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다 숨진 고 김용균씨 산재 사고로 발전소의 ‘위험의 외주화’가 사회 이슈가 된 뒤에도 발전소 산재의 80%는 하청노동자에게 집중된 것으로...
2018년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다 숨진 고 김용균씨 산재 사고로 발전소의 ‘위험의 외주화’가 사회 이슈가 된 뒤에도 발전소 산재의 80%는 하청노동자에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재해는 모두 하청노동자가 당했다.
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발전5사로부터 받은 ‘발전소 산재 발생 현황’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 7월까지 발전5사 발전소에서 238명이 산재 사고를 당했다. 232명은 부상을 당했고 6명은 목숨을 잃었다. 재해는 하청노동자에게 집중됐다. 232명의 부상자 가운데 하청노동자는 193명, 원청 노동자는 39명이었다. 사망자 6명은 모두 하청노동자였다. 발전소는 원청과 하청노동자 비율이 거의 50:50인데 위험은 하청노동자에게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하청노동자들은 연료·환경설비 운전과 경상정비 등 위험한 업무를 주로 맡고 있다.연도별로 보면 김용균씨 사망 다음해인 2019년 40명이 재해를 당했다. 재해자는 2020년 56명 2021년 46명, 2022년 36명, 2023년 52명, 2024년 7월 기준 19명으로 뚜렷한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김용균씨 사망 이후 1년이 지난 2019년 12월 정부와 당시 여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이 ‘발전산업 안전강화 방안’을 발표했지만, 처우 개선 수준에 머무른 탓에 위험의 외주화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시 ‘고 김용균 사망사고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석탄화력발전소 특별노동안전조사위원회’는 정부에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권고했다.
이태성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발전비정규노조대표자회의 간사는 “김용균 사고 이후 대책이 마련되고 설비 안전 관련 투자가 늘어난 건 사실이지만, 가장 중요한 안전인력 투자·투입이 늘지는 않았다”며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원래 업무와 안전 업무를 겸하게 되고, 특히 최근에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발표 후 인력이 줄어 업무강도가 가중됐다. 무엇보다 외주화로 일하다 보니 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깨지고 뜯기고 '폐가 수준 관리' 청와대, 천연기념물까지 하청'TV에선 화려해 보였는데 실제로 와 보니 낡았네요. 관리가 안 되고 있나요?' '(영부인 집무실) 벽지와 가구가 왜 이렇게 허름하죠?' 지난 1일 오후 2시께 윤석열 정부가 개방한 청와대를 찾은 관람객들이 와 만나 남긴 평가다. 정부가 청와대 시설 유지·관리를 위해 올해 약 15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LG엔솔 ‘불법파견’ 의혹…배터리 생산 공정 하청 노동자 4명 소송 제기LG에너지솔루션이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업무에 근로자를 파견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배터리 생산 공정에 투입된 하청업체 노동자들이 원청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 노동자로 인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산재 노동자 울리는 ‘역학조사 장기화’…작년 635일로 역대 최장근로복지공단이 지난해 결론이 난 산재 역학조사 결과를 조사 기관으로부터 회신받는 데까지 걸린 기간이 평균 634.6일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역대 최장 소요기간이다. 역학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근로복지공단은 ‘기업복지공단’?…기업명 가린 산재 현황 제출근로복지공단이 상위 50개 기업의 산업재해 신청·승인 현황을 담은 자료를 내면서 기업명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그동안 국회 국정감사에서 기업명을 공개한 자료를 제공해 오다가 “사업장명이 공개될 경우 법인 등의 정당한 이익을 해할 우려가 있다”며 올해부터 갑자기 방침을 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령화에…사망자 54%는 80세 이상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발표 코로나 엔데믹에 사망 감소 자살률, 2년 만에 상승세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화큐셀, 美 142㎿ 태양광 사업권 매각…“수직계열화 시너지 크다”발전소 초기 개발 후 권리 매각 이후 건설·모듈 공급까지 맡아 “제조·개발·시공 일괄 서비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