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만세] ‘농사 문화재’들의 ‘청춘 교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마을 만세] ‘농사 문화재’들의 ‘청춘 교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newsvop
  • ⏱ Reading Time:
  • 89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9%
  • Publisher: 63%

이민희 (사)여민동락공동체 이사

구십 평생에 처음 겪어보는 더위라고 하셨다. 유례없이 긴 폭염에 어르신들도 당황스럽다고 하셨다. 여름은 더워야 제맛이라지만 습기를 머금은 폭염은 참기 힘들었다. 해 뜨기 전 이른 새벽 밭일에 나섰어도 소용없었다. 아직은 어둑한데 호미질 몇 번에 땀으로 샤워하기 일쑤였다. 부리나케 새벽일을 마친 정00 어르신은 ‘책가방’을 챙기고 학교 갈 채비를 서둘렀다. 공부하러 학교 간다는 생각에 전날부터 들뜨고 설렜다고 한다. ‘사람을 찜쪄먹고도 남을’ 더위지만, 묘량중앙초등학교에서 열리는 ‘청춘 교실’에 가는 발걸음은 10대 소녀만큼이나 발랄하고 경쾌하다.영광군 묘량면에 유일하게 남은 학교인 ‘묘량중앙초등학교’는 올해 처음으로 어르신들이 학생으로 참여하는 여름학교를 열었다. 학교 건물 개방의 수준을 넘어 학교가 보유한 교육자원들을 마을과 나누려는 적극적인 노력이다. 여름 방학 동안 한글, 미술, 스마트폰 활용, 가야금 등 총 4개 과목을 개설했다.

어르신들의 호응은 폭발적이었다. 도시 사는 자녀들에게 전화해 “엄마도 학교에 다닌다”고 자랑을 하셨다는 어르신, 다 늙어서 무슨 공부인가 싶었는데 학교 선생님이 한글을 가르쳐주니 머리에 쏙쏙 들어온다며 뿌듯해하는 어르신, 손가락 끝에 물집이 잡히고 쓰라려도 가야금 수업이 신기하고 재밌어서 아픈 줄 모르겠다는 어르신, 자녀들과 ‘카톡’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신나고 좋다는 어르신, 평생 호미만 잡고 살았지 연필 잡고 공책에 글을 쓸 날이 올 줄은 몰랐다는 어르신, 학교에서 받은 교재를 밤새 쳐다보고 쓰다듬다가 ‘책보’에 고이 싸놨다는 어르신 등. 쉴 새 없이 이야기를 쏟아내는 청춘 교실 학생들의 행복한 표정을 ‘수료식’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어르신들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과 보릿고개를 넘어오는 격동의 시대를 살아오면서 학교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평생 농사일로 자식들 건사하며 악착같이 살다 보니 구십이 가까운 나이가 되어 버렸다. 평균 60년 이상 경력을 자랑하는 어르신들은 어마어마한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농사 전문가들이다. 청춘 교실 수료증은 살아있는 ‘농사 문화재’, 걸어 다니는 ‘도서관’, 지식과 경험의 유산이 가득한 ‘박물관’으로 불리어도 손색없는 마을 어르신들께 바치는 헌사이다.수료장을 받은 어르신들은 청춘 교실이 지속되기를 원하셨다. 한글을 계속 배워 편지를 쓸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고 하셨고 내친김에 영어도 배워보고 싶다고 하셨다. 늘그막에 배움이 이렇게 즐겁고 재미있다는 것을 알았으니 또 학교를 열어준다면 무조건 참여하시겠단다. 돌아오는 겨울 방학에 청춘 교실 시즌2를 열기로 약속했다.

본디 교육은 지역공동체의 의무였다. 국권을 찬탈당한 망국의 현실에서도, 전쟁으로 폐허가 되어 아무것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도 학교부터 세우고 보는 게 우리 민족이었다. 교육과 삶이 동기화된 시대에는 온 마을이 배움터였고, 서로 배우며 모두가 학생이고 스승이었다. 20세기 근대화 이후 학교는 지역으로부터 괴리되고 교육은 삶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경제위기와 생태위기가 중첩된 파멸적인 위기 앞에서 기존 패러다임을 고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근대 학교 교육의 유효기간은 지났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삶과 동떨어져 ‘성찰의 힘’을 잃어버린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 다시 ‘마을’이 호출되었다. 대한민국 교육은 학교의 전유물에서 지역공동체의 의무로, 지식 중심에서 역량 중심으로, 획일화에서 다양화로, 표준화에서 개별화로, 국가교육에서 지역교육으로 전환을 시도 중이다.

자연스럽게 학교의 기능과 역할을 ‘지역성’을 중심으로 재구조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 농촌 마을에서 학교는 단순히 아이들을 교육하는 기관을 넘어서는 사회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농촌은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사회 인프라가 붕괴 지경에 이르렀고 지속 가능한 삶터로서의 기능을 대부분 상실하였다. 학교는 시골 마을에 남은 거의 유일한 사회 문화적 자산이다. 오늘날 ‘지역교육력’향상은 지역사회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 키워드이다. 로컬 지향의 시대, 학교는 ‘지역공동체 강화’라는 지향점을 분명히 하며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배움의 요람이자 지역주민의 평생 학습터, 문화의 아궁이로 역할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독점적이고 관료적인 근대 학교 교육 모델에서 탈피해 마을 기반의 협력적 지역교육네트워크로 학교가 기능해야 한다. 아이부터 노인까지 생애주기별로 배움과 돌봄이 가능한 ‘평생학습마을’을 만드는데, 지역교육력의 핵심 자원인 학교를 빼놓고 논할 수는 없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newsvop /  🏆 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마을 만세] 쿠바의 마을 의원 ‘콘솔토리오’와 한국의 의료협동조합[마을 만세] 쿠바의 마을 의원 ‘콘솔토리오’와 한국의 의료협동조합이선주 부천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전무이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을 만세] 누구나 꿈꾸는 마음속 광장을 ‘로컬 매거진’으로[마을 만세] 누구나 꿈꾸는 마음속 광장을 ‘로컬 매거진’으로박지선 로컬매거진 홍천상상 편집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기진작? 서방지원 독촉?…러본토에 깃발 꽂은 우크라 목표는사기진작? 서방지원 독촉?…러본토에 깃발 꽂은 우크라 목표는(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우크라이나와 국경을 접한 러시아 남부 쿠르스크주 다리노 마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크라 러 본토 기습 성공 비결은 기밀엄수·속도전·전파방해 3가지우크라 러 본토 기습 성공 비결은 기밀엄수·속도전·전파방해 3가지러시아 쿠르스크 일대 82개 마을 점령 방어 나선 징집병 수백명 무더기 투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전벽해’ 울산 삼산·황성동…삼성 이병철 회장의 울산 별장의 뱀에 얽힌 이야기도‘상전벽해’ 울산 삼산·황성동…삼성 이병철 회장의 울산 별장의 뱀에 얽힌 이야기도울산역사연구소 ‘모임과 흩어짐’ 발간 공업화 물결 급변한 마을 이야기 담아 국내 첫 국제선 삼산비행장 위치도 확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만세 삼창’으로 시작하는 체육대회 78년째…해남 화산면 1946년부터 ‘광복기념’ 행사‘만세 삼창’으로 시작하는 체육대회 78년째…해남 화산면 1946년부터 ‘광복기념’ 행사“광복으로부터 이어진 대한민국의 영광과 자부심이 앞으로 길이 이어지길 바라며 우리 모두 만세를 힘차게 외치겠습니다. 대한민국 만세! 만세! 만세!” 전남 해남군 화산면에서 8...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18: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