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수상자도 주목한 한국의 기울어진 노동시장 [사설] - 매일경제

대한민국 뉴스 뉴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도 주목한 한국의 기울어진 노동시장 [사설] - 매일경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2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1%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의 노동시장 경직성에 대해 뼈아픈 지적을 했다. 골딘 교수는 수상 발표 직후 기자회견에서 '20세기 후반 한국만큼 빠른 경제 변화를 겪은 나라도 드물고, 각 세대는 기술 변화 등 다양한 변화에 익숙해져 있다'면서도 '이에 반해 한국의 노동시장과 기업문화는 이런 세대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의 노동시장 경직성에 대해 뼈아픈 지적을 했다. 골딘 교수는 수상 발표 직후 기자회견에서"20세기 후반 한국만큼 빠른 경제 변화를 겪은 나라도 드물고, 각 세대는 기술 변화 등 다양한 변화에 익숙해져 있다"면서도"이에 반해 한국의 노동시장과 기업문화는 이런 세대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여성의 일과 가정 사이의 균형이 한국에서 저출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보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골딘 교수는"한국의 합계출산율이 0.86명인 것을 잘 안다"며 구체적인 숫자까지 제시했다. 노동경제학자인 골딘 교수는 출산·육아 과정에서 발생하는 남녀 임금 격차 구조를 분석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여성으론 처음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단독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실제로 한국은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하는 '유리천장 지수'에서 올해까지 11년 연속으로 OECD 조사대상국 가운데 꼴찌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남녀 임금 격차, 여성의 노동 참여율 및 고위직 비율, 육아 비용·휴직 현황 등 세부 지표를 종합해 매년 발표된다. 특히 한국의 정규직 남녀 임금 격차는 31.1%를 기록해 무려 27년째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를 기록 중이다. 한국이 이 같은 불명예에서 벗어나려면 여성의 노동가치가 존중받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급선무다. 경력단절 지원이나 실질적 육아휴직 확대는 물론이고, 비정규직 여성들도 정당하게 업무 역량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성과 중심의 노동시장 구조를 서둘러 정착시켜야 한다. 기업들도 적극 동참해야 한다. 저출산 해소에 관심이 많은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은 세 번째 아이를 낳는 직원은 무조건 한 직급 승진시켜주는 파격적인 인사 혜택을 도입해 눈길을 끌었다. 기울어진 노동시장을 바로잡는 것은 골딘 교수가 지적한 대로 최악의 저출산 기조에서 벗어나기 위한 지름길이기도 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노벨경제학상 클로디아 골딘, 고학력 여성 유리천장 원인 밝혀내 - 매일경제노벨경제학상 클로디아 골딘, 고학력 여성 유리천장 원인 밝혀내 - 매일경제노벨경제학상 수상 골딘 하버드대 교수 美 200년 노동시장 분석 가사·양육 부담 때문에 고소득 일자리 기회 놓쳐 女 참여 늘게 근무 유연화 여성 첫 경제학상 단독수상 남편은 13세 연하 동료교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경제학상 골딘 교수 “한국 저출산, 기업문화가 세대문화 따라잡지 못한 탓” - 매일경제노벨경제학상 골딘 교수 “한국 저출산, 기업문화가 세대문화 따라잡지 못한 탓” - 매일경제“한국 출산율 0.86명이라는 것 잘 안다 노동시장이 이런 변화 따라잡지 못하는듯 다음 세대 남성들을 더욱 잘 변화시켜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企 나눠 먹기' 전락 R&D 예산, 선택과 집중에 나설때 [사설] - 매일경제'中企 나눠 먹기' 전락 R&D 예산, 선택과 집중에 나설때 [사설]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이 연구 능력이 없는 중소기업에까지 나눠 먹기식으로 지원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021년 정부 R&D 과제 수행 중소기업(1만8097개) 가운데 58.4%가 2억원 미만 과제를, 28.2%가 1억원 미만 과제를 수행했다. R&D 예산이 뿌려주기식으로 지급되면서 핵심 사업과 관련 없는 연구과제를 따내 지원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SK 반도체장비 中반입 전면 허용, 한미동맹의 힘이다 [사설] - 매일경제삼성·SK 반도체장비 中반입 전면 허용, 한미동맹의 힘이다 [사설]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 반입을 규제하는 조치를 무기한 유예하겠다고 우리 측에 통보했다. 이번 조치로 국내 반도체 업계는 중국에서 장기적 투자·운영 계획을 세울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지 사업을 둘러싼 불확실성도 크게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공장의 반도체 생산 비중은 전체의 40%가 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동發 유가 불안 가중…비상한 각오로 선제대응을 [사설] - 매일경제중동發 유가 불안 가중…비상한 각오로 선제대응을 [사설]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원유 저장고'인 중동발 위기가 불거지면서 국내 당국도 경제 불안 우려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커졌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에 대한 지지가 국가별로 크게 엇갈려 사태가 장기화되고 확산될 조짐이 있어서 더욱 그렇다. 사태 직후인 지난 8일 뉴욕상업거래소의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은 장중 배럴당 87.24달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5 18:5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