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에는 ‘4/25 1’ ‘5/31 5’ ‘6 1’ ‘8/2 1’이라는 숫자가 적혀있는데, 검찰은 ‘4월25일 1억원’ ‘5월31일 5억원’ ‘6월 1억원’ ‘8월2일 1억원’을 뜻하는 정치자금 전달 시기와 액수를 기록한 문건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용 남욱 메모 🔽 자세히 읽어보기
서울중앙지검. 연합뉴스 불법정치자금 8억4700만원을 받은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첫 공판이 7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3부 심리로 열릴 예정이다. 검찰은 김 전 부원장을 재판에 넘기면서 구체적인 자금 조성 방식과 전달 시기 등이 담긴 남욱 변호사 측근 이아무개씨 자필 메모를 핵심 증거로 법원에 제출했다. 김 전 부원장 쪽은 불법 정치자금 수수 자체를 부인하는 데다 혐의를 입증하는 ‘물증’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어, 향후 공판에서는 해당 메모의 신빙성이 핵심 관전 포인트로 부상할 전망이다. 5일 취재를 종합하면, 검찰이 재판부에 낸 메모는 ‘Lee list’라는 이름으로 작성돼 있다고 한다. 여기에는 ‘4/25 1’ ‘5/31 5’ ‘6 1’ ‘8/2 1’이라는 숫자가 적혀있는데, 검찰은 ‘4월25일 1억원’ ‘5월31일 5억원’ ‘6월 1억원’ ‘8월2일 1억원’을 뜻하는 정치자금 전달 시기와 액수를 기록한 문건으로 보고 있다.
메모에 ‘신 4350’ ‘5000/1000/4000/10000/5000’ 등의 숫자가 적혀있는데, 공사비를 부풀린 ‘업계약’을 통해 신O건설 등으로부터 4350만원 등 2억9430만원을 조성한 흔적이라는 게 검찰 시각이다. 메모에는 이를 포함해 총 9억여원을 마련한 흔적이 남겨져 있었다. 남 변호사는 유 전 본부장 독촉을 받은 뒤 지인들에게 돈을 빌리는 등 어렵게 자금을 마련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남 변호사 쪽이 작성한 차용증, 건설업체와 도급계약서 등을 통해 실제 이같은 자금 조성이 이뤄졌다고 보고 있다. 반면, 김 전 부원장 쪽은 정치자금 요구 및 수수 행위가 일체 없었다고 반발하고 있다. 김 전 부원장은 지난해 10월 구속 전 피의자심문과 검찰 조사 등에서 돈 전달 시점인 2021년 4월에 유 전 본부장 사무실을 들렀던 사실은 인정했지만 돈을 받은 적은 없다고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기만성' 김하경, IBK 대체불가 세터로 성장'대기만성' 김하경, IBK 대체불가 세터로 성장 여자배구 주전세터 김하경 도드람_2022-2023_V리그 IBK기업은행_알토스 양형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세희의 미공개 노트 “우린 지기만 할지 모른다, 그러나…”[아침을 여는 한겨레S] 2023년 3월 4일 토요일 조세희 작가의 ‘미공개 작업노트’ “역사 승리는 일어나 싸울 때 이뤄진다” 📁 읽기: 이재명 선거법 위반 첫 재판 출석 📁 읽기: 민주당 ‘50억 클럽 특검법’ 발의 📁읽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