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가 목표고도를 가장 복잡한 550㎞로 잡은 데엔 이유가 있었습니다.\r누리호 위성 우주
[최준호의 사이언스&] 위성간 충돌 현실화할까 영화 승리호에 등장한 우주쓰레기.최근 군집위성의 연이은 발사로 SF영화 승리호의 상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진 메리크리스마스]
김 교수는 “고도 550㎞의 지구 저궤도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군집위성 4000대가 매 90분마다 한 번 지구를 돌고 있는 등 지구 저궤도 중 가장 복잡한 곳”이라며 “누리호 위성들은 북극과 남극을 잇는 극궤도를 돌면서 스타링크 위성들과 45도 또는 135도 각도로 만나게 되는데, 이대로 가면 두 위성군이 향후 1년 안에 한 대는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에는 추력기가 달려 있어, 충돌 위험이 예측될 때는 회피기동을 할 수도 있지만, 큐브 위성들은 크기가 작고 성능이 제한돼 궤도수정을 할 수 없다.유럽우주국이 공개한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현한 지구 저궤도 상의 인공우주 물체 상상도. 밀도와 크기는 실제와 다르다. [AFP=연합뉴스]
김해동 국립경상대 항공우주학부 교수는 “전남 고흥에서 발사되는 누리호가 인접국가 상공을 피해 올라갈 수 있는 경사각과, 차세대소형위성 2호 등 우리 인공위성이 필요한 여명-황혼궤도를 고려하면 550㎞ 고도가 나올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여명-황혼 궤도는 위성이 24시간 동안 여명이나 황혼을 볼 수 있는 궤도로, 항상 일정한 태양 빛을 받을 수 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주목적은 영상 레이더 시험이다. 영상레이더는 통신위성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배터리 소모가 크다. 이 때문에 스타링크 군집위성 수천 대가 도는 궤도임에도 불구하고 태양 빛을 일정하게 계속 받는 여명-황혼 궤도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나는 젊다' 생각 하나에…암·심혈관질환 사망 위험 30% 줄었다 | 중앙일보'외로움', 담배를 하루에 15개비 피우는 것만큼 해롭습니다. \r건강 삶 젊은노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심정지도 1시간 기다렸다…골든타임 놓친 소아 중환자 | 중앙일보정말 봐야 할 응급 환자들을 못 보는 까닭은 이렇습니다.\r어린이 의사 병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랑이 추가 커버' 이 말에 난동…역풍 강타한 '무지개색 6월' | 중앙일보‘다양성’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질 상품이나 무지개 로고가 거센 불매운동을 맞닥뜨렸습니다.\r성소수자 무지개 프라이드먼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유와 대장암, 뭔 관계길래…통계는 죄다 '우유 안먹은 탓' | 중앙일보술·담배 보다 발병 기여도가 높았던 건...\r우유 대장암 TheJoongAngPlus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