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탄소를 내포하고 있는 탄소흡수대는 크게 대기와 초목, 토양으로 구분되고, 이 중 토양이 탄소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다. 대기에 ~830기가탄소톤(GtC), 초목에 450~680GtC, 그리고 토양(의 1m 깊이)에 1500~2000GtC가 내포돼 있다. 지구의 대기와 초목을 포함해 전 생명체를 합친 것보다 토양이 훨씬 많은 탄소를 내포하고 있는 ..
지구에서 탄소를 내포하고 있는 탄소흡수대는 크게 대기와 초목, 토양으로 구분되고, 이 중 토양이 탄소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다. 대기에 ~830기가탄소톤, 초목에 450~680GtC, 그리고 토양에 1500~2000GtC가 내포돼 있다. 지구의 대기와 초목을 포함해 전 생명체를 합친 것보다 토양이 훨씬 많은 탄소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지구 토양 상층부 단 1m에서의 탄소량이 1%만 증가해도 인류가 1년간 화석연료를 태워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 총량보다 많다. 따라서 토양이 황폐화되면 탄소가 대기로 방출되고, 이것이 곧 온실가스 증대와 기후변화의 핵심 원인이 된다.
지구에서 얼음으로 덮이지 않은 면적 중 이미 70%가 인간에 의해 변형됐다. 전체 지구 토지의 40%가 이미 황폐화됐고, 매년 20억㏊의 토양이 추가적으로 황폐화되고 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결국 역사에 없던 가뭄이나 홍수 등이 유발되면서 지구 환경이 더욱 급변하게 된다. 인간이 살지 못하는 땅이 늘어나는 것이다. 나아가 과거 얼음으로 덮였던 곳에서도 문제가 발생한다. 온도 상승으로 인해 시베리아 영구동토 속 메탄가스가 대규모 분출되면서 온실가스가 증대한다. 토지황폐화중립은 지구의 사막화와 산림·토지 황폐화를 해결하기 위해 망가진 산림과 토지에 나무를 심거나 이를 복원해 추가적인 토지황폐화를 막아 전체적으로 토지황폐화 순증가율을 '제로'로 만들자는 개념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LDN과 탄소중립과의 연관성을 잘 모른 채 기후위기 핵심 원인으로 토지황폐화를 제외하고 산업활동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만을 생각한다.
토지황폐화를 막고 잘 관리하면 토지 자체만으로 화석연료나 산업활동에서 배출되는 탄소의 3분의 1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런데 토지가 황폐화되면, 산업활동으로 배출된 탄소 흡수는커녕 훨씬 더 많은 탄소가 대기로 노출돼 기후위기 대응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런 이유로 넷제로 실현에 LDN이 필수적 실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CN이라는 구호 아래 산업활동으로 인한 대기오염 방지 중심에 치우쳤던 인간의 노력에 LDN 노력이 반드시 보강돼야 한다는 뜻이다. 어쩌면 CN보다 LDN이 더욱 강조돼야 할 수도 있다. 국가 경영에 관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토지황폐화 문제를 중시한다. 하지만 '식량 생산'이나 '물 공급'과는 많이 연관시켜 고민하지만, '탄소 제거'나 '기후위기 대응' 측면에서의 고민은 적은 것 같다. 기후위기는 결과이고 그러한 위기의 주된 원인에 땅의 황폐화가 있기 때문에 CN 문제의 본격적인 해결은 결국 LDN 문제 해결로 귀결된다. 물론 의무탄소시장의 기본적 실행에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가 추가되는 것은 기본이다. CN에 대한 전 지구적 관심과 노력이 향후 LDN으로 옮겨가고, LDN의 성공적 실현 여부가 넷제로 성공을 결정할 것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춘추] 당신의 18번 요리는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드라마 '심야식당'은 도쿄의 뒷골목, 허름한 식당의 주방장 겸 주인장 마스터와 그의 손님들을 둘러싼 사람 사는 이야기를 잔잔하게 그린다. 눈물을 쏙 뽑거나 박장대소의 자극은 없다. 그런데 어느새인가 눈가가 촉촉해지고 입꼬리가 올라간다. 손님들은 자정을 넘어, 허기를 달래기 위해 마스터를 찾는다. 허기는 두 곳에서 온다. 하나는 텅 빈 위장에서, 다른 하나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도 주목한 한국의 기울어진 노동시장 [사설] - 매일경제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의 노동시장 경직성에 대해 뼈아픈 지적을 했다. 골딘 교수는 수상 발표 직후 기자회견에서 '20세기 후반 한국만큼 빠른 경제 변화를 겪은 나라도 드물고, 각 세대는 기술 변화 등 다양한 변화에 익숙해져 있다'면서도 '이에 반해 한국의 노동시장과 기업문화는 이런 세대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낮엔 품고 밤엔 베고 자면서 지켜낸 이 보물[한국의 유물유적]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해례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대차 中법인, 충칭공장 매각가 30% 인하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1조6천억원 투입한 충칭공장 6800억에도 매수희망자 없어 한 달여 새 4760억으로 낮춰 中 내연기관 공장 가치 ‘뚝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쟁 개입 안 했지만 공격 정당”…하마스 공격 배후로 떠오른 이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기습 공격과 관련해 그 배후로 의심받는 이란 정부가 “우리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번 무력 충돌로 수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긴 했으나, 하마스의 공격은 정당하다는 게 이란 정부의 견해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주유엔 이란 대표부는 이날 성명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에 변함없이 확고한 지지를 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美백악관처럼…안보실장실, 대통령 집무실 옆으로 옮겼다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조태용 취임 이후인 6월, 3층서 2층으로 이전 “업무 효율 및 공간 활용성 제고 차원” 설명 백악관도 집무실 옆 국가안보보좌관실 위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