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참사 당시 응급의료 책임자인 용산구 보건소장이 이태원에 도착하고도 진입이 어렵다는 이유로 용산구청으로 돌아간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지난달 29일 밤 이태원 참사 현장.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당시 응급의료 책임자인 용산구 보건소장이 이태원에 도착하고도 진입이 어렵다는 이유로 용산구청으로 돌아간 사실이 확인됐다. 보건소장은 현장 응급의료소장을 맡아 환자 분류·이송을 지휘해야 하는데, ‘컨트롤 타워’ 격인 보건소장이 자리를 비우면서 응급환자 이송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 보건소장은 사고 발생 2시간 만에야 참사 현장에 나타났다. 15일 용산구청과 소방·의료 당국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최재원 용산보건소장은 지난달 29일 서울 자택을 출발해 밤 11시30분께 이태원 지하철역 근처에 도착했다. 사고 발생 후 약 1시간15분, 소방 당국이 용산보건소에 출동을 요청한 지 40여분 만이었다. 하지만 최 소장은 곧장 참사 현장인 해밀턴호텔 주변으로 진입하지 않고 용산구청으로 발길을 돌린 뒤 구청에서 대기 중이던 용산보건소 신속대응반 직원들과 함께 구급차를 타고 현장으로 이동했다.
용산구청은 에 “최 소장은 29일 밤 11시30분께 참사 현장 근처에 도착을 했지만, 보건소장임을 확인할 수 없던 경찰에 의해 통제됐고 접근할 수 없었다”며 “사무실에서 신속대응반 출입증을 챙긴 뒤 출동중이던 보건소 앰뷸런스에 합류해 현장으로 복귀했다”고 밝혔다. 최 소장이 이태원역과 용산구청을 오가는 사이, 현장에선 혼란이 이어졌다. “현장응급의료소 설치 인력이 부족하다”는 아우성이 터져나왔고, 환자 분류도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 이들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전체 사상자 194명 가운데 약 4분의 1이 119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이송된 뒤였다. 이 가운데 21명는 구조 당시 심정지 상태였는데, 현장에서 환자 중증도 판단이 이뤄지지 않아 회생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중환자보다 먼저 병원으로 옮겨졌다. 소방·의료 전문가들은 ‘경찰에 막혀 구청으로 돌아갔다’는 최 소장의 판단에 대해 “안일하다”고 지적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참사희생자 명단공개 매체 '유족 뜻 따라 일부 비공개'13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 국화꽃이 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이태원 참사 희생자 150여 명의 명단을 공개했던 인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이태원 참사 실명 공개에…개인정보위 '유족 신고시 조사' | 중앙일보매체 민들레, 더탐사,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등이 공개한 바 있습니다.\r이태원 실명 개인정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이태원’ 포함된 문서 안 열린다…용산구, 돌연 비공개로공개로 분류된 일부 문서들도 알 수 없는 시스템 오류로 외부에서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이태원참사 문서 비공개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진석,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 주체 ‘민주당’으로 규정정 위원장의 주장과 달리 희생자 명단은 민주당이 아닌 ‘시민언론 민들레’를 통해 이뤄졌다는 점에서 ‘정치적 공세’라는 비판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이태원 참사 유족 간담회···“명단 공개 부정적 참석자 없어”더불어민주당은 14일 이재명 대표 및 소속 의원들과 이태원 핼러윈 참사 유가족들의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했다. 참사 희생자 전체 명단 공개는 “유가족들의 동의를 얻으면 할 것”이라며 “명단 공개에 부정적인 의견을 표명한 분들은 오늘은 없었다”고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