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내게는 정이 가는 나라 이름이다. 2019년 봄 나는 해외 의료봉사의 단장으로 여러 날을 우즈베키스탄에 가 있었다. 이때 뜻깊었던 것은 옛날 소련 시절 연해주에서 강제 이주한 고려인 분들이 살아 계시고 그분들에게 틀니를 만들어드렸다는 것이었다. 서울대치과병원의 다른 교수와 전공의,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팀원 등 여러 직군이 함께한 꽤 큰 ..
우즈베키스탄, 내게는 정이 가는 나라 이름이다. 2019년 봄 나는 해외 의료봉사의 단장으로 여러 날을 우즈베키스탄에 가 있었다. 이때 뜻깊었던 것은 옛날 소련 시절 연해주에서 강제 이주한 고려인 분들이 살아 계시고 그분들에게 틀니를 만들어드렸다는 것이었다. 서울대치과병원의 다른 교수와 전공의,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팀원 등 여러 직군이 함께한 꽤 큰 봉사단이었다. 실제로는 일주일 남짓 시간에 틀니를 만들고 잘 쓰는지도 확인하려면 촉박한 일정이다. 우리는 낮 동안 진료를 본 후 늦은 밤까지 틀니를 만드는 작업을 계속하여야 했다. 오래전 강제 이주했지만 많은 분들이 건강하고 특히 한국말을 쓸 수 있었다는 것이 기억에 크게 남는다. 처음 이주했을 때 그해 겨울을 나지 못하고 죽은 사람들의 이야기, 그다음 해에 현지 분들의 도움으로 밭을 갈았던 이야기, 자식들을 낳아 교육시키고 이제는 그 나라에 정착한 얘기를 들으며 눈물이 적은 나도 눈시울을 붉혔다.
2012년에는 몽골에 의료봉사단장으로 나갔다. 서울대치과병원, 봉사단체, 기업, 현지 대학과 기관이 함께한 봉사였다. 우리는 취약계층 아동과 청소년을 치료하였고 치과대학생에게 교육도 하였다. 역사적으로 보면 몽골과 우리나라가 계통상 유사하다고 하던데 친근감을 느낀 봉사였다. 몽골 교수님이 떠나기 전 우리 단원들에게 몽골의 역사에 대해 강연을 하고 사진책을 주었는데 갑자기 이루어진 일이라 의아했다. 나중에 들으니 단원들이 갈라지거나 구멍이 나 있는 도로 등 열악한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현실을 알려주자는 취지로 했다고 한다. 추운 날씨, 심한 일교차로 사회시설을 만들고 유지하기 힘든 점이 있는데 이해가 부족한 면이 있었다.
1980년대 대학생일 때 치대, 의대, 간호대, 약대가 함께한 봉사 서클을 4년간 했다. 우리는 학기 때는 매주 서울에서 봉사를 했고 방학에는 지방으로 길게 봉사를 나갔다.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은 겨울에 이승복기념관이 있는 강원도에 갔을 때였다. 혹한의 추위였다. 학교에서 봉사를 했기에 숙소에서 매일 아침 난로를 피우러 가야 했는데 그 길에서는 눈물이 저절로 나와 얼었다. 하루는 자는데 연탄 냄새가 나는 것 같아 연탄을 빼고 잤더니 아침에 방 안에 놓인 물이 얼어 있었다. 왜 무장공비가 이리로 넘어왔는지 알겠다고 친구가 얘기한 기억이 있다. 그 당시 의료 등 사회적 안전망이 부족했던 것이 이해가 되었다. 나에게 국내외 의료봉사는 역사나 지역 등 여러 가지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함을 느끼게 해준 일이 되었다.
공공의료와 봉사는 일정 부분 통하는 면이 있다. 어느 것이든 핵심은 공감과 이해에서 비롯된다. 그 사회와 여러 협의체와 협력하려면 공감을 바탕으로 한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 이런 노력이 대상자들에게도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춘추] 경제는 신뢰다'경제는 심리다'라는 널리 회자되는 명제가 있다. 물론 맞는 말이다. 하지만 필자는 자칫 놓치기 쉬운 '경제는 신뢰다'라는 명제가 더 근본적이라고 생각한다. '경제는 심리다'라는 명제는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다. 주류 경제학은 '모든 인간은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를 전제로 한다. 그런데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은 어떤가? 같은 물건이지만 비싼 가격일 때 더 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서봉총서봉총은 경북 경주시 중앙동에 있는 신라 고분이다. 1926년 고고학자였던 구스타브 아돌프 스웨덴 왕세자가 신혼여행차 일본을 방문하던 중 소식을 듣고 고분 출토에 참여하였다. 나는 2018년 스웨덴 주재 대사로 부임하여 스웨덴 주요 인사를 만날 때 한국과 스웨덴의 인연을 강조하기 위한 소재로 서봉총 이야기를 많이 하고 다녔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 시기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생명을 살리는 문1989년 7월 11일 1호선 종로3가역에서는 환성과 박수 소리가 오랫동안 울려퍼졌다. 승강장에 있던 여자 승객이 선로로 뛰어내리는 모습을 역 직원이 발견한 건 의정부행 K322 열차의 진입 알림이 울린 뒤였다. 직원은 곧바로 따라 내려갔다. 선로 위에 누워 있던 승객을 끌어안고 가운데 기둥 사이로 재빨리 엎드리는 순간 열차는 굉음을 울리며 두 사람을 스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온기 있는 공동체'어느 누구도 혼자서는 온전한 섬이 아니다. 모든 인간은 대륙의 한 조각이며 대양의 일부다.' 17세기 영국 성직자 겸 시인 존 던의 '명상록'에 실린 산문시의 한 구절이다. 미국 극작가 토니 쿠슈너 또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인간의 가장 작은 단위는 한 사람이 아니라 두 사람'이라며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존재임을 역설했다. 어떻게든 타인과의 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왜 시작했을까나는 치과의사다. 여러 가지 직함도 있다. 2005년부터 서울대 교수이고 지금은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 원장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가장 고생해서 기억에 남는 일은 2015년에 건널목을 만든 것이다. 2013년에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건립 책임을 맡았는데 이 병원은 서울대 캠퍼스 내에 있지만 서울대 정문에서 서울대입구역으로 가는 고갯길의 중간에 바로 위치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다양한 크루즈 여행사람들은 흔히 지중해, 카리브해, 알래스카의 호화스러운 크루즈 여행을 상상한다. 나의 버킷 리스트 1위에 올라 있는 것도 역시 해외 크루즈 여행이다. 그렇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 우선 직장인이 시간을 내기가 쉽지 않다. 비용도 만만치 않다. 그래서 인기가 있는 것이 그보다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전세 크루즈이다. 우리 여행사가 크루즈를 빌려서 운항을 하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