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 통한 건전재정 강조해도세수 펑크에 재정적자 눈덩이지출 줄이려다 민생예산 축소조세부담률 적정화 나서야경제 살리는 건전재정 가능
경제 살리는 건전재정 가능 윤석열 정부의 재정정책 기조는 한마디로 '긴축 재정을 통한 건전재정'이다. 그러나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과 세법개정안을 보면 '재정적자가 확대된 축소 예산'으로 나라 곳간도 씀씀이도 비상이다.
지난해 확정된 올해 예산을 보면 적자 규모가 58조2000억원이고 국가채무는 66조7000억원 증가하는 적자 예산이다. 그러나 올해 8월 말까지 국세 수입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조6000억원이나 적게 들어와 올해 적자 규모는 예산보다 크게 늘어나서 80조원 내외로 전망된다. 재정 규모 증가율이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인데도 왜 재정적자가 크게 증가할까? 세금을 적정 수준보다 적게 걷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부가 세입 기반 확충 노력을 해야 함에도 지난해 대규모 감세에 이어 올해에도 감세법안을 제출했다. 내년 국세 감면액은 77조원으로 사상 최대이고 국세수입총액의 16.3%에 달한다. 2023~2027년 국가재정운영계획을 보면 조세부담률을 2022년 23%대에서 20%대까지 떨어뜨리고 있다. 정부가 진정 건전재정 의지가 있다면 먼저 조세부담률부터 적정화해야 한다.재정은 건축물의 골조와 같다. 최근 아파트 골조공사에서 철근을 빠뜨려 지하주차장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한 것처럼, 재정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 나라의 근간이 흔들려 반드시 훗날 재앙을 불러오게 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 일본처럼 0%대 성장 피하려면”…‘이것’ 없이는 안된다는데IMF·WB 연차총회 동행기자단 간담회 “재정 통한 부양은 부작용 더 클 것” “美고금리 장기화 속 이자부담 커져 불필요 지출 줄이는 건전재정 국제사회 화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공정위 출신 상당수가 대기업·로펌행···“법조·대기업 카르텔에 일조하나”[2023 국감]최근 10년간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서 퇴직한 공무원 상당수가 대기업과 대형 법무법인(로펌)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이주호, 취임 전 만든 단체행사에 ‘교육 예산 투입’ 의혹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본인이 이사장으로 있던 단체에서 개최해온 행사를 장관 취임 이후 교육부 사업으로 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산림청 '공군 수송기로 산불 진화' 80억 예산 편성…공군 '협의 안 돼'[앵커]산림청이 산불 끌 때 주력으로 쓰는 러시아산 헬기가 부품 문제로 3년 안에 모두 못 쓰게 될 수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대신 공군 수송기를 빌려 쓰기로 하고 관련 예산 80억원을 편성했는데 공군 측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리더스 프리즘] R&D 예산, 줄이려면 제대로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이 가장 큰 비율(16.6%)로 삭감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내년도 정부 R&D 예산이 올해보다 줄 것이라는 우려가 없었던 건 아니지만, 막상 현실화하니 과학·기술계 R&D 현장은 당혹감과 함께 조직적인 반발까지 나오며 뒤숭숭한 분위기다. 두 매체는 이번 사태에 대해 의견을 피력하는 과학자가 왜 없느냐는 것과 예산 삭감이 정부 설명대로 코로나19 등 위기 국면에서 비정상으로 늘어난 예산을 조정하는 정도가 맞는지 궁금해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혐의 소명' 위증교사는 기소 미뤄...검찰 노림수는?[앵커]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백현동 개발 의혹'으로 먼저 재판에 넘긴 검찰은, 함께 구속영장을 청구했던 두 사건에 대해선 보강 수사와 법리 검토를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