로"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다만 널리 퍼지지 않았을 뿐"이라는 말처럼, 팀워크 재정의는 기성세대들이 아닌 차세대 리더들이 주도할 때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우리 기업의 CEO들이 유념해주길 당부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춘추] 무엇을 위한 일인가일상에서 불합리하거나 비효율적인 상황을 마주할 때 유독 '왜'라는 질문을 깊게 던지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마음에서 솟아나는 문제 해결 본능에 가깝다. 그중 몇몇은 이런 질문의 해답을 찾기 위해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도 한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곧 목적이고, 그 과정이 곧 삶의 방향이 된다. 최근 나는 뉴웨이즈라는 비영리 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일하랴 아이 키우랴예나 지금이나 일하며 아이 키우는 일은 힘들다. 1990년대 국립보건안전연구원에서 공무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나는 1999년 쌍둥이가 태어나며 아이 셋 워킹맘이 됐다. 일하며 아이 셋을 키우는 것은 기행에 가까웠다. 양가 부모님과 남편의 도움이 있었음에도 역부족이었다. 육아휴직은 한 번도 못했고, 출산휴가도 다 사용하지 못했다. 야근이나 주말 근무 때 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인생은 결국 정반합홀수 달 두 번째 화요일에 만나는 사람들이 있다. 주로 했던 일로 각자를 소개하자면 한 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고, 또 다른 한 명은 브랜드 디자이너, 나는 서비스 기획자로 분류할 수 있겠다. 세 명 모두 각자의 분야에서 이미 성과와 명성을 쌓은 터라 맡은 직책들은 꽤나 무거웠다. 지난겨울, 한 커뮤니티 스타트업이 연말 모임을 열었다. 이 모임은 각자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회복탄력성의 의미지난 몇 년간 필자가 국내 주요 기업의 CEO들과 빈번하게 논의한 주제 중 하나는 '회복탄력성(resilience)'이었다. 회복탄력성은 '예상치 못한 위기를 겪게 되더라도 신속히 이전 상태를 회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최근 회복탄력성이 경영전략의 핵심 화두로 부상하게 된 이유는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겪으며 경영 환경의 불확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M&A 성공방정식'성장'은 모든 기업의 공통된 바람이자 목표다. 그렇기에 필자가 만나본 거의 모든 최고경영자(CEO)도 '어디서, 어떻게 성장의 기회를 찾아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다. 성장을 추구하는 CEO들에게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는 인수·합병(M&A)이다. 잭 웰치(GE), 제이미 다이먼(JP모건) 등 탁월한 성장을 이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우리 조상의 국적추석날 차례를 지내고 바로 귀경하는 길에는 곧 결혼할 조카가 동행을 하였다. 차가 많이 밀려 예상 도착 시간이 밤 10시나 될 것 같아 저녁을 먹기 위해 경기도 이천 못 가 국도변 식당에 들렀다. 식사를 주문하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 필자는 조카에게 불쑥 이런 질문을 꺼냈다. '너, 일제시대 우리 조상들의 국적이 어떤지 생각해보았니?'라고 물으니, 조카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