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대체율 44% 野 강행에 연금연구회 “현행 제도보다 미적립부채 100조원 늘어나”
미적립부채 100조원 늘어나” 국민연금의 ‘받는 돈’을 의미하는 소득대체율을 놓고 여야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단독 처리를 시사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내는 돈’인 보험료율은 현재 9%에서 13%로 올리는 데 여야가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전문가들은 민주당 안처럼 소득대체율을 인상할 경우 연금 재정 악화는 불보듯 뻔하고 결국 젊은 세대에 부담을 안길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소득대체율은 적어도 44~45% 수준으로 결정돼야 한다”며 “그 정도 차이라면 민주당이 단독으로 처리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여당은 연금개혁안은 반드시 여야 합의로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연금 개혁을 하나의 당이 강행해 혼자 처리하는 것은 동서고금에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기로 애초에 합의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민주당은 “국정협의회에서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결론이 없는 만큼 백지 상태에서 논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의 소득대체율을 수용하면 자동조정장치를 검토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정부와 여당이 이를 수용하지 않아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은아 칼럼]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이라는 환상재정안정 위해 개혁하는데소득대체율 함께 높이면보험료 인상 효과 미미해져퇴직연금 가입 확대 등실질 소득보장 해법 찾아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금행동 “공론화 따라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 이행돼야”소득대체율 인상, 국고투입, 사각지대 해소 등 3대 요구 이행 촉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더 내고 덜 받는' 연금개혁 사회적 합의 촉구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국무회의에서 연금개혁에 대한 여야 합의를 촉구하며 '더 내고 덜 받는' 사회적 합의가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기존 'AA-'로 조건부 유지했다는 내용을 전하면서 정치적 교착상태가 지속될 경우 신용등급 하향을 피할 수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연금개혁 논의 중단, 마은혁 임명 등 사법권 독주 논란민주당의 연금개혁 논의 중단과 마은혁 후보자 임명 등 사법권 독주 논란이 국민들의 우려를 샀습니다. 국민의힘은 민생 안정과 국정 위기 극복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연금개혁특위를 구성하여 논의에 임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속 추경 촉구한 이재명, '민생지원금 포기'도 감수'연금개혁, 초당적으로 시행해야...2월 안에 모수개혁 매듭짓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반도체법 ‘주52시간 제외’ 빼고 처리...패스트트랙도 검토”진성준, 정책현안간담회 “연금개혁, 복지위서 모수개혁 먼저 합의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